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증마크로 구분하는 정품과 내수제품 - 1] 편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하단(혹은 옆면)의 ID 라벨에 표기된 인증마크로 정품과 내수를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인증마크는 왜 표기하는지? 인증마크에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인증
전기, 전자제품에 부착하는 인증마크는 크게 국내에서 발급하는 것과 해외에서 발급하는 것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발급하는 인증마크는 정통부의 MIC 인증, EMI 인증, EMS 인증이 있으며 산업자원부의 EK 인증이 있습니다.
MIC(전자파적합등록인증) –정통부/강제규격
정보통신부의 MIC(전자파적합등록인증)은 강제인증제도로 정보통신기기를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기 위해서 해당 기기에 적용되는 인증을 받고 마크 표시를 제품에 부착하여 유통하도록 하고 있는 것입니다. 국내 유통되는 전기통신자재, 무선설비기기 및 정보기기 대부분은 MIC 인증을 꼭 받아야 합니다.
EMC(Electro-Magnetic Compativility/전자파양립성)-정통부/강제규격

EMC는 EMI와 EMS를 총칭하는 개념입니다.
1)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전자파장해) :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유해전자파가 주변에 위치한 다른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억제하는 장치가 부착되었다는 표시입니다.
2)EMS(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전자파내성) : 주변의 전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유해전자파에 의해 오동작을 하지 않게 제품 자체가 내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는 표시입니다.
EK(전기안전인증)-산자부/강제규격
 |
전기용품안전인증제도는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의거 시행되는 강제인증제도로서 안전인증을 받아야만 전기 용품을 제조, 판매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도 전기안전인증제도는 있었지만, 2000년 7월 1일부터 국제기준으로 변경하고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전기제품의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하고 있습니다. |
해외 인증
다음은 각 나라별 인증마크입니다. 대부분 국내의 MIC, EK 인증과 비슷한 의미이며, 해당 국가에 제품을 수출하거나 판매하기 위해서 규격의 강제성이나 인지도에 따라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인터넷으로 인해 세계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요즘 상식으로 알아두면 요긴하게 쓰일것입니다.
FCC(미국연방통신위원회)-미국/강제규격
미국의 전파 및 통신규격에 관한 인증으로, 민간부문의 통신을 관할하고 있으며, 전기 전자제품으로부터 복사되는 불필요한 전파가 공중통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각종 무선통신장비 뿐만 아니라 무선기기 및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 같이 사용 중에 전자파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대부분의 전기/전자기기를 미국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FCC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CE(Conformite European)–EU/비강제규격
유럽연합의 통합규격 인증마크입니다. CE 인증은 품질에 대한 보증이 아니라, 안전, 건강, 환경 그리고 소비자 보호와 관련된 유럽규격의 조건들을 준수한다는 의미이며, 유럽공동체 이외의 지역에서 제조된 제품들도 유럽공동체 시장내에서 유통되기를 원할 경우는 반드시 CE마크를 부착해야 합니다.
유럽연합(EU)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브르크, 영국, 스페인, 포루투칼, 아일랜드, 덴마크, 그리스, 오스트리아, 스웨덴, 핀란드
VCCI(Voluntary Control Council for Interference)-일본/비강제규격
VCCI는 정보처리기기에서 발생하는 불요전자파에 대한 자주규제조치로 일본의 전자파장해 규격입니다. 국가에서 시행하는 강제규격은 아니지만, 가능한 이 규격을 따르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들의 인식면에서도 상당한 역할을 하는 인증입니다.
PSE(Product Safety Electrical Appliance & Material)-일본
이전의 「전기용품단속법」라고 불리고 있던 법률이「전기용품안전법」으로 개정 되어, 일본내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기 제품의 제조,판매 등을 규제하고 전기 용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격입니다.
UL (Underwriters Laboratory)–미국/비강제규격
 |
공산품의 안전성 인증분야에서 있어 가장 귄위 있고 설립 된지 100년이 넘은 미국의 대표적인 비영리 민간단체로서 미국 내에 5개 시험소 및 전세계적인 지역 시험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비강제규격 이지만 UL Mark 가 없는 제품의 경우 소비자들이 구입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강제 규격과 같은 효과를 발휘합니다. |
UL 인증의 종류 |
 |
완제품에 대한 승인 |
 |
부품에 대한 승인. |
 |
일부 건축물 재료 및 방화용 제품에 대한 승인. |
CSA(캐나다 표준협회)-캐나다/강제규격
CSA는 캐나다 국민의 안전 및 정부 산업계의 공익을 위해 CSA 규격에 따른 시험 및 인증 업무를 제공할 목적으로 1919년 연방 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 민간 단체입니다. 캐나다에서는 전기기기, 전기기계, 전선류, 전기부품 등에 대해 거의 모든 주에서 CSA안전시험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CSA인증을 받지 않고 판매되는 경우에는 법률에 의하여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CCC(중국강제인증제도)-중국/강제규격

CCC Mark는 China Compulsory Certificate의 약자로 "중국강제인증"으로 통칭되는 규격으로써 중국 내에 유통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IEC(국제전기 표준 협회) 및 중국 국가 표준에 준하여 안전인증과 품질인증을 받도록 한 제도이며, 불합격 시 중국 내 생산,수입,수출이 금지됩니다.
주요대상품목 : TV등 가전6종/자동차등 공산품 3종/세탁기등 전자제품 20종/의료용X-Ray등 부품18종
C-TiCK(호주 전자파 규격)-호주/강제규격
C-TiCK Mark는 호주의 전자파장해에 대한 규격으로 SMA(Spectrum management Agency)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전자파장해 관련된 규격으로는 뉴질랜드와 상호인증협정체결로 공동 작성된 규격이 있으며, 이 규격은 CISPR Standard(국제전파장해특별위원회 표준)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주요대상품목 : 가정용 전기기기, 휴대용 공구 및 유사기기, 형광 기기 및 조광등, 정보기기, 라디오, TV 수신기 및 조합기기, ISM기기 등
TCO 99(저주파 및 고주파에 대한 전자파 규제)-스웨덴/비강제규격
 |
'98년 SWEDEN-TCO(스웨덴 근로연맹조합)기관에서 TCO 99를 제정하여 전세계의 소비자에게 TCO 99를 취득한 제품은 안전하고 환경을 고려한 제품으로 인류의 환경과 인체에 해를 최소화 시키는 제도라고 국제전자 SHOW에서 설명회를 개최한 후, BIG DEALER 및 소비자에게 홍보되어 유럽 전역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규격입니다.
주요대상품목 : Visual Display Unit, System Unit, Keyboard, Complete Personal Computer |
SEMKO(스웨덴 전기안전규격)-스웨덴/강제규격
제품을 스웨덴 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SEMKO인증을 획득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스웨덴에 있는 여러 관계당국은 전기법(Electrical Act)에 의해서 별도로 선정된 기기에 대하여 시험검사를 해 SMEKO(Svenska Elecktriska Materielkontrollanstalen : 스웨덴 전기안전규격)에 적합하지 않으면 판매할 수 없습니다.
주요대상품목 : 통신 및 전자기기, 전기기기 및 전기 시설기자재, 가정용 기기, 측정 및 시험용 기기 등
NEMKO(노르웨이 전기안전 규격)-노르웨이/강제규격
NEMKO(Norges Elektriske Materiellkontroll)는 1924년 설립되어 가정용 전기기기와 부품의 검사와 승인을 하며, 노르웨이 전기 안전 규격의 명칭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NEMKO에서 행하는 시험검사 후에 인증을 받지 못한 부품 및 재료를 포함한 모든 가정용 전기기기는 노르웨이 국내에서 판매 및 진열 될 수가 없습니다.
주요대상품목 : 전원코드 및 코드, 전원 Conduit, 통신 및 전자기기, 전기조명 및 부속품, 전기냉동 및 열기구, 가정용 전동공구, 전기시설용 기자재 등
FIMKO(핀란드 전기안전 규격)-핀란드/강제규격
 |
FIMKO의 주요검사 관리업무는 전기시설 검사, 전기원동열 응용 리프트 및 크레인 검사, 전기기기 및 전동력 응용 기기의 안전시험 그리고 전기 콘트랙터 시스템의 관리 등 입니다. 적용규격은 핀란드 전기규격(Finish Electrical Standard)입니다.
주요대상품목 : 가정용 기기, 전열기구, 전자기기, 조명기기, 전등공구, 난방기기, 전원코드 및 케이블, 스위치 등 |
DEMKO(덴마크 전기안전 규격)-덴마크/강제규격/1996년 UL로 인수되었음
DEMKO(Denmarks Elektriske Materielkontroll)는 1924년 덴마크의 민간단체로 설립되었으며, 1930년 정부기관으로 의 발족과 더불어 승인업무를 개시했습니다. 덴마크에서는 전기기기, 기구, 부속품, 전선류의 대부분에 대하여 DEMKO의 인증을 필요로 합니다. 인증을 받은 제품에는 전부 DEMKO 마크 표시를 하고 판매하여야 합니다.
CBJW(폴란드 전기안전 규격)-폴란드/강제규격
폴란드에서는 1959년부터 제품승인제도를 시행했습니다. 폴란드 시험 및 승인센터(Polish Center for testing and Certification, PCBC)는 제품에 대한 시험 결과와 공급자 품질시스템의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적합한 경우 승인서가 발행됩니다.
GOST(러시아 연방국가 표준 규격)-러시아/강제규격
GOS-TANDART 또는 GOST는 "러시아연방국가 표준.측정인증위원회"를 뜻합니다. 주요목적은 제품 및 측정기술의 표준화, 표준화 및 측정기술의 체제개선, 제품의 품질지침 표준화, 제품 및 품질인증제도 운영, 생산전문화, 제조공정의 기계화/자동화, 제품의 호환성 도모, 측정방법의 표준화 및 측정 정도 향상, 러시아 연방규격제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