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5조(최저교통서비스의 지표 및 기준) ① 국토해양부장관은 최저교통서비스를 측정ㆍ평가ㆍ관리하기 위한 지표(이하 “최저교통서비스 지표”라 한다) 및 기준(이하 “최저교통서비스 기준”이라 한다)을 설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② 국토해양부장관은 최저교통서비스 지표 및 최저교통서비스 기준을 설정할 때에는 국민소득, 생활문화 수준, 통행 실태,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 이동시간,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③ 국토해양부장관은 최저교통서비스 지표 및 최저교통서비스 기준을 설정하려면 미리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106조에 따른 국가교통위원회(이하 “국가교통위원회”라 한다)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고시된 최저교통서비스 지표 및 최저교통서비스 기준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④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최저교통서비스 기준을 강화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110조에 따른 지방교통위원회(이하 “지방교통위원회”라 한다)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4항에 따라 최저교통서비스 기준을 강화하거나 변경하였을 때에는 그 사실을 지체 없이 국토해양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
▣ 최소교통서비스 구축방안
- 저상버스 확충, 휠체어이용자를 위한 대중교통설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구축 등 추진 - 버스노선 및 운영체계를 개선하고 대중교통 취약지구에 수요응답형버스, 맞춤형 콜버스 등을 운행 - 수익성 낮은 지선버스는 재정지원 또는 대체교통수단 운영 등으로 서비스를 제고하고 간선버스와 연계기능을 강화 |
2. 설계강우강도 (별도 자료 올립니다)
(1) 도로의 표면 배수시설설계를 위한 표면배수용량 결정인자
1) 배수면적(집수면적)
2) 강우도달시간-강우지속시간
3) 강우강도
4) 유출율
(2) 설계강우강도 정의
도로기능의안전성, 도로구조물의 안정성 및 배수시설의 중요성, 경제성에 의해 결정되는, 확률년(빈도년)의 확률별, 강우지속시간별(강우도달시간별)강우량의 크기를 의미
3. 비탈면 내진설계(별도 자료 올립니다)
4. 재하균열(load-associated cracking)
콘크리트이 초기 균열중의 하나이며, 진동, 재하균열입니다
타설 완료할 시기에 콘크리트 주변에서 말뚝을 항타 하거나 기계류의 진동이 원인으로
균열이 생깁니다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에 상부에 가설 재료를 쌓으면 지보공의 변형, 침하등에 따라
균열이 생기는 것을 말함.
5. 교통류 관리시스템 제어장치
교통류의 안정성을 깨지 않음과 동시에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적절한 교통류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기존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에 의한 교통류관리에서는, 이러한 개념의 교통류 관리 방안을 명시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 u-T(Ubiquitous Transportation) 시스템 환경 하에서, 개별차량 위치, 속도 등 미세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 지며, 이러한 개별차량 위치 데이터에 의해 기존 ITS 환경에서는 수집 불가능했던 밀도 산정이 가능해 진다. 또한 V2I(Vehicle-to-Infra), V2V (Vehicle- to-Vehicle) 등 양방 통신이 가능해 짐에 따라 개별차량 혹은 차량군 단위의 미세 제어와 개별차량 단위의 미세 대응이 가능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u-T의 수집 데이터와 통신환경을 기반으로, 교통류가 불안정해 사고 잠재력이 커지고 결국 교통류가 와해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하는 예방차원의 교통류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적정 속도, 적정 차두간격을 그린쉴드 모형에 기반하여 산정하였는데 제반 교통류 모형을 비교 평가하여 적정 모형을 선택하는 연구도 향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평면교차로간 최소간격(별도 자료 올립니다)
7. 도시교통 정보시스템(UTIS :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별도 자료 올립니다)
8. PCU(Passenger Car Unit)와 PCE(Passenger Car Equivalent)
Passenger Car Equivalent (PCE), is a metric used in Transportation Engineering, to assess traffic-flow rate on a highway.[1] A Passenger Car Equivalent is essentially the impact that a mode of transport has on traffic variables (such as headway, speed, density) compared to a single car. For example, typical values of PCE (or PCU) are:
private car (including taxis or pick-up) 1
motorcycle 0.5
bicycle 0.2
horse-drawn vehicle 4
bus, tractor, truck 3.5
Highway capacity is measured in PCE/hour daily
Passenger Car Equivalent is also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with Passenger car unit (PCU).
A common method used in the US is the density method. However, the PCU values derived from the density method are based on underlying homogeneous traffic concepts such as strict lane discipline, car following and a vehicle fleet that does not vary greatly in width.
On the other hand, highways in India, carry heterogeneous traffic, where road space is shared among many traffic modes with different physical dimensions. Loose lane discipline prevails; car following is not the norm. This complicates computing of PCE.
Using multiple heuristic techniques, transportation engineers convert a mixed traffic stream into a hypothetical passenger-car stream.
9. 도로표지 종합관리시스템 (별도 자료 올립니다)
10. 다층탄성해석 프로그램
아스팔트포장체의 구조를 이해하는지 묻는 문제입니다
아스팔트 포장은 층의 재료 및 특성이 다르며 품질의 성격도 다르므로
탄성률에 따라 변형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응력변화율이 다릅니다)
표증, 중간층, 기층, 보조기층등
프로그램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elsym5 이며, 실험은 fwd 실험을 주로 합니다.
11. 평행유도로 이격 (별도 자료 올립니다)
12. RVR(Runway Visual Range)과 LLWAS(저층난류 경보시스템)
(별도 자료 올립니다)
13. 활주로 개방구역 및 정지로
(별도 자료 올립니다)
2교시
1. 2011년 국토교통부에서 개정한 『도로안전시설 및 관리지침(2011. 11)』중 차량방호 안전시설 설계지침의 주요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별도 자료 올립니다)
2. 친환경 · 인간중심의 도로건설 및 운영을 위한 국가 도로정책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별도 자료 올립니다)
3. 도로 노선계획시 선형설계의 기본방침과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의 일반방침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고전문제)
4. 도시가로지구 혹은 신호교차로가 연속적으로 위치한 간선도로에서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한 신호연동요건과 신호연동을 위한 공통주기설정 및 신호연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8회 3번 문제와 동일)
5. 최근 항공교통 대중화 및 전방위 항공노선망 운영 등으로 항공운영 환경이 매우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국내 공역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미국에서 개발한 국가공항통합시스템계획(NPIAS : National Plan of Integrated Airport System)과 국내 공항시스템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도로(또는 공항) 깍기구간의 비탈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공법 종류와 현행 보강공 설계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고전문제,동영상참고)
2. 기존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에 신규 아스팔트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설계의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고전문제,동영상참고)
3. 도로(또는 공항)축조 공사에서 연약지반 개량공법 선정시 유의사항과 장기침하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고전문제,동영상참고)
4. 도로 종단경사가 완만한 터널구간내 물고임 현상의 발생원인과 물고임 처리방안을 기하 구조적으로 설명하시오.(고전문제,동영상참고)
5. 대규모 공항 에어사이드에서의 용량과 지연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 교통관제시설인 ILS(Instrument Landing System)와 MLS(Microwave Landing System)의 각 구성요소 및 기능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도로의 평면곡선부 설계시 편경사 접속설치(접속설치율, 설치길이)와 평면곡선부가 배향 곡선(원곡선-완화곡선-원곡선)으로 구성된 구간에서의 편겅사 설치방법을 도시하여 설명 하시오.(고전문제,동영상참고)
2. 고속도로와 접속되는 일반도로 구간에서 최근 녹색도로 교통 기반조성의 일환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회전교차로(Round About)의 적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별도 자료 올립니다)
3. 도로의 길어깨부에서의 노면배수불량으로 인한 물고임 구간의 발생원인 및 처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고전문제, 동영상참고)
4. 동절기 폭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도로의 제설시설 중 제설작업시설과 방설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고전문제,동영상참고)
5. 대형 공항에서의 항공등화시설 기준과 표지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기의 제빙시설(De-icing Facilitie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첫댓글 감사해요
잘 봤습니다. 언제나 어려운것 같아요
이번 시험은 꽤 어려웠네요.. 저희 카페에도 없는 문제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총평까지 올려주시고..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았네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잘봤습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카페지기님 땡큐~~
자료 감사합니다...시험이 어렵네요...
이번시험은 어렵게 출제되었는거 같습니다.. 시사문제도 많고~~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요즘시험 왜이리어려워...
감사합니다 의외의 문제가 많이 나오네요
자료 감사합니다. 과거에 공부했던 것 보다 생소한게 나오니 당혹스럽네요...
자료 감사합니다.
자료감사합니다
점점 어려워지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내용이 어렵네요...
1-10.다층탄성해석 프로그램 은 13년 6월 도로학회지에 나왔었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제시작하려하는데 고민입니다.
감사합니다.
자료감사합니다
역시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어렵내요
감사합니다
자료감사힙니다 시사문제가 많이 나오네요.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서..
^^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그리고 수고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감사합니다..
자료감사드립니다...쉽지않은일 하시느라 대단하십니다..
자료감사합니다
분석..자료..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