욀 송(誦)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길 용(甬)자를 했습니다. 길 용(甬)자는 가로수나 담이 있는 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옛날에는 임금만 다니는 길을 만들었습니다. 백성이 넘겨다보지 못하도록 담을 쌓았다고 합니다. 당나라 현종은 성도에서 화청지까지 담을 쌓아 길을 만들고 양귀비와 늘 왕래했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욀 송(誦)자도 길 용(甬)자가 들어 있어서 ‘송’으로 읽습니다. 송공(誦功) 송문(誦文) 송서(誦書) 암송(暗誦) 송경(誦經) 송습(誦習) 송념(誦念)
송사할 송(訟)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했습니다. 공변될 공(公)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사사로울 사(厶)자를 했습니다. 사사롭지 않고 여러 사람과 관련이 되는 공적이라는 표시로 여덟 팔(八)자를 했습니다. 소나무 송(松), 기릴 송(頌), 두려워서 당황할 송(彸)자들은 공변될 공(公)자가 들어 있어서 ‘송’으로 읽습니다. 소송(訴訟) 송사(訟事) 송무(訟務) 송관(訟官) 송정(訟庭) 쟁송(爭訟) 내송(內訟)
소나무 송(松,枀)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했습니다. 공변될 공(公)자는 사사 사(厶)자에 여덟 팔(八)자를 해서 사사로움이 아니라, 공적(公的)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송사할 송(訟), 기릴 송(頌), 두려워서 당황할 송(彸)자들은 공변될 공(公)자가 들어 있어서 ‘송’으로 읽습니다. 송목(松木) 송림(松林) 송로(松露) 청송(靑松) 노송(老松) 송백(松柏) 송풍(松風)
기릴 송(頌)자는 의부(義符)로 머리 혈(頁)자에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했습니다. 공변될 공(公)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사사로울 사(厶)자를 했습니다. 사사롭지 않고 여러 사람과 관련이 되는 공적이라는 표시로 여덟 팔(八)자를 했습니다. 소나무 송(松), 송사할 송(訟), 두려워서 당황할 송(彸),심심할 송(忪)자들은 공변된 공(公)자가 들어 있어서 ‘송’으로 읽습니다. 칭송(稱頌) 송덕(頌德) 송문(頌文) 송가(頌歌) 송사(頌辭) 하송(賀頌) 게송(偈頌)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