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전통의 명문 경주이씨 종친회 원문보기 글쓴이: 이이우
● 교과서의 촌수 읽는 방법은 혹 잘못된 것이 아닌가?
* 촌수 읽는 방법이 직계 계대의 세(대)수를 읽어서 계산하는 것이 이상해서 나의 생각을 정리해본 것입니다.
잘못된 주장같으면 큰 질타는 마시고 의견을 말해 주시면 삭제. 수정 등의 조처를 취하겠습니다.
① 중학교 도덕교과서에 고모와 나 사이의 촌수를 읽는 방법이 나와 있다.
[고모와 나 사이의 촌수를 할아버지와 할머니로부터 갈라졌으므로
조부모로부터 나에 이르기까지 2세대, 조부모로부터 고모에 이르기까지 1세대를 합하여
나와 고모는 3촌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찬)에는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나와 부모 사이는 한 마디로 1촌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촌수는 반드시 부모 자식간의 관계로 따지기 때문에 나의 형제·자매는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부모의 자식이기에 나와 관계 지어졌다는 점에서
나와 부모간의 1촌과 부모로부터 나의 형제·자매까지의 '1촌'을 합하여
'2촌'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식으로 아버지의 형제는 사실상 할아버지의 또 다른 아들이기에,
아버지까지의 1촌과 거기서 할아버지까지의 1촌,
그러고 할아버지에서 큰아버지(또는 작은 아버지)까지의 1촌을 모두 합하면
아버지의 형제는 나와 '3촌 관계'에 있는 셈이다.
3촌의 자녀들은 나의 4촌들이고 그들의 자녀들은 나의 5촌 조카들이다.
이와 같이 촌수는 아무리 먼 친척이라도 적용될 수 있겠지만
이런 친소의 정도를 표시하는 촌수가 친족호칭으로 대용되고 있는 것은
대체로 3촌· 4촌· 5촌· 6촌· 7촌 그리고 8촌에 국한되어 있는 것 같다.]
또 아래는 인터넷에 올라있는 촌수 읽는 방법을 설명한 글이다.
[촌수 따지는 법이 공동조상까지의 세대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사촌의 촌수 계산은 나와 사촌의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 세대 수가 2세대,
사촌과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 세대수가 2세대입니다.
여기서 숫자만 필요합니다. '2 + 2 = 4촌'입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나와 아버지의 1촌,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1촌,
사촌과 아버지 형제 1촌, 아버지 형제와 할아버지 1촌입니다.
- 계산은 1 + 1 + 1 + 1 = 4촌이 됩니다.]
(의견)
위의 세 가지 사례는 모두 촌수 읽는 방법이 같다.
먼저 촌수를 알고자하는 친척과의 공동조상을 정한 뒤
나와의 직계 계대를 세(대)수로 읽고
촌수를 알고자하는 친척과 공동조상과의 세(대)수를 읽은 후
직계와 방계의 세(대)수를 합한 수에 촌을 붙여 촌수를 읽는 것이다.
앞의 두 가지 사례는 고모와 나의 촌수를 알기위하여
'할아버지와 할머니로 부터 갈라졌으므로'라는 표현으로 말하여 공동조상을 찾고
또 하나는 나와 아버지의 형제 즉 백숙부와의 촌수를 알기위하여
'아버지의 형제는 사실상 할아버지의 또 다른 아들이기에'라는 표현으로 공동조상을 말하고
세 번째 사례에는 바로 '공동조상'을 정하여 직계와 방계의 세대수를 읽어 촌수로 말하고 있다.
그러면 3번째 사례를 들어서 위의 3가지 사례와 같은 방법으로 촌수를 읽어보자.
나와 4촌 형제(종형제)의 공동조상을 찾으면 조부(할아버지)이다.
‘나‘를 중심으로 한 4촌인 종조부님까지 촌수를 도표화 하면 아래와 같다.
조부---------------------------④종조(조부의 형제)
↓ ↓
①부-----------③백숙부(부의 형제) ⑤종백숙부
↓ ↓ ↓
◆나---②형제 ④종형제 ⑥재종형제
↓ ↓ ↓ ↓
아들 ③질 ⑤종질 ⑦재종질
↓ ↓ ↓ ↓
손자 ④종손 ⑥재종손 ⑧3종손
↓ ↓ ↓
증손 ⑤종증손 ⑦재종증손
○표 안의 1. 2. 3. 4 등의 숫자표시는 촌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보면 나를 기준으로 4촌(四寸)관계에 있는 친척은
1) 나의 형제의 손자인 종손(내 형제의 손자).
2) 나의 아버지의 형제인 백숙부의 아들인 종형제(4촌형제).
3) 조부님의 형제인 종조부님이 4촌간이 된다.
위의 [ ]안의 글 촌수 읽는 방법은
2)항 백숙부의 아들 즉 나와 4촌인 종형제만의 촌수를 읽는 방법을 말하고 있다.
그 외 4촌이 되는 1)항 나의 형제의 손자인 종손과
3)항 조부님의 형제인 종조부님이 나와 4촌인데 이들과의 읽는 방법은 설명이 없다.
여하간 아래의 [ ]안의 촌수 읽는 방법대로 4촌 종형제의 촌수를 읽어보자.
[사촌의 촌수 계산은 나와 사촌의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 세대 수가 2세대,
사촌과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 세대수가 2세대입니다.
여기서 숫자만 필요합니다. '2 + 2 = 4촌'입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나와 아버지의 1촌,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1촌,
사촌과 아버지 형제 1촌, 아버지 형제와 할아버지 1촌입니다.
- 계산은 1 + 1 + 1 + 1 = 4촌이 됩니다.]
라고 4촌 형제의 촌수를 읽기 위한 방법을 말하고 있다.
위의 글에서 4촌의 촌수 계산은
‘나와 사촌의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 세대 수가 2세대,
사촌과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 세대수가 2세대입니다.’
라고 읽어 4촌이라고 계산을 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4촌’은 분명히 백숙부의 아들인 종형제를 말한다.
나와 4촌의 촌수를 계산하는데 나와 종형제의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단지 사촌 형제(종형제)와의 촌수를 읽기 위하여 핏줄이 갈라져 나온
백숙부와 나의 아버지의 공동 조상이 꼭 필요하다는 뜻으로만 나타내고 있다.
①조부------------------------- ④종조(조부의 형제)
↓ ↓
①부-----------③백숙부(부의 형제) ⑤종백숙부
↓ ↓ ↓
◆나---②형제 ④종형제 ⑥재종형제
↓ ↓ ↓ ↓
①자 ③질 ⑤종질 ⑦재종질
↓ ↓
①손자 ④종손(조카의 아들)
위의 표에서 보다시피 공동조상인 할아버지(조부)는 언뜻 보기에도
나와 ‘종조부님’과의 촌수를 읽는 데는 필요한 것 같지만
나와 4촌간인 ‘백숙부의 아들인 종형제’와 ‘나의 형제의 손자인 종손’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 같은데
공동 조상인 할아버지는 촌수 셈을 하는 데에는 꼭 필요한 모양이다.
위의 글과 같이 공동조상을 정하여 나와 공동조상까지를 세(대)수를 읽고,
4촌의 종형제가 또한 또 공동조상까지 세(대)수를 읽어
이 둘을 합하여 4촌으로 읽으면 촌수가 읽어지는 것이다.
‘나‘를 기준으로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
나와 아버지 1세(대). 아버지와 할아버지 1세(대)로 하여 모두 2세(대)로 읽고
사촌 형제도 마찬가지로 종형제와 백숙부 1세(대).
백숙부와 공동조상인 할아버지까지를 1세(대)로 하여 계 2세(대)로 읽고
이를 모두 4세(대)로 읽어 4촌으로 읽는다.
이렇게 읽는다면 역시 4촌간인 ‘나의 형제의 손자인 종손’도 그렇게 읽을 수가 있을 것 같다.
단지 이럴 때는 할아버지가 공동조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나‘가 공동조상이 되어야 읽을 수 있다.
그런데 ‘나’를 기준으로 사촌형제(종형제)를 읽기 위해서는 공동조상인 할아버지를 정했는데
조카의 아들 ‘종손’의 공동조상을 ‘나’로 정하여 읽는 것은
내가 종손(조카의 아들)에 비하여 조상인 것은 틀림없으나 공동조상이 되는 것이 좀 찜찜하다.
읽으려면 읽어지나 억지로 만들어 읽는 느낌이라는 말이다.
‘나’를 기준으로 공동조상을 정해야 하는데 ‘종손‘의 공동 조상으로 정한 때문이기도 하다.
여하간 ‘나’를 공동조상으로 하고 나와 아들 1촌. 아들과 손자 1촌 계 2촌이고
나와 조카 1촌. 조카와 종손 1촌으로 계 2촌이니 2+2=4로 4촌이 되긴 한다.
그렇다면 나와 종조부간의 4촌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이럴 때도 공동조상을 찾아야 하는데 나와 종조부님의 공동조상은 나의 증조부님이시다.
이를 촌수로 읽으면 나와 아버지 1촌. 아버지와 할아버지 1촌.
할아버지와 증조할아버지 1촌. 계 3촌과 종조부와 증조할아버지 1촌으로 하여 4촌이 된다.
공동조상을 정하여 촌수로 읽어도 바르게 촌수가 읽어지기는 한다.
그런데 첫째 위와 같이 읽으니 하나의 의문점이 생긴다.
의문점은 위에서도 지적한바와 같이 ‘공동조상의 설정’이다.
‘공동조상’을 만들어 나의 직계의 세(대)수를 읽고
방계 혈족의 세(대)의 수를 읽고있다는 점이다.
둘째 촌수가 없다고 하는 직계 혈족의 세(대)수를 읽어
그 수에 바로 '촌' 단위를 붙여 '촌수'로 읽는 잘못을 발견할 수 있다.
반복하지만 본디 나와 직계 혈족은 촌수가 없다고 했다.
다만 방계의 촌수를 읽기 위하여
나와 아버지의 촌수를 1촌으로 하는 것만 허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나와 직계혈족은 촌수가 없는 만큼
나와 아버지 1촌외 아버지와 할아버지. 할아버지와 증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와 고조할아버지를 각 1촌으로 읽어서도 안 된다는 점이다.
위의 글에서는 세(대)수로 읽어 촌수로 나타내었는데 세(대)수로 읽거나 촌수로 읽거나
말만 틀리지 같은 수로 읽는 것은 매한가지이다.
촌수가 없는 것을 촌수를 붙여 읽으면 안되니까
촌수 대신 세(대)수를 넣어 읽었을 뿐인 것 같다.
이와같은 의문점을 덜기 위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4촌의 촌수를 읽어 보자.
이 방법이 위의 잘못과 의문점에 저촉되지 않는 방법으로 보인다.
1) 나의 형제의 조카의 아들인 ‘종손’이 나와 4촌이 되는 것부터 읽어보자.
나와 아버지 1촌 - 나와 형제 2촌→ 질(조카) 3촌→ 종손 4촌으로 읽는다.
* ( — )는 방계쪽 표시. ( → )는 직계쪽 표시
나와 형제는 2촌간이다.
나와 형제의 아들 질(조카)은 나의 형과 동생의 아랫대로 +1촌 하여 나와 3촌간이며
나와 조카의 아들인 종손은 조카의 아랫대로 +1촌 하여 나와 4촌간으로 읽는다.
2) 나의 아버지의 형제인 백숙부의 아들인 종형제도 4촌간이다.
백숙부 3촌→ 종형제 4촌으로 읽는다.
즉 종형제는 사촌 형제를 말한다.
백숙부 3촌→ 종형제 4촌으로 읽고 보니 1촌과 2촌이 없다.
이는 나와 아버지 1촌. 나와 형제 2촌을 헤아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디는 나와 아버지 1촌 — 나와 형제 2촌 — 나와 백숙부 3촌 → 종형제 4촌으로 읽는다.
3) 조부님의 형제인 종조부님도 나와 4촌이다.
이도 읽어보면 나와 아버지 1촌 — 나와 형제 2촌 — 나와 백숙부 3촌 — 나와 종조부 4촌이 된다.
그리고 4촌을 넘어서 나와 종증조부 5촌. 나와 종고조부 6촌으로 읽는다.
이렇게 촌수를 읽으려면 촌수를 읽기 위하여 기본 계대와 촌수가 필요하다.
나와 아버지 1촌. 나와 형제 2촌. 나와 백숙부 3촌. 나와 종조부 4촌.
나와 종증조부 5촌. 나와 종고조부 6촌으로 이를 기본 계대의 촌수로 해야
다른 친척등과의 촌수를 읽게 된다.
나와 가까운 순서대로의 방계 친척명과 기본 촌수를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럼 먼저 ‘나의 형제의 계대’를 차례로 읽어 촌수를 말해보자.
‘나와 형제’의 기본 촌수는 2촌이다.
그 아랫대인 나의 조카는 +1촌을 하여 3촌 사이가 되고
조카의 아들 즉 종손(형제의 손자)은 3촌에 +1촌 하여 4촌으로 읽게 된다.
두 번째 백숙부의 계대도 나와 백숙부의 기본 촌수인 3촌을 기준점으로
그 아래 후대로 +1촌씩 아랫대로 더해 가면서 읽는다.
백숙부가 3촌이니 백숙부의 아들은 +1촌 하여 4촌이 된다는 의미이다.
이를 4촌 형제라 하며 종형제라고도 한다.
그 외 종조부 계대. 종증조부 계대. 종고조부 계대도
각기 기준 촌수 4촌. 5촌. 6촌에서 +1촌을 하여
각 계대의 아래 후손 대를 읽으면 쉽게 촌수를 읽을 수 있다.
위의 설명과 같이 하면 위의 3가지 사례와 같이 촌수 읽는 방법에서
첫째 공동조상을 정할 필요가 없으며
둘째 직계 혈족의 세(대)수를 읽지 않아도 촌수를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직계 혈족은 촌수가 없다'라고 하는 말은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나와 아버지의 1촌외는
직계의 어떤 세(대)도 촌수로 읽는 것이 허락되면 안 된다는 뜻일 것 같다.
즉 나와 방계 혈족의 멀고 가까은 관계를 말하는 촌수를 방계 계대에서 읽어야지
직계 혈족의 세(대)에서 찾는다던가 읽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여하한 일이 있어도 촌수를 읽는데에는
직계 혈족의 세(대)수를 관련지어 읽을 필요가 전연 없는 것이다.
나와 아버지의 촌수 1촌만은 예외로 인정하는 것은
나와 나의 형제의 촌수가 2촌인데 2촌을 읽기 위하여
1촌이 있어야 하는 필요성에서 1촌을 인정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다시 한 번 촌수 읽는 방법을 정리하면
(1) 나와 핏줄이 가까운 차례대로 친척 명을 나타내고 정해진 기본 촌수를 익힌다.
①나와 아버지 1촌.
②나와 형제 2촌.
③나와 백숙부 3촌.
④나와 종조부 4촌.
⑤나와 종증조부 5촌.
⑥나와 종고조부 6촌을 기본 촌수로 외워둔다.
(2) 촌수 읽는 것은 각 계대별 아랫대로 +1촌씩 하여 촌수를 읽는다.
즉 ‘나의 형제 계대’는 형제 2촌에 +1촌을 하여 조카 촌수 3촌을 읽고
그 아랫대인 종손은 조카 촌수 3촌에 +1촌을 하여 4촌으로 읽는다.
백숙부 계대 3촌부터 아랫대로 +1촌씩 더하여 읽고
종조부 계대. 종증조부. 종고조부 계대를 마찬가지로 읽으면 된다.
정해진 계대별 기본촌수에서 +1촌씩 하여 읽어 내려가면 나와의 촌수를 읽을 수 있다.
이렇게 촌수를 읽으면 직계혈족의 촌수는 전연 읽지 않으니까
‘직계혈족은 촌수가 없다‘ 는 말과 일치되는 면이 있고
‘촌수는 방계의 멀고 가까운 사이를 나타내는 관계‘라는 말의
방계의 촌수를 읽는다는 말에 부합되는 말일 것 같다.
그렇다면 중학교 도덕 교과서를 포함한 3가지 사례의 촌수 읽는 방법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녹전 이이록(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