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옆에서 근무하는 감리직원(58세)이 10일전 심근경색으로 관상동맥 우회 수술 하여
지금 병원에서 회복 중이다.
심장근육에 연결되는 관상동맥이 거이 90%가 막혀 급사하기 직전에 수술하여 위험한
시기는 넘겼다.
이렇게 동맥이 막히기 전 증상이 오랬동안 있어 왔다. 10개월 전부터 기침이 잤았다.
병원에서 진료 받고 폐염으로 판정받아 치료를 받으니 완쾌는 아니지만 기침은
많이 줄었다. 허지만 기침은 간헐적으로 계속 되어 왔고 이 직원은 용각산 같은 약으로
관리해 왔다. 그러나 식생활 습관은 거이 바꾸지 않았고. 수술 며칠전 등산 중 호흡이 갑자기
멈추는 증상이 일어나, 병원에서 혈관 조영술 해보니 매우 위험한 상태였다.
이직원은 건강관리를 위하여 매일 아침 수영과 헬스를 매우 열심히 하였다마는
음식은 가리지 않고 먹었고, 많이 먹었다. 비만도가 조금 높았다.
감리 사무실에는 항상 먹을 것이 넘친다. 현장 관리비로 사서 먹는다. 직원들 나이가 50~70세 이고
20 대가 2명 있다. 간식으로는 빵, 과자, 과일, 아이스 캔디 등 인데 당과 트랜스 지방이 가득한 혈관건강에
대단히 해로운 음식들이다. 나는 견과류를 원했지만 별 인기가 없다. 함바에서 먹는
점심식사에도 트랜스 지방이 잔뜩 있는 튀긴 음식이 자주 나온다.
몇몇 직원들은 이런 음식들을 먹지 않지만 대개다 즐기고 수술한 직원은 매우 자주 즐겼다.
관상동맥 우회술
1, 시술방법
팔과 다리에서 혈관을 추출하여 관상동맥 우회 할 도관으로 사용한다.
흉골 정중앙을 절개하여 흉곽 내부 심장을 노출시켜 수술하고 심장박동을 정지 시키고 인공
심폐기를 가동시켜 생명을 유지 시켜 시술한다.
2, 소요시간
약 6시간
3, 통증
수술 후 흉골 절개 상처에 발생하는 통증이 심하다.
4, 경과/합병증
수술 후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한 채로 1~2일간 기계에의한 호흡이 이루어 지며, 이후
일반 병실에서 약 1주일 간 회복치료를 받는다.
5, 부작용/후유증
2~5%의 사망률을 보이며, 생존 환자의 경우에도 수술 후 출혈, 감염 등으로 여러가지 합병증이
올 수도 있다.
6, 생활 가이드
수술 후 약 2개월은 무리한 신체활동은 피하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 관상동맥 및 우회도관
재협착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혈소판 제제와 항고지혈증 제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한다.
@ 심근경색에는 두가지 치료법이 있다. 관상동맥 우회술과 약물치료이다. 두 치료법의 효과는
별 차이가 없다는 많은 외국 의사들의 논문이 있다. 병원에서는 대개다 관상동맥 우회술을 권한다.
병원의 큰 수입원이 되니. 그 반면에 약물치료는 간단하고 저렴하다.
@ 혈관 병에는 즉시 완쾌되는 특효가 있다. 단식이다. 단식 7일 정도 하면 혈관의 노폐물이 사라져
깨끝해지니 심혈관질환 위험성은 없어진다.
@ 지난 8개월 동안 주변에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자가 4명 있었다. 대학동기, 고교동기, 직원 부인
시공회사 직원.
심혈관 질환은 사전 예고가 별로 없는 침묵의 살인자이다.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다.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만 방지하고, 설탕과 트랜스지방 섭취를 극도로 줄이야 한다.
과일주스는 과일 냄새나는 설탕물이고, 과일에는 설탕이 잔뜩 있다. 쌀과 밀가루는 40%가 설탕
성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