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 폐기물관리시스템이 어떻게 구축되었길래 이런 결과가 만들어 졌을까요? 다른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세종시는 발생된 폐기물을 자동수거시스템을 통해 가연성폐기물과 음식물 폐기물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폐기물을 자동집하장에 모아 처리한다고 해요. 이렇게 모은 가연성 폐기물을 폐기물연료화시설로 보내 고형연료로 만드는 거죠. ^^
[행복도시 '세종시'의 폐기물관리시스템]
또한 음식폐기물은 수질복원센터에 있는 클린에너지센터로 보내 하수 침전물과 혼합해 바이오가스(메탄가스)를 생산해요.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지난해부터 하수침전물 등을 해양에 버리는게 금지되었는데, 올해에는 음식폐기물 처리폐수마저 해양에 버리는 게 금지됐어요. 당연히 이 문제로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폐기물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요,세종시는 이를 멋지게 해결했답니다. 짝짝짝! ^^
[행복도시 '세종시'의 폐기물관리시스템]
정부세종청사 1단계와 첫마을아파트 입주가 완료된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폐기물연료화시설에 가연성 생활폐기물 1684톤을 반입했는데요, 고형연료 606톤을 생산하며 폐기물매립장에 매립해야 할 폐기물 36%를 연료화했죠. 이 고형연료는 톤당 자그마치 4만 1000원에 판매되기 때문에 폐기물매립장 조성비 절감뿐만 아니라 총 2,485만 원의 판매수익까지 올릴 수 있었어요.
아울러 클린에너지센터에서는 본격적으로 가동된 최근 5개월간 자동크린넷에서 수거된 음식물쓰레기(833㎥)와 하수처리장 침전물(4165㎥)을 혼합해 15만 4230㎥의 바이오가스까지 생산했어요. 이렇게 음식폐기물을 연료화해 처리비 7억여 원을 절감하고 7,500만 원 상당의 메탄가스까지 생산해서 총 7억 7,000여만 원이라는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켰어요. 말만 행복도시가 아닌거죠! ㅎㅎ
행복청은 앞으로 행복도시인 세종시의 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행복도시가 완성되는 2030년에는 폐기물배출량이 더 늘어나겠지만 1일 130톤의 고형연료와 5448㎥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면서 연간 29억 원 정도의 수익을 창출할 예정이라고 해요. 폐기물 자원화의 성공적 롤모델로 정착되는 그날을 우리 함께 기대해 봐도 좋을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