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성에 소금강 백마산을 가다 "
충북 괴산군 사리면 . 음성군 원남면
백마산(白馬山) 해발(461m) . 보광산(普光山) 해발(539m)
산행일:2024년 06월 15일 나홀로 산행
산행 코스:소매저수지-(백마산)등산안내도-응암마을-콘크리트(임도)-새치마골-부도탑-백운사-계곡-(안부)이정표-
묘지-로프구간-백마산(백)-백마산갈림길-고리티고개-전망대-보광산-봉학사지-정자-보광사-
임도-보광사갈림길-(한남금북정맥)사거리-보광산입구(굴다리) 하산 거리 9.5km
산행 시간 4시간 30분 소요 된다
택시이용:보광산입구(굴다리) -소매저수지
네비:충북 괴산군 사리면 "소매저수지"
*** 소매(백마) 저수지 ***
*** 응암마을 ***
*** 응암마을 농촌 풍경 ***
*** 백운사로 들어가는 구불구불한 코크리트 임도 ***
*** 백운사 법종각 ***
*** 판넬집 건물 옆으로 백마산 등산로 입구 ***
*** 용왕궁 ***
*** 백운사 법당 ***
백운사는
대한불교 법화종의
사찰이며 고려시대 대흥사라고
불리던 사찰 부근에 세워진 절로 1930년
하장우가 초막을 짓고 백운사라 하였고 1933년 승려
송운제가 법당을 지었으며 1960년 불에 탄 법당을 중창
하여 오늘에 이르고 육산의 백마산에 드물게 보이는 바위가
무리를 이루어 멋진 자연경관을 보여주고 커다란 바위 사이에는
마애약사여래 부처상이 조각되어 있고 마래약사여래불은 왼손에는
약병이 들려져 있고 위에는 삿갓 형태의 바위가 있으며 둘레에는
바위들을 보필하듯 서 있는데 여래불은 1988년에 조성되었고
전방으로 바라 보이는 백마저수지가 아름답고 주변에는 아
름드리 멋진 소나무가 운치를 자아내는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하는 자연이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고이다.
*** 백마산 ***
백마산은
충북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주봉리와 괴산군
사리면 소매리에 걸쳐 있는 백
마산 해발(461m)로 수석이 절기하고
경치가 아름다워 일명 음성의 '소금강'이라고
부르며 남쪽에는 백운사가 자리잡고 있으며 북쪽에
는 주봉사가 있으며 백마산을 경계로 북쪽은 남한강 수계
이고 남쪽은 금강 수계의 분수령을 이루어 충북은 지형적으로
남북으로 구분하는 경계의 산이며 백마산을 오르다 보면 백마굴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굴에서 백마가 나왔다고 하여 백마산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가뭄이 심할 때 이 산에 올라 기우제를 지내면 반
듯이 비가 내린다는 명산으로 산 정상에 올라 자세히 살펴보면
이 산 주변의 작은산들은모두 백마산을 보고 엎드려 절하는
것 같은 형상을 볼수 있으며 산은 육산으로 수림이 울창
하고 한남금북정맥이 지나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 보광산 ***
보광산은
충북 괴산군 사리면 수암리
소수면 소암리의 경계에 위치하는
보광산 해발(539m)로 보광산의 원래 이름은
'봉학산'이었다가 조선 중기부터 '보광산'이라고 불렀다고
하며 정상 부근에는 봉학사 터가 있는데 고려 때 조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학사지 오층석탑이 남아 있고 보광산에서 청안 칠보산
좌구산으로 이어지는 낮은 산들은 산맥이라기 보다 구릉의 연결에
불과 하나 한강과 금강의 분수령을 이루는 노령산맥에 속하며
보광산은 육산으로 경사가 심하지 않아 산행하기 좋은 울창
한 숲을 이루고 있어 힐링하기에 아주 좋은 조건을 갗추고
있는 괴산의 명산이다.
*** 봉학사지 5층석탑 ***
*** 정자(쉼터) ***
*** 보광사 대웅전 ***
보광사는
한국불교 태고종에
속하는 사찰이며 고려 충혜왕
1년(1330년)에 창건되었으며 보광사는
봉학사의 옛터 아래쪽에 건립하여
고려시대에 유명한 사찰이었다
고 전해지고 있는 절이다.
*** 한남금북정맥 등산로 안내도 ***
*** 보광산 등산 안내도 ***
*** 보광산 관광농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