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고시장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08년 4조원수준의 중고시장은 2021년 24조원이었고 2025년에는 43조원으로 성장할것으로 전망합니다.
2020년 20조원규모의 시장의 39%는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헬로마켓 등 4대 플랫폼에서 발생했습니다.
중고시장 이용자의 75%는 상품의 소유보다는 경험을 중시하는 MZ세대입니다.
Secondhand market growth gains pace
중고시장 성장속도 증가
By Yi Whan-woo 이환우 기자
Posted : 2024-07-09 17:17 Updated : 2024-07-09 17:18
Korea Times
Online flea markets becoming more popular among MZ generation
온라인 벼룩시장이 MZ세대들 사이에서 인기
The secondhand market in Korea is growing rapidly, as persistent inflation pushes consumers with less purchasing power to opt for used or like-new items.
한국의 중고 시장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구매력이 떨어지는 소비자들이 중고 제품이나 새 제품을 선택하게 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The resale boom follows advances in e-commerce technology and the evolution of online flea markets that make it possible for tech-savvy, younger people who value the experience of buying and trying a variety of products, including luxury brands, to do so, at affordable prices.
재판매 붐은 전자 상거래 기술의 발전과 명품 브랜드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구입하고 시도하는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술에 정통한 젊은 사람들이 저렴한 가격에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벼룩 시장의 진화에 따른 것이다.
According to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the secondhand market nationwide was worth 24 trillion won ($17.35 billion) in 2021, a six-fold increase from 2008 when it was valued at 4 trillion won.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21년 전국 중고시장 규모는 24조원 (173억5,000만달러)으로 4조원대였던 2008년에 비해 6배 증가했다.
Tasked with cybersecurity and analysis of relevant data, the government-affiliated agency projects that the market will reach 43 trillion won by 2025.
사이버 보안과 관련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는 정부산하기관은 2025년까지 시장 규모가 4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n a separate finding, KB Securities estimated the market to grow strongly within the range of 15 percent to 20 percent annually over the next few years.
KB증권은 별도의 조사 결과에서 향후 수년간 시장이 연평균 15%에서 20% 내외의 강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했다.
Asked about the reason behind the steep pace of growth, Voice for Consumers, a Seoul-based civic group, analyzed that it partly owes to years of high inflation in the post-pandemic era.
가파른 성장 속도의 이면에 있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 서울에 기반을 둔 시민 단체인 소비자를 위한 소리는 부분적으로 팬데믹 이후 시대의 높은 인플레이션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It is not just happening in Korea. In fact, it is a global phenomenon after high prices made more people find ways to spend less,” the group said.
"이것은 한국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닙니다. 사실, 고물가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 후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라고 이 단체는 말했습니다.
The group cited a study from the Hana Institute of Finance, a financial think tank, which predicted the global secondhand market will be worth $77 billion by 2025, up from $27 billion in 2021.
이 그룹은 세계 중고시장 규모가 2021년 270억달러에서 2025년에는 770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한 금융 싱크탱크 하나금융연구원의 연구를 인용했다.
The group additionally cited ThredUP, an American online thrift store that sells high-quality secondhand clothes.
이 단체는 또 고급 중고 의류를 판매하는 미국의 온라인 중고 중고품 매장인 스레드업을 꼽았다.
The U.S. secondhand clothes market was worth $43 billion in 2023 and is forecast to expand 11 percent on average every year through 2028.
미국 중고 의류 시장은 2023년 430억 달러 규모로 2028년까지 매년 평균 11%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In addition to inflation, rapidly evolving online flea markets are attributable to the popularity of the re-commerce sector.
인플레이션 외에도 온라인 벼룩시장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것은 리커머스 분야의 인기 때문이다.
In Korea, online flea markets began in the form of small internet communities in the early 2000s and have since evolved into a broad range of smartphone app-based platforms.
우리나라에서 온라인 플리마켓은 2000년대 초반부터 소규모 인터넷 커뮤니티 형태로 시작되어 이후 스마트폰 앱 기반의 광범위한 플랫폼으로 발전하였다.
KB Securities pointed out the re-commerce sector was valued at 20 trillion won in 2020, with 7.8 trillion won or 39 percent of all transactions coming from the four major online flea market platforms — Danggeun Market, Bungaejangter, Joonggonara and HelloMarket.
KB증권은 2020년 리커머스 부문이 20조원 규모로 평가됐으며, 전체 거래의 39%인 7조8000억원이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헬로마켓 등 4대 온라인 플리마켓 플랫폼에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The popularity will continue in the digital era, and especially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make up a pool of loyal customers,” said Lee Young-ae, a consumer science professor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과학과 교수는 "디지털 시대에도 그 인기는 계속될 것이며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충성고객 풀을 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For instance, 75 percent of Bungaejangter users were Millennials and Gen Zers, according to KB Securities.
예를 들어 KB증권에 따르면 번개장터 이용자의 75%가 밀레니얼 세대와 젠저였다.
“These young generations are different from older generations in their spending patterns, in a way that they value customer experience over possession of goods,” the professor said. “In that regard, online flea markets serve as their playground to try and re-sell the products.”
이 교수는 "이들 젊은 세대는 상품 보유보다 고객 경험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소비 패턴이 기성세대와 다르다"며 "그런 점에서 온라인 벼룩시장은 상품을 재판매하는 놀이터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secondhandmarket중고시장 #rapidgrowth빠른성장 #persistentinflation지속적인인플레이션 #onlinefleamarkets온라인벼룩시장 #MZgenerationMZ세대 #ecommercetechnology전자상거래기술 #re-commercesector리커머스부문 #DanggeunMarket당근마켓 #Millennials밀레니얼세대 #GenerationZ(GenZ)Z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