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을 광(廣)자는 의부(義符)로 집 엄(广)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를 한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넓을 광(廣)자의 뜻은 집 엄(广)자 속에만 있습니다. 누를 황(黃)자는 글자의 발음을 표시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많다 적다, 크다 작다, 덥다 춥다, 등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주변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넓다, 좁다하는 것도 주관적으로 인식하기 마련이지요.
여름에는 주변 환경이 더우니까, 에어컨으로 25,6도만 해도 시원하다, 심지어는 춥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겨울에는 25,6도면 덥게 느끼지요
넓을 광(廣)자가 집 엄(广)자만 써놓고 넓다는 뜻이 되었을까요? 이는 집에 있을 때는 집이 제일 넓고, 밖에 나가면 지금 처한 공간이 제일 넓다는 극히 주관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한 글자이기 때문입니다.
廣
狹
좁을 협(狹)자도 같은 인식에서 생겨난 글자입니다. 좁을 협(狹)자에 의부(義符)는 개 견(犬,犭)자입니다. 낄 협(夾)자는 좁을 협(狹)자의 성부(聲符)입니다. 개 견(犬,犭)자가 왜 좁다는 뜻이 되었을까요? 이는 인식의 관습에서 생긴 결과입니다.
사람만 있을 때는 공간이 좁지 않습니다. 그런데 개가 섞이면 공간이 좁아집니다. 이질적 동물이 들어와서 갑자기 공간이 좁게 느껴진다는 뜻입니다. 이런 체험은 현실적으로 우리들이 느끼면서 살고 있습니다.
100평의 아파트도 좁을 수가 있고, 10평의 오피스텔도 넓을 수가 있습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좁은 것도 넓게 쓸 줄 아는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