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7일 사순 제2주간 월요일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6,36-38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36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37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심판받지 않을 것이다. 남을 단죄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단죄받지 않을 것이다.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 38 주어라. 그러면 너희도 받을 것이다. 누르고 흔들어서 넘치도록 후하게 되어 너희 품에 담아 주실 것이다. 너희가 되질하는 바로 그 되로 너희도 되받을 것이다.”
자비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세상에 살면서 자비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자비는 자(慈)와 비(悲) 두 낱말의 합성어입니다. 자는 애념(愛念: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모든 사람들에게 즐거움(樂)을 주는 것입니다. 한자의 자(慈)는 어머니가 자식에게 젖을 먹이는 형상에서 이뤄진 글자라고 합니다. 그래서 어머니의 사랑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비는 민념(愍念: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가지고 사람들의 고통(苦)을 없애주는 사랑입니다. 그래서 이 자비는 사랑과 연민의 뜻을 함께 포함한 것으로, 이기적인 탐욕을 벗어나고 넓은 마음으로 질투심과 분노의 마음을 극복할 때에만 발휘될 수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자비심을 갖는다는 것은 철저한 무아사상(無我思想)을 바탕으로 하여 사람들에게 실제로 즐거움을 주고 사람들의 고통을 제거하여 주며, 근본적으로 그 근심 걱정과 슬픔의 뿌리를 뽑아내어 주는 지극한 사랑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불교에서는 이 자비에는 중생연(衆生緣) · 법연(法緣) · 무연(無緣)의 삼연자비(三緣慈悲)가 있다고 합니다. 중생연 자비는 친한 사람이나 친분이 없는 사람 모두를 친한 사람에게 하는 것과 똑같이 베푸는 자비를 말합니다. 이것은 범부 또는 도(道)에 뜻을 두면서도 아직 번뇌를 끊어버리지 못한 이가 일으키는 자비를 지칭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자비심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져야 하는 자비심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동안 우리가 이웃을 사랑하면서 가졌던 자비심을 말하는 것입니다. 법연자비는 일체의 법(法)이 5온(蘊)의 거짓된 화합임을 알고, 대상과 마음의 본체가 아무 것도 아닌 공허(空)한 줄을 깨달은 성자(聖者)들이 일으키는 자비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5온은 오음(五陰)이라고도 번역되는 불교용어인데 모든 인간 개개인의 존재를 구성하는 '5개의 집합', 즉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을 말합니다. 즉 이 다섯 가지의 집합의 구성이 거짓된 화합임을 알고, 마음으로 모든 것을 비우고 오직 자비를 실천함으로써 사랑을 실천한다는 것입니다. 이미 도를 통한 성자들이 일으키는 자비의 경지입니다. 프란치스코 성인이 모든 것을 버리고 나병환자와 같이 동침하면서 그를 돌보아 준 것과 같은 자비를 말하는 것입니다. 무연자비는 온갖 차별된 견해를 여의고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아는 하느님에게만 있는 자비라는 것입니다. 이미 대상과 마음 등 모든 현상의 헛된 모습을 알 뿐만 아니라, 인연에 따라 동요됨이 없는 하느님께서 저절로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 고통을 없애고 즐거움을 주려는 힘이 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아시는 하느님께서 당신의 자녀를 사랑하셔서 모든 인간에게 빈틈없이 은총을 베푸셔서 사랑하시는 것과 같은 자비를 말하는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를 그렇게 사랑하십니다. 그렇게 자비를 베푸십니다. 우리는 성인이 되지 못한다 하더라도 최소한 모든 사람들이 자비심을 가져야 하는 중생연 자비심은 가져야 하겠습니다. 우리가 이웃에게 용서를 청하고, 나에게 잘못한 이웃을 용서할 때 그 자비로움에 대한 것은 하느님께서 은총으로 보답해 주시겠다는 것입니다. 지금은 손해를 보고 약간은 고통이 따르고 어려움이 있다고 하여도 하느님께서 이끌어 주신다는 데 어찌 망설이거나 주저하겠습니까? 하느님께서는 자비로운 우리를 기쁘게 바라보고 계실 것입니다. 자비는 기쁨을 주고 즐거움을 주는 것입니다. 우리가 주님께 자비를 베풀어 주시기를 기도할 때 우리는 기쁨과 즐거움을 주시기를 청하는 것입니다. 항상 기뻐하십시오. 그리고 즐겁게 매일을 사십시오. 그러면 주님의 자비심이 더하여 질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