
천년의 온돌, 아자방(亞字房) 이야기 가득한 지리산 칠불사
봄 내음 나는 지리산이다. 동쪽 주능선 산행코스인 명선봉, 형제봉, 덕평봉을 허위허위 지나다 보면 어느 순간 얌전한 토끼봉(1,534m)에 닿는다. 바로 이 토끼봉 자락을 잡고 아래로 내려오다 보면 반야봉 남쪽 해발 약 800m 지점에 천년 고찰이 등장한다. 불현듯이. 허투루 볼 절집이 아니다. 천년 세월의 온기(溫氣)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구들방이 있는 절이다. 천년 온돌, 아자방(亞字房) 이야기가 전해지는 지리산 칠불사(七佛寺)다.

▲ 칠불사는 김해 김씨의 시조인 김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성불을 한 곳이다.
당연히, 유명 사찰에는 회자되는 전설이나 설화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다. 즉 일상의 바쁜 삶에도 ‘불구하고’ 시간 내어 굳이 찾아올 만한 이유가 당연히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 점에서 지리산 칠불사는 언제든 얼굴 한 번 내밀만한 이야기들이 가득한 절임은 분명하다.
칠불사의 창건 스토리부터 예사롭지 않다. 삼국 시대 초기 김해 지방에 존재하였던 가야(伽倻) 일명 가락국(駕洛國)의 태조이자 김해 김씨의 시조인 김수로왕(金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이곳에서 수도 정진하여 모두 성불하였다고 하여 일곱 ‘칠(七)’, 부처 ‘불(佛)’을 써서 이름 지은 절이 칠불사다.

▲ 100일 동안 온기가 남아있다는 신라 시대의 온돌, 아자방이 그대로 남아 있다. 현재 복원 공사중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나 <동국여지승람 하동기>에 따르면 서기 42년에 태어난 수로왕이 현재의 인도 갠지스강 상류지방에 5세기부터 있었던 태양왕조 아유다국의 공주 허황옥(許黃玉)을 왕비로 맞아들여 10남 2녀를 두었다고 한다. 이 중 큰 아들 거등(巨登)은 왕위를 계승했고 차남과 삼남은 김해 허(許)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나머지 일곱 왕자가 이 곳에서 부처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하니 칠불사를 방문한 김해 김씨(金氏), 김해 허씨(許氏) 성을 쓰는 방문객들은 급히 옷깃부터 여민다. 콘텐츠의 힘이다.

▲ 칠불사는 방문객들이 많지 않아 늘 조용한 사찰 본연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칠불사는 흔히들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해진 시기라고 알려진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보다 270년 더 빨리 인도에서 배를 타고 불교가 직접 전래했다는 이른바 ‘남방전래설’을 지지하는 가야불교의 시원인 곳이기도 하다.



칠불사에는 연못 '영지'도 있다
하동의 봄은 지리산과 섬진강에만 있지 않고 범왕골에서 서서히 봄기운이 돌고 있다. 칠불사로 올라가보다.
칠불사는 지리산 반야봉 남쪽 기슭에 위치한다.
칠불사는 가락 김수로왕 부부가 출가수도중인 일곱왕자의 모습을 그림지로 나마 보기 위해 같들었다는 연못 '영지'도 있다


첫댓글 천년의 온돌, 아자방(亞字房) 이야기 가득한 지리산 칠불사
http://cafe.daum.net/9595kimmini0A0/MZFV/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