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두껍을 쓰고는 더 이상 뻔뻔해 질 수 없을 것입니다...
전문성 운운하며 자아도취의 극치를 보여주는 저 들을 가리켜 어찌 마피아와 다르다 할 수 있겠습니까?...
철밥통을 뒤로하고 마침내 철옹성에 입성하여 역겨운 허세와 비루한 위선으로
전관의 예우를 받고야 말겠다는 저들의 치졸한 욕망에 저주라도 퍼붓고 싶은 심정입니다...
우선 국토해양부 고위관리라는 작자들의 퇴직 후 어떤 호사를 누리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2007년 2월 국토해양부 전신인 건설교통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상임위원(1급)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난 강모씨... 누구에게나 가혹할 수 있는 퇴직이 오히려 그에게는 억대 연봉과 기사 딸린 승용차, 비서 등이 제공되는
화려한 인생 2모작의 시작일 뿐이었습니다...
그는 퇴직과 동시에 해외건설협회 부회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2년 임기가 끝난 뒤에는 국내 시공순위 60위권인 중견 건설사 대표이사로 영입됐다더군요...
이어 2010년 7월부터 25개월째 지방공기업 사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강씨가 퇴직 후 66개월 동안 백수로 지낸 기간은 6개월이 채 안 된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우리 곁에 일어날 수 있냐고요?...
다음 사례도 한번 보시죠...
2005년 6월 건교부 1급으로 퇴직한 정모씨...
그는 같은 해 말 산하 연구기관장으로 재취업했고,
2008년 1월에는 건교부 이력을 활용해 지방광역시 부시장으로 자리를 옮겨 2년6개월 동안 근무했으며,
이어 2010년 11월부터 지역발전 전략을 담당하는 지방공공기관 원장으로 21개월째 재직 중이랍니다...
정씨는 퇴직 후 86개월 중 77개월째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고 전하더군요...
2005년 이후 국토해양부에서 퇴직한 3급 이상 고위관료 47명의 재취업률은 100%!!...
대부분 산하기관장이나 유관단체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대형 건설사 대표나 항공사 고위임원으로 영입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들은 국토부 경력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주하는
각종 공공 개발사업 수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에도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국토부 고위 퇴직관료 47명의 행적을 추적한 결과 퇴직 후 휴직기간은 100일 당 평균 16.1일에 불과했으니,
100일 중 84일은 일을 했다는 뜻으로, 직장을 갈아타는데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았음을 쉽게 알 수 있으실 겁니다...
직급별로 보면 차관 6명은 100일 중 28일로 휴직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었습니다...
하지만 1급 13명은 100일 중 11일, 2∼3급 28명은 100일 중 16일로 취업의 연속성이 거의 끊기지 않았고,
퇴직 전 자신이 가고자 하는 산하기관이나 유관단체의 자리를 보장받고 신속히 옮겼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이모 차관의 경우 유관 민간연구기관장, 경제자유구역청장, 지방공기업 사장 등을 잇따라 지내며
퇴직 후 54개월 동안 쉬었던 기간이 전무했던 사례도 찾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최근 3년 내 퇴직한 29명 중 18명(62%)은 퇴직 후 한 달도 안 돼 유관기관 및 기업 등에 재취업했으며,
일부는 국토부 경력을 활용해 선출직 시장이나 광역시 정무부시장으로 진출하기도 했구요...
토건 마피아들은 퇴직 후 좋은 자리를 독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선후배끼리 자리 물려주기에도 능수능난 하군요...
하물며 해외건설협회 부회장 자리는 아예 국토부 퇴직관료 몫이랍니다...
2009년 2월 건교부 1급 출신 강모씨가 2년 임기를 끝내자,
국토부 2급 출신 원모씨가 이어 받았다고하니 그 고리가 가히 상상을 불허하는 것 같습니다......
토건 마피아들이 유관단체나 기관을 독식하면서 철옹성 같은 "그들만의 리그" 가 만들어지다 보니
각종 비리에 연루된 선배들까지 챙기는 등 모럴 해저드도 심각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토건 마피아들이 현직 때부터 퇴직 이후를 대비해 업계 이익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는 등
사회간접자본(SOC) 정책 결정 구조가 토건 세력의 이익을 대변하는 게 가장 큰 문제라는 말씀입니다...
국토부 퇴직관료들이 현직 후배들과 토건 카르텔을 형성하면서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는 등 공정 경쟁을 저해하고 있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고 토건 마피아 탓에,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검증과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각계의 우려도 이미 심각한 수준입니다...
토건 마피아의 비리가 끊이지 않는 데는 유관단체나 민간기업으로 옮길 경우,
최소 1억~2억원대 연봉이 보장되기 때문에 일정 부분 로비스트 역할을 할 수밖에 없지 않겠냐구요?...
그런 상황적 요인으로 치부하기에는 또 하나의 사회적 병폐가 우리 사회를 불완전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요?...
전직 공무원...그것도 고위관리...
철밥통에서 철옹성으로...그것도 더 더욱 호화롭게...
이들이 토건족 마피아이며 건설비리의 숙주로 자리잡고 있다면 허탈하고 씁쓸한 기분이 안드십니까?...
.........가을이 스며드는 주왕산 자락에서.........................................................
출처 :그날이오면 원문보기▶ 글쓴이 :두타선생
첫댓글 어리석은이들이 그리 만드는거죠.........주위사람에게 이야기하면.........
그런자리되면 좀해먹어야 되는거아냐???..........그리말이 나옵니다....................
그런게 자기와 자기자식 잡는일이라는걸 생각을 못하니........................쩝......
(이러니 담배를 끊을수가 있나...담배피러감...)
ㅡㅡㅋ 결국 쓸데없는 건물만 엄청크게지으면서
실제 살 집은 모잘라는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