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에 SHGC, SC가 동시에 나왔을 때 해설란에 SHGC를 그대로 SC(차폐계수)로 적용되있어서 카폐에 한번 검색을 해봤는데 조성안님이 양자가 같은 개념이라고 설명하셨네요.
근데 SHGC와 SC는 일사 취득량의 산정과 관련되어 동일한 목적을 가지지만 서로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SHGC는 전체 창 어셈블리를 통해 실제로 건물에 들어오는 입사 태양 복사에너지로 단지 유리 부분에 대한 상대적 비교개념인 SC와 구별됩니다. SHGC를 계산하는 표준 방법도 음영 계수와 같이 단일 파장에 대한 계수만이 아니라 파장별 방법을 사용합니다. 1990년대 SC의 부정확성과 반직관적인 방법이라는 이유로 유럽의 g-value 와 유사한 SHGC를 개발한것입니다. 단지 열전달 매커니즘과 경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변환하는것은 어렵지만 개략적인 방법으로 SC x 0.87 = SHGC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ASHRAE에서도 양자를 구분하고 있으며 개략적인 변환계수도 소개하고 있어요.
ASHRAE 90.1-13 Section 5.8.2.4 Exception 1 states:
"Shading coefficient (SC) of the center-of-glass multiplied by 0.86 shall be an acceptable alternative for determining compliance with the SHGC requirements for the overall fenestration area. SC shall be determined using a spectral data fil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NFRC 300. SC shall be verified and certified by the manufacturer."
SC 개념 및 계산방법
SHGC 개념 및 계산방법
분광 투과율, 입사 태양 스펙트럼 방사조도
실제로 실무에서도 SHGC와 SC를 구분해서 적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8년 4회 2번과 같이 문제에 SHGC만 나와있고 일사량을 구하는경우 그대로 SHGC를 적용하지만, SHGC와 SC가 동시에 나오고 차폐계수를 작성하라는 문제는 변환계수를 적용하여 문제를 풀어야 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