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12월 독자적인 활동을 하던 여러 독립군 부대가 통합조직한 한국의 항일 독립군부대를 말한다. 1920년 6월 홍범도(洪範圖)가 이끈 대한독립군이 왕청현(汪淸縣) 봉오동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그해 10월에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이 청산리전투(靑山里戰鬪)에서 크게 승리하자, 일본의 대부대가 만주 전역에 걸쳐 강력한 보복작전을 전개하였다. 이에 각처에 산재한 독립군은 이를 피하여 러시아·만주 국경지대인 밀산부로 집결하였다. 여기에 모인 독립군부대는 북로군정서·대한독립단·간도국민회·대한신민회·의군부(義軍府)·혈성단(血誠團)·광복단·도독부·야단(野團)·대한정의군정사(大韓正義軍政司) 등 10개 단체였다. 이들은 각자의 고집을 버리고 통합하기로 의견을 모아 각 군단 수령회의 의논 결과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기로 하였다. 총재에 서일(徐一), 부총재에 김좌진(金佐鎭) ·홍범도·조성환(曺成煥), 총사령에 김규식(金奎植), 참모총장에 이동녕(李東寧), 여단장에 지청천(池靑天), 중대장에 김창완(金昌煥)·조동식(趙東植)·오광선(吳光鮮) 등 을 임명하고 행동통일을 결의하였으며, 병력은휘하에 1개 여단을 두고, 그 아래에 3개 대대 9개 중대 27소대 3,500명이었다. 그 해 12월 대한독립군단 병력 3,500명은 헤이룽강[黑龍江]을 건넜는데 노령 연해주와 흑룡강일대에서 활동중이던 문창범(文昌範)·한창해(韓滄海) 등의 도움을 받아 만·소국경 하천인 우수리 강을 넘어 이만(Iman)에 도착했지만, 대한독립군단 모두가 러시아로 이동하지 않았다. 밀산에서 서일은 자결하였는데, 그것은 1921년 8월 토비(土匪)들의 습격을 받아 청년사병 다수가 희생되었는데, 다음날 그는 책임을 지고 마을 뒷산에서 자결한 것이다. 그리고 이범석·김홍일 등 많은 독립군은 만주에 그냥 잠복하게 되었으나 김좌진만은 이만까지 갔다가 만주로 돌아왔고 그 일부는 노령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중 이만 시로 들어간 이청천부대는 홍범도의 소개로 소련 적계군 한인부대장인 박일리아 연대장을 알게 되고, 박일리아는 소련교관을 한국독립군부대에 배치하여 전술법을 교육하는 등 독립군을 훈련시켰다. 그러던 중 1921년 2월 러시아 군관학교출신으로 러시아혁명에 참가한 오하묵(吳夏默)의 주선으로 치타에 있던 완충정부(緩衝政府) 수석 카라한과 항일독립군사이에 군사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군사협정에 따라 독립군은 그들로부터 무기를 공급받아 독립군 양성을 위해 고려혁명군관학교(高麗革命軍官學校)를 설립하고 백계군 토벌에 종군했다. 이러한 사실을 내탐한 일본은 소련정부에 대하여 강력한 외교공세를 전개, 무장해제를 요구했다. 한편 혁명 후 국내내란을 불안했던 소련은 일본과의 불화를 경계, 한국 독립군의 무장을 해제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소련당국은 1921년 6월 22일 흑룡강 자유시에 주둔하고 있던 한국독립군에게 무장해제의 명령을 내리는 동시에 저항하는 독립군을 공격,격파한 자유시사변을 일으켰다. 이때 독립군부대는 많은 희생자를 내게 되고 말할 수 없는 고초를 겪으면서 만주로 되돌아왔다. 이후 1922년 8월 대한군정서·의군부·혈성단·국민회·대한광복단·대진단·대한의민단·대한신민단·대한독립단 대표들에 의해 재조직되었다. 총재에 이범윤, 총사령관에는 김좌진이 선임되었으며, 김규식·최진동·현처묵·강국모·남성극·최호·박두희·유현·이장녕 등이 활동했다. 이들은 만주 동녕현을 중심으로 쑤이펀 강(綏芬河)에서 하얼빈을 잇는 동지연선(東支沿線)을 따라 세력을 확장시켜 나갔다. 그러나 이때 앞의 독립군부대가 공식적으로는 대한독립군단으로 통합을 이루지 못했다.
黑河事變흑하사변
1921년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이 연해주(沿海州)의 자유시(自由市) 이만에서 러시아 적군(敵軍)들과 싸운 사건(事件). 사회주의(社會主義) 혁명(革命)에 성공(成功)한 러시아가 피압박(被壓迫) 민족(民族)을 도와준다는 구실로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저들의 나라로 받아들였으나 일본(日本)의 공작(工作)과 저들 내부(內部) 사정(事情)으로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의 무장(武裝)을 강제(强制)로 해제(解除)하려하자 충돌(衝突)이 일어나 많은 인명(人命)피해(被害)를 입고 흑룡강을 건너 다시 만주(滿洲)로 들어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