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영일정씨판결사공파 중앙화수회 원문보기 글쓴이: 정태식
近 代 人 物 | 現 代 人 物 | 화 제 人 物 | ||||
○정광현(鄭光鉉) ○정구영(鄭求瑛) ▶정락영(鄭洛永) ○정영택(鄭永澤) ○정운경(鄭雲慶) ○정운기(鄭雲淇) ○정일영(鄭馹永) |
○정재용(鄭在鎔) ▶정정화(鄭靖和) ▶정주원(鄭周源) ▶정지용(鄭芝溶) ▶정철수(鄭哲洙) ▶정철화(鄭哲和) ○정해복(鄭海復) ○정현웅(鄭玄雄) |
▶정만길(鄭晩吉) ▶정수일(鄭守一) ▶정소성(鄭昭盛) ○정호근(鄭好近) ○정운근(鄭雲近) |
▶정운찬(鄭雲燦) ▶정운영(鄭雲暎) ▶정동윤(鄭東允) ○정태성(鄭泰成) ○정치근(鄭致根) ○정재철(鄭在哲) ○정창화(鄭昌和) |
○정운갑(鄭雲甲) ○정해영(鄭海永) ○정소영(鄭韶永) ○정무식(鄭茂植) ○정구중(鄭求中) ○정종택(鄭宗澤) |
▶정승화(鄭昇和) ○정호용(鄭鎬溶) ○정희택(鄭喜澤) ○정남택(鄭南澤) |
▶정주일(이주일) ▶정웅인(탤런트) ▶정필교(가수) ▶정경택(진돗개) |
◐연일정씨(延日鄭氏) 요약 | |||||||||||||||||||||
| |||||||||||||||||||||
2000년 통계청의 본관별 통계에 의하면 연일(延日)정씨 216,510명, 영일(迎日)정씨 100,263명, 오천(烏川)정씨 30,650명으로 모두 347,423명으로 나타나 있다. | |||||||||||||||||||||
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新羅)의 전신(前身)인 사로(斯盧)의 육부촌장(六部村長)은 모두 하늘에서 내려온 천강인으로서 서기32년(신라 유리왕 9년) 봄 유리왕(儒理王)으로부터 이, 최, 손 ,정, 배, 설 (李, 崔, 孫, 鄭, 裵, 薛)로 성을 받았는데 그중 연일정씨(延日鄭氏)는 자산진지부(○山珍支部)의 촌장 지백호(智伯虎)가 사성(賜姓)받을 때 본피부(本彼部)로 개칭되면서 정씨(鄭氏)의 성(姓)을 하사(下賜) 받은 것이 시초가 되며(이(李) : 급량(及梁). 최(崔) : 사량(沙梁). 정(鄭) : 본피(本彼). 손(孫) : 모량(牟梁). 배(裵) : 한지(漢祗). 설(薛) : ?? ), 훗날 그의 원손(遠孫) 정종은(鄭宗殷)이 신라(新羅)에서 간관(諫官)으로 직언(直言)을 하다가 인동(仁同) 약목현(若木縣)에 유배되었는데 이분이 연일(영일,오천)정씨의 시조가 된다. 그 후 그의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연일(延日)로 이거(移居)하여 호장(戶長)을 지냈고 다시 연일현백(延日縣伯)에 봉해졌으므로 본관을 연일(延日)로 한 것이며 이 고을의 별칭인 오천(烏川)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후의 계대(系代)가 실전(失傳)되어서 소목(昭穆)을 고증할 문헌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 |||||||||||||||||||||
현재는 고려(高麗) 예종(睿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인종조(仁宗朝)에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추밀원 지주사(樞密院知奏事)를 지낸 정습명(鄭襲明)을 시조(始祖)로 받드는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監務)를 역임한 정극유(鄭克儒)를 시조로 받드는 감무공파(監務公派), 고려 현종 때 동비원부사를 지낸 정자피(鄭子皮)를 1세조로 하는 양숙공파(良肅公派)로 갈라져 세계(世系)를 잇고 있다. 그러나 각 종파들 사이의 촌수를 헤아릴 수 있는 계보가 전해지지 않고 있으므로 각각 족보 및 종친회를 다르게 하고 있다. | |||||||||||||||||||||
지주사공파는 "신유보"서에 의하면 시조 정습명 때부터 경북 영일에 세거하였다. | |||||||||||||||||||||
고려말에 정몽주(鄭夢周)가 순절(殉節)하자, 가문(家門)이 위기를 맞이하게 되고 전공판서(典工判書)였던 정인언(鄭仁彦)이 아들 공조판서(工曹判書) 정광후(鄭光厚)와 함께 영천(永川) 남전촌(南錢村)으로 은거(隱居)하게 됨으로써 영천(永川)이 세거지(世居地)가 된것이다. | |||||||||||||||||||||
15세 정증(增)의 대부터는 합천(陝川)에 터를 잡았고, 16세 세태(世太)의 대부터는 영흥군(永興郡) 진평면(鎭平面) 일원에 세거하였다. 세명(世命)은 조선 인종조 을사사화(乙巳士禍)를 피해 단성(丹城)에 갔다가 경주(慶州)에 터를 잡았고, 세개(世凱)의 대부터는 옥구(沃溝)에 세거한 것 같다. | |||||||||||||||||||||
15세 정징(鄭澄)의 대부터는 한산(韓山),횡성(橫城)에, 정청(鄭淸)의 대부터는 고성군(高城郡)에, 정홍(鄭洪)의 대부터는 파주(坡州),통천(通川)에 정소(鄭沼)의 대부터는 춘천(春川),홍천(洪川),양양(襄陽) 등지에 터를 잡은 것 같다. | |||||||||||||||||||||
15세 정식(鄭湜)의 대부터는 함북 회령군(會寧郡) 영산면(靈山面) 일원에 세거했고, 정정(鄭淨)의 대이후에는 함남 문천군(文川郡) 명호면(明湖面), 안변군(安邊郡) 상도면(上道面), 영흥군(永興郡) 순령면(順寧面)에 터를 잡았으며, 정제(鄭濟)의 대부터는 정평군(定平郡)에 세거했으며, 정도(鄭渡)는 세조조 병자년(丙子年)에 사육신사건에 연루되어 강원도 삼척군(三陟郡)에 옮겨갔다. | |||||||||||||||||||||
한편 '교리공파보(校理公派譜)' 서(序)에 의하면 13세 정이교(鄭以僑)는 금릉군(金陵郡) 봉산면(鳳山面)에 이거하여 자손들이 대대로 금릉군(金陵郡)에서 세거하였다. | |||||||||||||||||||||
16세 이후에는 선산(善山),경산(慶山),하양(河陽),달성(達城),울산(蔚山)일원과 칠곡군(漆谷郡), 인동면(仁同面) 등지에도 터를 잡은 것 같다. | |||||||||||||||||||||
특히 포은(圃隱)의 후손들은 용인(龍仁),부여(扶餘),화성(華城),평택(平澤),수원(水原),천안(天安),해주(海州),선산(善山),여주(驪州),예산(禮山),공주(公州),청도(淸道),군위(軍威),영일(迎日),장기(長○),예천(醴泉),안동(安東),의성(義城),상주(尙州),영주(榮州),단양(丹陽),음성(陰城),제천(堤川) 등지를 비롯, 양평(楊平),파주(坡州),강화(江華),장흥(長興),삼척(三陟),울진(蔚珍),고성(固城),월성(月城),사천(泗川) 등지에 세거하여 왔다. | |||||||||||||||||||||
또 생원공파(生員公派)의 후손은 사천(沙川),대천(大川),능계(陵溪),대평(大平),금호(琴湖),괴산(槐山),대전(大田),의성(義城),칠곡(漆谷),구미(龜尾),김해(金海),황간(黃澗),성주(星州),왜관(倭館),경산(慶山),밀양(密陽),달성(達城),영일(迎日),울산(蔚山),상주(尙州) 등지에 세거하여 왔다. | |||||||||||||||||||||
문계공파(文繼公派)의 후손은 영천(永川)일원에, 문순공파(文孫公派)는 공산(公山)과 울산(蔚山)에, 사정공파(司正公派)는 부산(釜山),하송(下松),하곡(霞谷),야일(也日),대동(大同),동래(東萊),양산(梁山),흥해(興海),물율(勿栗)등지에서 성거(盛居)하여 왔다. 또 정랑공파(正郞公派)의 후손은 경산(慶山),충산(忠山),서면(西面),봉화(奉化)등지에, 만호공파(萬戶公派)는 경주(慶州),영일(迎日),자양(紫陽),죽장(竹長),장기(長○),포항(浦項),울진(蔚珍) 등지에 세거하여 왔다. | |||||||||||||||||||||
용인(龍仁)이 세거지(世居地)가 된 시원(始源)은 몽주(夢周)가 태종 3년 충신(忠臣)으로 추존되고 용인(龍仁)을 사패지(賜牌地)로 하사 받은 데에 연유한다. 그리하여 수백년 동안 자손들이 그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특히 용인군(龍仁郡) 모현면(慕賢面) 능원리(陵院里)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묘소가 있는 곳으로, 그의 7세손 정준(鄭儁)이 병자호란을 겪은 뒤 벼슬을 버리고 터를 잡음으로써 집성촌이 이루어졌다. | |||||||||||||||||||||
선조조 능원리에 포은(圃隱)을 모시는 충렬서원(忠烈書院)이 세워졌고, 기호유림(畿湖儒林)의 본산으로 등장하기도 했으나,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인하여 철폐되고나서는 한가한 마을이 되었다. 현재도 마을에는 정씨(鄭氏) 집안이 모여 살고 있다. | |||||||||||||||||||||
|
|||||||||||||||||||||
代 孫 |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 | 감무공파 | 양숙공파 | ||||||||||||||||||
포은공파 | 생원공파 | 문계공파 | 문손공파 | 사정공파 | 정랑공파 | 만호공파 | 도사공파 | 監務公派 | 良肅公派 | ||||||||||||
23대손 | 정○제 | ○ | ○ | ○ | ○ | ○ | ○ | 鄭○休 | 鄭雲○ | ○ | |||||||||||
24대손 | 정○채 | ○ | ○ | ○ | ○ | ○ | ○ | 鄭○亨 | 鄭○澤 | ○ | |||||||||||
25대손 | 정환○ | ○ | ○ | ○ | ○ | ○ | ○ | 鄭致○ | 鄭泰○ | ○ | |||||||||||
26대손 | 정○기 | ○ | ○ | ○ | ○ | ○ | ○ | 鄭鎭○ | 鄭○溶 | ○ | |||||||||||
27대손 | 정○용 | ○ | ○ | ○ | ○ | ○ | ○ | 鄭○浩 | 鄭求○ | ○ | |||||||||||
28대손 | 정○영 | ○ | ○ | ○ | ○ | ○ | ○ | 鄭東○ | 鄭○永 | ○ | |||||||||||
29대손 | 정○화 | ○ | ○ | ○ | ○ | ○ | ○ | 鄭榮○ | 鄭○震 | ○ | |||||||||||
30대손 | 정연○ | ○ | ○ | ○ | ○ | ○ | ○ | 鄭○翼 | 鄭○淙 | ○ | |||||||||||
31대손 | 정○교 | ○ | ○ | ○ | ○ | ○ | ○ | 鄭悰○ | 鄭○準 | ○ | |||||||||||
32대손 | 정의○ | ○ | ○ | ○ | ○ | ○ | ○ | ○ | 鄭○澮 | ○ | |||||||||||
33대손 | 정○수 | ○ | ○ | ○ | ○ | ○ | ○ | ○ | 鄭○承 | ○ | |||||||||||
34대손 | 정래○ | ○ | ○ | ○ | ○ | ○ | ○ | ○ | 鄭○來 | ○ | |||||||||||
35대손 | 정○훈 | ○ | ○ | ○ | ○ | ○ | ○ | ○ | 鄭○雨 | ○ | |||||||||||
|
|||||||||||||||||||||
<계파별 25代孫~34代孫> | |||||||||||||||||||||
계 파 | 25代孫 | 26代孫 | 27代孫 | 28代孫 | 29代孫 | 30代孫 | 31代孫 | 32代孫 | 33代孫 | 34代孫 | |||||||||||
포은공파 | ○환 | ○기 | ○용 | ○영 | ○和 | 然○ | ○敎 | 義○ | ○洙 | 來○ | |||||||||||
생원공파 | 致 | 鎭 | 淵/原 | 植/東 | 容,煥/ | 기,재/배, | 錄,鉉/鎬 | 洛,泰/洪 | 根,柱/ | 묵,열/현 | |||||||||||
榮,熙 | 규,기 | /錫,鍾 | /淳,洙 | 栽,杰 | /憙,然 | ||||||||||||||||
-록전 | 衡/錫 | 致/浩,源 | 東/模 | 炳,煥/ | 和/埰 | 鉉 | 淳 | 杞 | 烈 | 載 | |||||||||||
淵,烈 | |||||||||||||||||||||
사정공파 | 儉 | 載 | 錫 | 洛 | 柄 | 燮 | 起○ | ○鉉 | 洙○ | ○模 | |||||||||||
-금산장암 | 煥 | 基 | 鎔 | 永 | |||||||||||||||||
-영천 | 致,睦 | 鏞 | 源,浩 | 植 | 顯,燦 | 奎 | |||||||||||||||
도사공파 | 光 | 鎭 | 浩 | 東 | 容 | 起 | 鉉,鍾/ | /泰,源 | 相,根/ | /熙,煥 | |||||||||||
-경주영천 | 致 | 鎭 | 淵,浩 | 東 | 容 | 翼 | 鍾/ | ||||||||||||||
-흥해 | 淳 | 鎭 | 浩 | 東 | 容 | 起 | 鍾 | ||||||||||||||
-청도 | 潤,龜,致 | 鎭 | 浩 | 東 | 容,榮 | 翼 | |||||||||||||||
<30대손~52대손> | |||||||||||||||||||||
대손 | 30대손 | 31대손 | 32대손 | 33대손 | 34대손 | 35대손 | 36대손 | ||||||||||||||
항렬자 | 연.녕.휴 | 교.돈.길 | 의.덕.현 | 수.민.구 | 래.보.모 | 훈.성.걸 | 원.언.달 | ||||||||||||||
行列字 | 然.寧.烋 | 敎.敦.吉 | 義.德.鉉 | 洙.敏.求 | 來.普.模 | 勳.成.杰 | 遠.彦.達 | ||||||||||||||
37대손 | 38대손 | 39대손 | 40대손 | 41대손 | 42대손 | 43대손 | 44대손 | ||||||||||||||
회.재.호 | 태.태.해 | 범.상.동 | 헌.흥.묵 | 규.규.채 | 흠.형.수 | 순.선.홍 | 주.량.장 | ||||||||||||||
會.宰.鎬 | 泰.台.海 | 範.尙.棟 | 憲.興.默 | 圭.奎.埰 | 欽.亨.銖 | 淳.宣.洪 | 柱.亮.莊 | ||||||||||||||
45대손 | 46대손 | 47대손 | 48대손 | 49대손 | 50대손 | 51대손 | 52대손 | ||||||||||||||
희.필.렬 | 철.철.효 | 기.조.옥 | 영.선.하 | 환.희.기 | 현.사.경 | 배.태.곤 | 탁.진.명 | ||||||||||||||
熙.弼.烈 | 喆.哲.孝 | 錡.兆.鈺 | 英.善.河 | 桓.希.杞 | 炫.士.炅 | 培.兌.坤 | 鐸.振.銘 | ||||||||||||||
◐집성촌 | |||||||||||||||||||||
경기도 평택군 오성면 양교리 | |||||||||||||||||||||
경기도 용인군 모현면 능원리 | |||||||||||||||||||||
경북 금릉군 봉산면 예지동 | |||||||||||||||||||||
평남 용강군 다미면 오정리 | |||||||||||||||||||||
경북 의성군 안계면 봉양동 | |||||||||||||||||||||
함남 고원군 군내면 현흥리 | |||||||||||||||||||||
경북 봉화군 상운면 내임리 | |||||||||||||||||||||
황해도 평산군 상월면 하월리 | |||||||||||||||||||||
경남 울주군 청량면 개곡리 | |||||||||||||||||||||
◐인구통계 | |||||||||||||||||||||
2000년 통계청의 본관별 통계에 의하면 연일(延日)정씨 216,510명, 영일(迎日)정씨 100,263명, 오천(烏川)정씨 30,650명으로 모두 347,423명으로 나타나 있다. | |||||||||||||||||||||
◐연일정씨관련 문묘 및 서원,사당 | |||||||||||||||||||||
명칭 | 성명 | 위치 | 명칭 | 성명 | 위치 | ||||||||||||||||
문묘 | 정몽주 | 경기도 개성 | 오천서원 | 정습명 | 경북 영일군 오천면 | ||||||||||||||||
숭양서원 | 정몽주 | 경기도 개성 | 옥산서원 | 정습명 | 경남 진주 | ||||||||||||||||
충렬서원 | 정몽주 | 경기도 용인군 모현면 | 충렬서원 | 정보 | 경기도 용인군 모현면 | ||||||||||||||||
도남서원 | 정몽주 | 경남 상주 | 송강서원 | 정철 | 전남 담양군 창평면 | ||||||||||||||||
임고서원 | 정몽주 | 경북 영천군 임고면 양항리 | 입암서원 | 정사진 | 경북 영천군 | ||||||||||||||||
오천서원 | 정몽주 | 경북 영일군 오천면 원동 | 횡계서원 | 정만양 | 경북 영천군 | ||||||||||||||||
삼강서원 | 정몽주 | 경북 예천군 용궁면 | 횡계서원 | 정규양 | 경북 영천군 | ||||||||||||||||
반구서원 | 정몽주 | 경북 언양 | 청호서원 | 정호인 | 경북 대구시 | ||||||||||||||||
운전서원 | 정몽주 | 함남 함흥 | 누암서원 | 정호 | 충북 충주 | ||||||||||||||||
망덕서원 | 정몽주 | 함남 정평 | 송강사 | 정철 | 충북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 ||||||||||||||||
성산서원 | 정몽주 | 평남 용강군 | 현충사 | 정여경 | 함북 회령 | ||||||||||||||||
구강서원 | 정몽주 | 경남 울산 | |||||||||||||||||||
흥현서원 | 정몽주 | 함남 영흥군 | |||||||||||||||||||
용암서원 | 정몽주 | 전북 운봉 | |||||||||||||||||||
◐포은가문 양자 인준문서 | |||||||||||||||||||||
가통(家統)을 중시했던 조선후기에는 양자법이 일반화돼 있었다. 그러나 양자를 들이기 위해서는 정실부인은 물론 부실(副室)도 아들이 없어야 했고, 생가와 양가 부모의 합의는 필수적이었다. 이런 조건이 구비되어도 왕의 재가를 얻고서야 예조에서 입안(立案)이라는 인준문서를 발급해 주었다. | |||||||||||||||||||||
그런데 충절의 표상이었던 포은 정몽주 선생의 집안에도 양자에 얽힌 눈물어린 사연이 있었다. | |||||||||||||||||||||
포은의 자손들은 사회적인 대우는 받았지만 가세는 무척 빈한했던 것 같다. 특히 12세손이었던 정호는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외가를 전전하는 등 처지가 고약하기 그지없었다. | |||||||||||||||||||||
이를 보다 못한 우암 송시열은 정호에게 벼슬과 식량을 내려 줄 것을 숙종에게 건의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배려가 무색하게 정호의 가세는 펴지지도 않았고, 어린 아들 하나만 달랑 남겨 두고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 버렸다. 이에 최석정,이정신이 나서 아들의 생계대책을 적극 주선해 주었지만 그 아들역시 성년식을 치르기도 전에 요절하고 말았다. | |||||||||||||||||||||
이제 포은집안에는 가난과 종통의 단절이라는 이중고가 찾아들었다. | |||||||||||||||||||||
다시 관료들이 나섰다. | |||||||||||||||||||||
영의정 오명항의 주장에 따라 정호의 조카 정도제를 종손으로 입양하고 예조의 증명서도 단단히 받아 두었다. 하지만 조카 정도제마저 요절해 가문에 또 한번의 먹구름을 드리웠다. | |||||||||||||||||||||
다급하기는 조정도 마찬가지였다. | |||||||||||||||||||||
이번에는 좌의정 김재로가 영조의 면전에서 포은 종손의 입양문제를 간청하여 재가를 얻었으니, '건륭원년6월일예조입안'(乾隆元年6月日禮曺立案, 1736)이 바로 그 증명서다. | |||||||||||||||||||||
하지만 이 때에도 적임자를 구하지 못해 애를 태웠다. 궁여지책으로 정도제의 생가 아우 정하제가 양자로 내정되었지만 여기에도 곡절이 있었다. 정하제는 정정석의 외아들이었고, 정하제를 양자로 들이기 위해서는 정도제의 입양사실이 파기되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포은의 '종통잇기'에 골몰했던 신료들은 정도제의 입양 파기와 하제의 입양을 아예 공론으로 정해 버렸고, 포은의 후손이며 양명학의 대가였던 정제두도 이에 동의하며 힘을 실어주었다. 이렇게 사전준비를 마친 신료들은 왕과 대신이 상견하는 자리에서 좌의정이 나서 사안을 매듭지었던 것이다. | |||||||||||||||||||||
왜 신료들은 누가 대행할 사안이 아닌 한 집안의 양자문제에 그토록 나섰을까? | |||||||||||||||||||||
조선은 선비의 나라였고, 선비는 국가를 유지하는 '원기'였다. | |||||||||||||||||||||
포은은 모든 선비들의 존경을 받는 백세의 사표였으니, 신료들의 배려는 충절과 도학의 가문에 대한 '국가보장제도'의 하나였던 것이다. | |||||||||||||||||||||
[자료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자료연구실 www.aks.ac.kr
충남공주시 탄천면 국동리에 연일정씨 판결사공파인물(서기 1700~1960년대사이) ◯ 공주목사 정무(鄭堥)은 1641년 출생하여 운봉현감, 화순현감, 함양현감, 남원부사, 공주목사 등을 재직하였다. 그리하여 관직을 마치는 공주목사 재직 중에 양질의 풍수 묘자리를 찾기 위하여 명성 있는 묘자리 풍수 전문가에 의뢰하여 공주시 일대에서 제일 좋은 묘자리 찾아 치표를 정하였다. 즉 공주시 탄천면 국동리에 미리 정해두었다. 그리하여 1705년 1월 29일에 졸수하면서 동 장소에 묘를 만들었다. 졸수 이후 300년 동안 후손들이 공주목사님 묘를 관리하고 있는데 그의 후손들도 공주시 탄천면 국동리 마을에서 300년 동안 정착하여 12대 자손까지 이어오고 있다.
○ 정무의 관직에 공적을 보면 화순현감과 공주목사 등을 재직하면서 선민정치 하였다. 그 자료를 소개하면: 선민정치(화순현감시절 , 신유년 10월에 부임하여 병인년 8월까지 재임)를 하였다. 이를 기리기 위해 전남 화순군 동면 운동리 신운동 마을에 선민정치마애비가 현존하고 있다. 동 비문에 ‘和順縣監위 鄭堥愛民善政“(갑자년 정월에 세웠으며 갑신년 10월에 다시 만들었다.) 이 기록됨
○ 현재 정무공이 무친 묘 위치가 도학의 풍수이론상 공주일 때에서 최고로 좋은 위치에 있다. 그리하여 이를 학습하기 위하여 풍수전문가 및 풍수학습을 배우러 풍수관광객이 자주 찾아오고 있다. 즉 부동산대학의 풍수학, 풍수를 연구하는 기타교육생들의 학습장으로 연일 찾아 방문하고 있다.
◯ 공주목사 시절 선민정치를 하며 공주에서 자기 시신을 공주에 무치시며 후손들에게 공주에서 정착토록 유언하였다.
○ 그리하여 도학 풍수원리로 묘자리가 만들어져 연일정씨 후손들의 번영해 오고 있는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후손의 주요 인사를 기록하면 아래와 같다.
1. 정하언(鄭夏彦): 부친이 공주목사 재직 시 삼남으로 태생되었음(1702~1769, 숙종 28년), 문예 글씨에 능하였으며, 1735년(영조 11년) 증광문과 급제, 의주부윤, 삼척부사, 대사간 등을 역임, 묘는 국동리, 저술: 지당집
2. 정수(鄭樹, 1727~1757, 정미생): 하언의 1남, 자는 입지(立之). 정무공의 2대손으로 1750(영조26년, 경오년) 식년시 진사 3등 37위 합격 하였다. 진사, 관직은 조증문예, 증 이조판서 등 역임, 묘는 국동리 3. 정간(鄭刊, 1733년,): 하언의 2남, 1774(갑오년 증광시 생원 3등 50위), 자는 방지(防之)삼희‧ 수천‧ 익산‧ 해남‧ 사도검정 현감, 청주진관병아절제도위, 통훈대부 역임, 묘는 이인리 석물 있음 4. 정주(鄭柱, 1736~1799): 하언의 3남, 자는 경지(擎之)정조 7년 (1783)계묘년 증광시 진사 3등 57위, 관직은 영능참봉, 양성‧ 단성‧ 연일현감, 묘는 이인 동백곡 5. 정조영(鄭組榮, 1763~1847): 부 간, 양부 정수, 호는 국사(菊士), 자는 자승(子承) 1799년(정조 23년 기미) 문과 장원급제, 형조판서, 문집5권 묘는 국동 6. 정우영(鄭祐榮, 1769~1797): 간의 차남, 자는 여수(汝受), 1789년(정조 13년)생원, 통덕랑 묘: 달산리 7. 정지영(鄭祉榮 1742~?) 주의 장남, 1613년 진사양시 징능참봉, 영평‧ 평창‧ 아산군수 역임 묘는 이인면 동곡 8. 정식(鄭埴 1780~1856): 조영의 장남, 자는 공범(公範), 1822년(순조22년) 진사합격, 관직: 장원참봉, 청주 진관병마동첨절제사, 천안군수 묘: 국동리 9. 정육(鄭堉 1795~1863): 조영의 2남 양부 정우영, 1822년(순조 21년) 생원, 진사 양시 합격, 혜능참봉, 목천현감, 묘 이인 10. 정숙(鄭塾, 1819~1863): 조영의 3남 철종8년 정시 무과 합격 수문장 경상중군 선영 공주 굴적리 11. 정필현(鄭泌鉉 1820~1899) 육의 장남, 양부는 정식, 자는 형사(衡師), 1846년(헌종12년, 병오,1846년) 식년시생원 3등 35위 합격(27세), 경전, 군위, 통천 전행 양양 도후부사 ,통정대부 선영 국동 12. 정제현(鄭濟鉉 1822~1868) 육의 2남, 생원, 묘: 국동 13. 정협(鄭埉 1826~1895) 조영의 4남, 자는 공안(公安), 생원 14. 정유현(鄭遊鉉 1838~1914) 육의 자, 고종17년 무과 검사 묘: 국동 15. 정순(鄭洵 1855~?) 자는 미노(盾老)고종 38년(신묘, 증광시 1891년)합격(3등 179위) 관직: 주사 묘: 국동 16. 정오(鄭澳1859~1941) 자 무노(武老 ) 관 내무 주사, 묘: 국동 17. 정은(鄭溵 1862~1926) 유현의 장남, 자는 송치, 주사 묘: 국동 18. 정박현(鄭簙鉉1852~1920) 숙의 장남 자는 경중(敬中) 주사 묘: 국동 19. 정술원(鄭述源, 1855~1955) 숙의 2남 자는 두산(斗山) 화가, 묘: 국동 20. 정성원(鄭成源 1881~1962) 은의 장남 호는 현암(玄菴) 조흥은행, 서예가 묘: 국동 21. 정운용(鄭雲鎔 1908~ 1950)통원의 장남 탄천면장, 묘: 남산리 22. 정운경(鄭雲慶 1909~2001)성원의 장남, 서울북아현초교장, 국민훈장 동백장 묘: 국동 23. 정운복(鄭雲復 1909~1989)자는 성손(聖孫) 면사무소 주사 묘: 국동 |
첫댓글 영일정씨 정하언 일대기 신간발행
https://blog.naver.com/jyoung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