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의 속성을 어떻게 보는가? 우선 재다신약(財多身弱)의 이치다. 돈이 많으면 몸이 약해진다고 명리학에서는 설파한다. 재물을 손에 넣으려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고, 신경 쓸 일이 많아진다. 돈이 많으면 옆에서 가만두지 않는다. 잡고 흔든다. 친척들도 도와달라고 손을 벌린다. 주변에서 사기꾼이 모여든다.
큰 재물을 감당하려면 재다신강(財多身强)해야 한다. 몸이 강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판단력이 정확한 것을 의미한다. 어떤 상황의 핵심을 간파해내는 능력, 그리고 상대방의 마음을 읽어내는 독심술(讀心術)이 있는 사람을 판단력이 좋다고 말한다. 명리학에서는 몸을 튼튼하게 강화시키는 방법을 두 가지로 제시한다. 하나는 인수(印綬)를 보강하는 방법이다. 인수는 학문과 공부를 뜻한다. 돈은 많고 몸이 약한 사람은 끊임없이 공부하는 사람을 가까이하고, 본인이 책 보고 지혜로운 사람들과 가까이 놀아야 한다.
그러나 돈이 많으면 대체적으로 주색잡기를 좋아하고, 공부하는 쪽은 싫어한다. 보강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자기 동지를 많이 만들어 두는 방법이다. 자기를 보호하는 외호(外護) 인맥을 두텁게 형성해 두어야 한다. 그러자면 역시 주변 사람들에게 돈을 풀어야 한다. 돈을 쓸 줄 알아야 한다. 이것을 식신생재(食神生財)라고 부른다. 주변 사람들을 도와주는 데는 돈을 쓰고, 본인의 주색잡기에는 별로 돈을 쓰지 않는 스타일을 가리켜 식신생재 격이라고 한다. 작은 부자들은 돈을 아껴서 부자 되지만, 큰 부자는 돈을 써서 부자가 된다. 재벌 창업자들의 사주팔자를 보면 공통적으로 식신생재 격이 많다. 사람을 잘 알아보고, 사람에 대한 투자를 할 줄 아는 팔자가 식신생재이다. 지인지감(知人之鑑·사람을 보는 감식력)이 있어야 쓰는 돈이 보람이 있다.
식신생재 팔자를 타고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윗대 조상 가운데 적선을 많이 한 사람이 반드시 있었다는 사실이다. 조상이 쌓아놓은 복을 후손이 받아먹는 셈이다. 이런 이치를 알고 있었던 지혜로운 부자들은 집안에 우환이 생기거나 몸이 아프면 재물을 풀었다. 주변을 기쁘게 하여 그 기쁜 에너지를 자신이 당겨서 쓰는 셈이다.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부(富)를 대물림하는 구조를 만들어라
한 개인의 노력으로 이룰 수 있는 부의 크기는 한계가 있다. 세계의 각 나라들이 점차 긴밀한 관계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수록 개인의한계는 더욱 커진다. 미국 발 금융 위기는 세계 전체를 불황으로 몰아간다. 중국의경기 악화가 한국 경기에즉각적인영향을 준다. 어느 누구 한 사람만, 한 국가만 잘 산다는 식의 논리가 통하지 않는다.
우리 모두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부의 그릇’또한 마찬가지이다. 그 그릇은 나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부모와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인자, 보이지 않는 환경으로부터 총체적인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다. 따라서 부는 단지 한 사람에게 국한되어 있기 보다는 가족, 사회, 국가 전체가 함께 엮어있는 복합적인 부분이다.
그래서 혼자 부유하기보다는 가족 전체가 부유했으면 좋겠고, 한 가족보다는 사회, 국가, 나아가 세계 전체가 부유한 구조로 바뀌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큰 틀이 풍요롭게 자리 잡으면 그 안에 있는 작은 개개인들도 자연스레 그흐름을 따라가게 되어 있으니 말이다. 뿌리에 물을 주면 크고 작은 가지나 이파리들도 따라서 싱싱해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또한 소진되지 않는 부의 구조, 대대손손 물려줄 수 있는 탄탄한 부의 그릇을 만들고자 한다면 무엇보다도 부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부의 가장 큰 특성은 순환하는 가운데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부는 마치 전기처럼 끊임없이 돌고 도는 과정에서 그 에너지를 발산한다. 나는 그것을 잠시 빌어다 쓰고 있을 뿐이다. 부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지 않는다면 그저 소진되고 만다. 일시적으로 왔다가 사라질 뿐이다.
그러니 지금 당신에게 머물러 있는 부를 다만 아주 조금씩이라도 순환하는 연습을 시작하라. 주위의 어려운 이웃을 위해, 사회를 위해, 나아가 사람들의 마음을 밝히는 일에 내가 가진 것을 나누어 보라. 이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의 행동을 남에게 과시하거나 드러내기 보다는 묵묵히 소리 없이 부를 순환시켜야 한다는 사실이다.
다만 그렇게 세상과 나눌 수 있다는 자체에 감사한 마음으로 말이다. 그러면 부가 보이지 않게 순화하는 가운데 더 큰 부의 그릇을 만들 내면의 에너지가 축적된다. 그 에너지는 나에게만 머물러 있지 않고 자식에게, 후손에게 물려 내려진다. 태어나면서부터 그 부의 그릇을 갖고 태어난 아이는 소진되지 않는 부의 구조 속에서 더욱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빛이 왜 부의 힘인지, 빛과 함께 하는 가운데 찾아드는 부가 단순한 우연이 아닌 필연적인 인과관계에 바탕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또한 몇 차례 빛을 받아 일시적으로 에너지를 충전해 작은 결실을 보는데 그치지 않고 자식 대까지 물려지는 부, 소진되지 않고 지속되는 부를 쌓을 수 있게 된다.
지금 경제적으로 넉넉하고 풍요로운 시기에 있다면 훗날을 위해 묵묵히 부를 순환시켜두어야 한다. 또한 힘들고 어려운 시기라 하더라도 미래를 위해 더 넓은 마음으로 작은 부분부터 부를 순환시켜 나가야 한다. 이것이 부를 오래도록 대물림하고, 영원히 소진되지 않는 풍요의 구조를 만드는 방법이다.
출처 행복순환의 법칙 P.66~69중
나눌수록 커지는 힘
‘순환하는 가운데 힘을 발휘하는’ 부의 특성을 인지해야 한다.
부는 무조건 축적하고 쌓아두기보다는
돌고 도는 순환 과정에서 더 큰 에너지를 발휘한다.
부자든 아니든 누구나 자신에게 머물러 있는 부를
아주 조금씩이라도 주위의 어려운 이웃들과
나누고 순환시키는 연습을 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때 자신의 공을 남에게 드러내기보다는
더불어 행복해 질 수 있다는 그 자체에 감사하면서
묵묵히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좀처럼 바뀌지 않는 내면의 그릇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가 축적되고 이후 더 큰 부가 나 자신은 물론 이웃들과 후손에게 되돌아온다.
출처 : 향기와 빛명상이 있는 그림찻방 P. 95에서
부의 바탕, 감사하는 마음
가끔 해외에 나가면 선조들이 이미 닦아놓은 부의 구조 속에 후손들 또한 부를 누리며 살아가는 나라들을 보게 된다. 특히 유럽의 국가들이 그러하다. 몇 백 년 전의 건축물이나 예술작품들 그리고 그 안에 녹아든 장인정신이 어떤 자연자원에 비할 수 없는 든든한 자산이 되어 이들 국가의 부를 유지하는 저변을 만들어주고 있다. 이를 물려받은 후손들은 선조들이 일구어놓은 부의 바탕 속에서 그것을 누리고 살아간다.
그 모습을 보면 드는 생각이 있다. 우리나라 또한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한민족 고유의 독창적인 문화와 아름다운 유산을 물려받은 후손이 아닌가. 그런데 왜 그것이 오늘날 그네들과 같은 부를 대물림하는 구조로 정착되지 못하였을까? 또한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과 정신을 더욱 큰 부를 일구고 후손에게 남기는 과정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을까?
우선 우리의 역사에 한 원인이 있다. 20세기 초, 열강들의 이권다툼 속에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열강들의 수탈 형태로 강압적인 문물 개방이 이루어졌다. 외세에 의한 개방이기에 우리의 전통과 서구 문물의 급격한 차이에 있어 완급을 조절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 또한 부족했다. 이 밖에도 민족의 정기를 말살하고 전통문화를 탄압하고자 했던 일본의 정책으로 우리민족 스스로 우리의 것을 가벼이 보고, 구태의연한 인습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 때부터이다.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그 시절의 잔재가 보이지 않는 곳 깊이 남아있음을 본다. 자신의 뿌리를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감사할 줄도 모르니 그러한 후손에게 선조의 유산이 제대로 전달될 리 만무하다.
그러니 이제부터라도 우리의 뿌리를 바로보고 감사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그 감사를 바탕으로 제대로 된 부의 씨앗을 뿌리기 시작해야한다. 그러면 후세에는 지금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더욱 크고 풍요로운 부의 그릇을 가진 아이들이 미래를 부유하고 행복하게 열어갈 것이다.
출처 행복순환의 법칙 P. 66~69 초판 1쇄 발행 2009년 9월 14일
여행을 떠나요 - 조용필
푸른 언덕에 배낭을 메고
황금빛 태양 축제를 여는
광야를 향해서 계곡을 향해서
먼 동이 트는 이른 아침에
도시의 소음 수많은 사람
빌딩 숲속을 벗어나봐요.
[메아리 소리가 들려오는
계곡속의 흐르는 물찾아
그곳으로 여행을 떠나요] x 2
[굽이 또 굽이 깊은 산중에
시원한 바람 나를 반기네
하늘을 보며 노래 부르세
메아리 소리가 들려오는 계곡속의
흐르는 물찾아 그곳으로 여행을 떠나요] x 2
여행을 떠나요.
즐거운 마음으로
모두 함께 떠나요.
아-
[메아리 소리가 들려오는
계곡속의 흐르는 물찾아
그곳으로 여행을 떠나요] x 3
가사 출처 : Daum뮤직
첫댓글 명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재물의 속성 인터넷 기사에 올려진 유익한 자료와 신나고 쿨한 노래로 오후의 나른함을 이겨냅니다. 여유롭고 행복한 오후되시기 바랍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빛명상 안에서 풍요와 행복이 가득하리라 믿습니다. ^^
나눌수록 더 커지는 힘...
순환하는 가운데 힘을 발휘하는 것
드러내기 보다는 묵묵히 소리 없이 부를 순환시켜야 한다는 삶....감사하는 마음 ...감사합니다~~~~**
남에게 베푸는 마음과 사랑 겸허함이 순환되어 좋은 기운으로 나에게 다시 옴으로써 건강과 행복 그리고 풍요를 가져다주는 것이겠지요 행복은 순환되어야 하고 순환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명리학으로 보는재물론잘보앜ㅆ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은것도 병이 되겠습니다. 잘보았습니다.
명리학에서 보는 재물론 잘 보았습니다. 집안에 나쁜 일이 있을 때 돈을 풀어서 주변을 기쁘게 하여 그 기쁜에너지를 당려 쓴다는 이야기가 마음에 와 닿습니다. 늘 감사하는 마음안에 모든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부의 대물림 빛과함께 모든 분들이 나누었으면 하는 바램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서유종님 빛과함께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큰 부자는 사람을 알아보고 부를 나누며 더욱 부를 축척하는 법을 알고 있다는 말씀이 맞는것 같습니다
더불어 행복해지는 부를 만들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돈이 모이면 어둠의 그림자와 함께 온다는 옛말을 들은 적인 있습니다. 그 어둠의 그림자를 밝은 빛으로 순환시켜야 자식대대로 부를 이어나갈 수 있고 우환이나 병이 들지않음을.........
부의 대물림을 잘 할 수 있게 저 자신부터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내면의 단단한 부의 그릇을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서유종님 감사합니다.
나눌수록 커지는 힘~ 순환하는 가운데 힘을 발휘하는 부의 특성 을 인지하고 나누어 더불어 행복해 질 수 있다는 말씀 깊이 새깁니다.~
부를 가지면 나누어서 순환해야 부가 지켜진다는 말씀 , 마음에 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부를 순환 시킬수 있도록 빛을 알리는 일 열심히 묵묵히 끝까지 해야겠습니다 좋은글 올려주셨어 감사합니다 ...(())..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서유종 님,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명리학에서 본 재물,부를 대물림하는 구조를 만들라,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