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의 축의금 
축의금! 그 뜻은 무엇인가?
자기의 위세인가, 아니면 깊은 마음의 우정인가?
그 축의금의 이야기를 통해 우정을 돌아 봅니다.
칠년 전 아들 결혼식 때
친구가 축의금으로 백 만원을 손에 쥐어 주었습니다.
그때는 친구가 퍽도 고마워서
콧등이 시려오는 감정을 눌렀습니다
그리고 그 친구에게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살았습니다.
그런데 몇일 전 친구로부터 아들 결혼 청첩장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웬지 기쁜 마음보다 걱정이 앞섰습니다.
퇴직하고 하루 하루 살기에도 빠듯한 삶이기에 어떻게
축의금을 챙길가 하는 걱정이 앞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누라와 상의 한 결과 일수돈을 내서라도
축의금을 내기로 했습니다.
축의금이란 축하로 주는 돈이기 이전에 상부 상조
한다는 뜻도 있음을 동감했습니다.
일수 얻은 돈을 들고 후련한 마음으로
결혼식장에 갔습니다.
친구는 악수를 하면서 연신 와 줘서 고맙다고 했고
바쁜 틈에서도 가족의 안부까지 물어줬습니다.
정말 아내와 나는 일수돈을 얻어서라도 축의금 빚을
갚은 것에 대해서 참 잘했다고 서로를 격려했습니다.
그런데 며칠 후 집으로 등기우편이 하나 배달 되었고
발신인이 며칠전 그 친구에게서 온 것이라 웬 인삿장을
등기로 보냈을까하고 뜯어 봤더니 눈익은 친구의 글이
들어 있었습니다
"이 사람아 내 자네 형편 다 아는데 무슨 축의금을
이렇게 무리한 금액으로 했는가...? "
그것은 축의금이 다 뭐냐는 우정어린 나무람이었습니다.
"평소에도 자네 살림 어려운 것 내 다 아는데
이게 무슨 짓인가..."
자네 우정을 돈으로 사려고 했느냐는 나무람이었습니다.
그리고 축의금으로 냈던 그 백만원 수표도 편지와 함께
돌려 보낸 것입니다.
"이 사람아 나는 자네 친구야 어려운 자네 형편에
백만원이 무슨 소린가? 만원이면 족하네...
여기 이돈 그대로 보내니 그리 알게...
그리고 이돈 안받으면 내 자네를 친구로 생각지 않겠네..."
그리고 아들 결혼식에 참석해 줘서 고맙다는 말과 함께
한가한 틈이 나면 옛날 그 포장마차에서 참새고기에
소주나 한잔 하자는 말을 곁드렸습니다.
웬지 내 초라한 마음이 다 드러난 듯
눈시울이 뜨거워졌습니다.
♣ 빌려온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