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구제의 유래
사십구제의식은 여러가지 천도 의식에 속하는 것으로서 개별영가를 천도하기 위해서 사람이 죽은 날로 일주일만에 한번식 칠일마다 지내기 때문에 칠칠은 사십구일이니까 사십구재다.
이와 같이 사십구제를 올려 주는 경우는 대부분 자손과 친척들이 지내 주는 것으로서 이때의 청하는 영가는 당영영가(주인공 영가)와 가까운 일가 친척영가와 유주 무주 고혼 영가를 함께 청해 천도법회를 진행한다. 우주 공간에는 자손이 없거나 자손이 있어도 영가의 제사와 혹은 백중재라도 모셔주지 않는 영가들 또는 자손이 없는 영가들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영혼을 유주 무주 고혼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천도의식은 사십구제 이다. 왜냐하면 인간이 사망한 후 사십구일이 되면 최종적으로 내세의 과보를 받기 때문이다. 이들 천도 의식에 대한 학술적인 배경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불교의 윤회설은 원시 불교 시대에 이미 있었지만 이를 좀 더 이론화하고 조직. 체계화한 것은 소승불교 시대라 볼 수 있다.
소승불교의 대비바사론에 의하면 인간이 사망하여 내세에 태어날 때까지의 기간이 있는데 이에 대한 학설이 분분하다. 어떤 학자는 사망하자마자 즉시 내세에 태어난다고 주장하였고, 어떤 학자는 사망 후 즉시 태어나지 않으면 일주일간 허공에 있다가 내세의 인연을 만나 태어나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사망 후 일주일(初七日)이 되어도 내세의 과보를 결정하지 못하면 영혼인 상태에서 다시 죽음을 겪게 되고 또 일주일을 더 기다리다가 그래도 내세(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국)의 과보를 결정할 인연을 만나지 못하면 다시 죽음을 겪게 되며 또 다시 살아나서 삼주일째 내세를 기다리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하여 4주일,5주일 또는 6주일과 7주일과 사십 구일까지 기다렸다가 사십 구일이면 누구나 내세의 과보를 받게 된다고 하였다.
이 49일설이 그 후에 소승불교의 최고의 논사인 세친보살에 의하여 저술되는 구사론에 나타나 있고 또 대승불교의 논서이며, 유식학의 근본 논전인 유가사지론에도 그대로 실려있다.
이와 같이 대승론과 소승론에 49일설이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당시의 불자들은 거의 이 학설을 믿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밖에 경전으로는 지장경을 들 수 있다. 이 지장경은 영혼 천도에 있어서 가장 많이 신앙되고 있는 경전이다. 그런데 이 지장경의 이익존망품에 의하면 중생이 사망하면 즉시 내세의 과보를 받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49일 이내에는 내세의 과보를 받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 기간에 이승에 있는 친척들이 천도재를 지내주고 선과 복을 닦으면 그 영혼은 천당과 극락 세계에 가서 태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족들도 복덕과 가호를 받게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에 의하여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는 순간에도 염불을 해주고 축원을 해주며 또 사망한 지 일주일이 되면 초칠일재를 지내 주었다. 그리고 이주일고 삼주일 내지 칠주일인 49일까지 천도제를 올려주는 의식이 발전한 것이다.
칠 주까지의 일곱 번의 재를 올리는 것은 중국 도교의 시왕신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도 있다. 사람이 죽으면 칠일째 마다. 십대대왕이 그 영가의 살아 생전에 지은 모든 행위에 대해서 재판을 여는데 재판기일이 칠일마다 재판을 진행하여 일곱 번에 걸쳐서 하니까 7×7은 사십구일인 이다. 그러나 같은 천도제를 올리는 가운데에도 49일제를 성대하게 지내주는 이유는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중유 기간의 영혼이 49일이 되면 반드시 내세의 과보를 받게 된다는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천도 의식을 올려주면 그 영혼에게 어떠한 이익이 있게 되는 가? 이는 여러 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우선, 간단히 요약하면 영혼에게는 이승에서 많은 죄업을 쌓았고 또 부모와 처자 그리고 이승에 두고 온 재산과 같은 애착 물이 많이 있다. 이러한 가족에의 애착과 재물에 대한 집착은 지혜의 장애물로 나타나 극락으로 가려는 판단을 흐리게 하는 요인이 되어 지옥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염불과 독경의 내용은 이승의 애착과 집착을 없애주는 무상의 진리를 설해주고 평소 범했던 잘못된 번뇌심을 깨닫게 하여 주는 진리의 말씀이 가득 차 있다. 그러한 진리의 말씀을 듣는 순간 영혼의 생각은 일단 업력으로 된 이승의 몸을 벗어났기 때문에 매우 총명하여 즉시 그 진리를 깨닫게 되며, 곧 지혜를 나투어 올바른 길을 택해 갈 수 있는 혜안이 생기게 된다.
그리하여 그 영혼은 이승의 애착을 버리고 홀연히 지혜의 눈으로 극락세계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구사론에 의하면 영혼(중유)에게는 업력에 따라 보고들을 수 있는 천안(天眼)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이 천안과 빠른 생각은 아무리 먼 곳에 있는 것이라고 해도 보고 듣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를 위하는 천도법회를 봉행하면 염불과 독경소리를 듣고 천도법회에 임하게 되고 법회의 법문을 듣는 순간 자기가 각고 있는 상을 바로 깨뜨려 진리의 세계를 바로 보므로 천도가 되는 것이다.
|
출처: 불종사 현진 원문보기 글쓴이: 현진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