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몇몇 정보는 객관적이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타이타닉
출항 오전부터 빙하가 떠돈다는 경고를 수차례 받았으나 무시.
이후 빙산과 충돌후 침몰
1514명 사망 710명 생존

KLM 4805기
테러로 인해 작은 공항에 착륙하란 명령이 내려온지 한참이 지나서도 이륙 허가가 내려지지 않자
기장이 독단적으로 이륙.
관제소의 아직 활주로에 비행기가 있을수 있단 말에
"어 그래."
라며 무시후 끝까지 이륙.
팬암 1736기와 충돌후 폭발
583명 사망, 60명 부상

보팔 대재앙
MIC저장탱크를 비롯, 안정장치들까지 대충 관리하면서 작동하지 않는 지경에 까지 이름.
결국 MIC탱크서 가스가 유출되면서 15,000여명 사망, 550,000명 부상

일본 항공 123편
테일 스트라이크(착륙도중 꼬리부분이 활주로에 닿음)로 인해 비행기 격벽이 파손, 수리를 두줄의 라벳으로 고정해야 했으나 한줄로만 고정.
이후 비행기 뒤에서 바람소리가 심하게 들리는등 이상징후가 보였으나 대처하지 않음.
결국 추락해 520명 사망, 4명 생존

노스웨스트 항공 255편
기장과 부기장이 폭풍우를 피할려고 플랩과 슬랩을 제대로 점검하지도 않고 이륙
156명(지상의 2명 포함)사망, 1명 생존

스타바댐
2개의 댐중 윗쪽 댐의 경사가 너무 가파라서 위험하단 결과 나왔으나 무시, 배수관이 낡아 고장났음에도 수리하지 않음.
결국 댐이 무너져 물이 마을을 덮치며 268명 사망

도나 파즈호
구명 조끼가 있는 락커에 자물쇠를 채움, 최대 탑승인원의 3배에 달하는 인원을 배에 태움, 선장은 야동보고 승무원들은 맥주마시고 놀면서 배의 안전 무시
유조선과 충돌후 화재 발생해 4,375명 사망

프랑스 파리 철도
한 여성이 역 놓칠까봐 비상 브레이크 작동.
이후 역에서 정차한뒤 비상브레이크 풀기 위해서 정비사 불러야 하는데
기관사가 귀찮다면서 브레이크 지식 없는상태에서 직접 브레이크 문제 해결.
브레이크 맛이 간 상태에서 과속해 전철 폭주, 리옹역에서 다른 열차와 충돌하면서
56명 사망
파이퍼 알파
가스 점검을 위해 가스관을 원판으로 덮고 너트를 렌치로 조여서 가스를 막아야 했는데 손으로 대충 막아서 가스 유출
유출된 가스가 폭발, 이후 시추선에 저장된 가스들도 연쇄적으로 폭발한뒤 시추선이 무너져내리면서 162명 사망

스칸디나비안 스타호
카지노선을 유람선으로 변경하면서 선원들 전원 교체, 그런데 북유럽에서 운영될 배인데 북유럽어는 물론이고 영어도 모르는 선원이 대다수.
재난 대비 기간 10일중 화재훈련은 단 한번도 안함.
결국 방화로 인한 화재 발생 159명 사망

과달라하라
정유공장에서 파이프에 균열이 생기면서 휘발유가 빠져나오고 근처 하수구의 균열로 들어가면서 하수구에 휘발유와 가스가 가득참.
검사결과 폭발 가능성 100%인데도 당국에선 아무런 조치조차 하지 않음.
결국 맨홀을 들어올리던중 일어난 불똥이 가스에 불을 붙여 208명 사망

성수대교
다리를 건설할당시 부실공사, 차량이 많아지는 때도 전혀 고려하지 않음.
결국 다리가 무너지면서 32명 사망

서해페리호
탑승 가능 인원보다 141명을 더 태우고 출항해선 안될만큼 안좋은 날씨에서 출항, 짐을 너무 앞에 실어서 배에 균형도 안잡힌 상황
결국 배가 뒤집히며 침몰 292명 사망

빅 바유 캐넛 다리
원래는 회선교(가운데에 장치를 설치해 필요한때에 회전해 배가 통과하도록 하는 다리)로 만들려다가 취소했는데
그럴경우 장치를 제거하고 다리를 안전하게 고정해야 하나 고정 안하고 장치도 제거 안해 다리가 쉽게 돌아가도록 방치.
결국 바지선과 다리가 충돌하며 다리가 1m가량 돌아가고 선로가 휘어지면서 지나가던 선셋 리미티드 열차가 탈선후 화재발생
47명 사망

아에로플로트 593편
기장이 자기 자식들에게 비행기를 조종하는 경험을 해주겠다며 조종실에 딸과 아들을 데려옴.
아들이 조종대를 너무 세게 잡으면서 자동조종이 풀려(자동조종이 난기류나 폭풍같은 비상상황을 인지 못할경우를 대비해 설치한 프로그램)
76명 사망

대구백화점 상인점 공사현장
가스관을 규정보다 1m얕게 묻음, 거기다 무허가 공사를 진행
공사도중 가스관을 파손하면서 가스가 유출후 공사장에 고여있다가 폭발해 101명 사망

삼풍백화점
무리한 설계 변경, 환풍기를 롤러로 옮기면서 안그래도 불안정했던 건물에 무리를 가함
결국 건물이 버티지 못하고 무너져 내리며 502명 사망

벨루젯 592편
화물칸에 산소발생기들을 실을때 재대로 정리하지 않고 상자에 대충넣은채로 실음.
이륙하면서 발생한 진동으로 산소발생기가 작동, 작동하면서 열이 발생해 상자에 불을 붙이고 산소가 끝없이 공급되면서 화재 커져 비행기 추락
110명 사망

버겐에어 301편
비행기가 한달 가까이 공항에 방치되면서 기압을 재는 피토관에 벌이 벌집을 만들어 막혀버림.
결국 속도계등에 이상 발생.
허나 기장은 이륙할때 속도계에 이상이 생긴것을 발견하고도 그대로 이륙.
189명 사망

움베르토 비탈 빌딩
근처 가스회사(지금은 망한 엔론 소유)에서 가스관을 제대로 매설하지 않으면서 금이가고 가스가 새면서 건물 지하실에 고임.
가스 회사서는 검침 한다면서 가스가 가득찬곳 안에서 가스 검출기를 켜고, 땅을 1m 이상 파야 하지만 46cm만 파고 가스 검출을 확인하는등 대충 확인후
가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말함.
결국 가스가 에어컨 온도조절기에서 생긴 스파크에 반응해 폭발후 건물 2, 1, 지하층 붕괴
33명 사망

대한항공 801편
기장이 관제소를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착륙 시도
착륙은 실패하고 추락해 228명 사망

TWA 800편
항공기 관리 제대로 안해서 내부 연료통의 연료량 측정하던 기구 전선 벗겨짐.
이후 승객 짐 체크 제대로 안해서 있지도 않은 손님을 찾는다며 공항에서 1시간 넘게 대기, 그동안 에어컨 틀면서 연료통 가열
가열된 연료통 내에서 기화된 연료에 전선에서 스파크 일어나면서 공중 폭발
탑승객 230명 전원 사망

독일 ICE철도
금속외피를 씌운 바퀴를 도입하고 안전성테스트는 제대로 하지도 않음.
시속 24km로 달리던 시내 노면 전차를 토대로 계산하고 금속 피로가 일어나지 않을거라 판단.
이상이 있는지 조사할때는 후레시 한번 비쳐보고 살펴보는식으로 끝냄.
결국 바퀴에 금속피로가 쌓인후 테두리가 벗겨져 날아가다가 기차 바닥에 박힌뒤
박힌 테두리가 철로를 뜯어내면서 기차 탈선후 다리와 충돌.
101명 사망

쿠르스크호
실제 어뢰가 아닌 훈련용 어뢰라 폭발 가능성이 적다 판단하고 대충 관리.
어뢰의 추진체에 있던 과산화수소가 녹물과 반응하면서 다량의 산소 발생후 폭발, 이후 잠수함 침몰
118명 사망

카프룬 스키장의 퍼니큘러
엔진, 기름통 없는 스키장 정상의 도르레로 움직이는 무동력 열차란 이유로 관리 소홀.
유일한 소화기는 기관실에 있는데 기관실은 잠겨있었고 차량 문 계패장치도 내부에 설치 안함.
결국 열차 내부 히터가 브레이크 유압유에 불을 붙이면서 화재 발생
155명 사망

뉴욕 세계 무역센터, 펜타곤, AA11을 비롯한 4대의 항공기
케냐 미 대사관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한후 케냐 미 대사가
"이번 테러를 일으킨 알카에다가 어떤방식으로 다시 저지를지 모른다."
고 경고했으나 무시.
거기다 조종실도 제대로 잠그지 않았고 잠갔다 해도 승객이 노크하면 열어주는 경우가 대다수
그당시 조종실에 아예 아무도 못들어오게 한 나라는 북한에게 하도 납치당한뒤 조치 취했던 한국 외의 소수의 몇몇나라뿐.
결국 비행기가 알카에다에게 납치당한뒤 빌딩과 펜타곤에 충돌, 한대는 승객과 테러범과의 사투끝에 벌판에 추락.
2,996명 사망

아메리칸 항공 587편
항공사에서 난기류를 만나면 비행기를 격하게 몰아서라도 빠져나오라고 지시.
근데 위에거 자체로 위험한게 고속버스회사에서 "고속도로에 얼음끼면 악셀 밟고 핸들 꺾어서라도 빠져나와라." 라고 가르치는 격.
더 큰 문제는 에어버스의 경우 꼬리날개가 민감하다는 얘기가 전부터 많이 나오던중.
결국 꼬리날개가 버티지 못하고 떨어져 나간뒤 비행기가 주택가에 추락
지상 5명 포함 265명 사망

중화항공 611편
테일 스트라이크로 인해 파손된 뒷부분을 제대로 수리 하지 않음.
금속 피로가 누적되면서 갈라진뒤 비행기 공중분해
225명 사망

우크라이나 에어쇼
행사 관계자들이 관중의 안전 확보 안함, 조종사는 비행계획과 안전수칙도 제대로 숙지 하지 않음.
결국 비행기가 관중석으로 추락해 85명 사망

대구 지하철
불이 날 경우를 대비한 교육 미비, 유독성 가스를 내뿜을수 있는 내부 재료를 그대로 놔둠.
결국 192명 사망

JR 후쿠치야마선
상사에게 혼날까봐 겁난 기관사가 과속
커브 구간에서 탈선후 아파트와 충돌하면서 107명 사망

헬리오스 항공 522편
정비사가 기내 여압 조절 스위치를 수동으로 돌린뒤 까먹고 방치.
기내 여압이 자동으로 조절되지 않아 산소가 희박해져 승객과 승무원, 기장과 부기장 모두가 실신한 상태서 추락
120명 사망

아담 항공 574편
비행기 점검한다면서 먼지 한번 털고 끝내고, 파일럿 교육 제대로 안해서 비행하면서 매뉴얼 읽는 파일럿 상당수.
결국 파일럿의 실수 + 악천후 + 기기 이상으로 추락
탑승객 102명 전원 사망

뭄바이 연쇄 테러
인도 정보국이 파키스탄에서 언제 테러를 해올지 모른다며
타지마할 호텔을 비롯한 서양 관광객들이 많은곳이 노려질거라는 보고서를 제출하지만 무시.
그나마 호텔에 경비를 많이 세우긴 했지만 호화로운 호텔에 경비가 많으니 안어울린다며 해당 조치 철회.
테러 발생해 195명 사망

에어프랑스 447편
실속 상황에서 기장이 무리하게 조종, 그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항공사측에서 제대로 교육조차 하지 않음.
228명 사망

방글라데시 라나 플라자
원래 4층이었던 무허가 건물을 8층으로 증축.
건물이 겨우 버티는 상황에서 9층으로 증축하던도중 붕괴
1,129명 사망

안전 불감증은 만국 공통입니다.
동서양, 선진국 후진국, 인종 안가리고 다양하게 나타나요.
혹시나 한국 많다고 까려는 분 나타날까봐 말합니다.
실제로 외국에서도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사고 넘쳐납니다.
첫댓글 너무 무섭다....
아에로플로트가 제일 어이없다
항공사고는 진짜 피해가클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