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千字文) 35 _ 川流不息 淵澄取映
천류불식 연징취영
川流不息 淵澄取映
<川 내 천 / 流 흐를 류 / 不 아닐 불 / 息 쉴 식
淵 못 연 / 澄 맑을 징 / 取 가질 취 / 映 비칠 영>
군자의 덕은
쉼 없이(不息) 흐르는(流) 냇물(川) 같고,
맑게(澄) 비추는(取映) 연못(淵) 같다.
▶ 한자공부
川 : 물이 굽이쳐 흐르는 모습 ‘내’.
流 : 물 수氵와 깃발 류㐬(물에 떠내려가는 아이의 모습)가 결합. 물이 흘러가는 모습을 강조하여 川과 구별.
不 : 땅속으로 뿌리를 내린 씨앗을 그린 것이다. 아직 싹을 틔우지 못한 상태라서 ‘아니다.못하다.없다’
息 : 스스로 자自(사람의 코)와 마음 심心. 공기가 코를 통해 저절로 들어가는 ‘숨쉬다’.
淵 : 물 수氵와 못 연 𣶒(깊은 못에서 물이 돌고 있는 모양). ‘못’.
澄 : 물 수氵와 오를 등登(등→징). 물이 위로 오를수록 ‘맑다’.
取 : 귀 이耳와 또 우又(손 모양). 옛날에 전투에서 죽인 사람의 수를 증명하기 위해 적의 귀를 잘랐다. 손으로 귀를 잘라 ‘얻다’.
映 : 해 일日과 가운데 앙央. 태양이 하늘 가운데서 세상을 밝게 ‘비치다’.
▶ 해설
앞장의 '사란사형 여송지성(似蘭斯馨 如松之盛')에 이어 군자의 덕德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된다.
군자의 덕이 쉼 없는 것은 냇물과 같고, 맑음은 연못과 같다고 비유한 것이다.
냇물은 고여있지 않고 쉼 없이 흐르므로 탁해지거나 썩지 않고 맑은 상태를 유지한다. 군자도 지속적으로 자기를 수양하여 밝은 본마음을 유지한다. 군자의 마음이 맑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군자를 통해 자기를 비춰보고 저절로 교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