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여고생이 열광하는, "제3차 한류붐"의 정체
LINE과 트위터를 한글로 작성하는 것이 붐
여고생을 중심으로 이른바 "제3차 한류붐"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의 아이돌을 동경하여 화장품과 패션을 찾고, 현지(한국)까지 날아가는 고등학생이 있을 정도로 유행하고 있다.
이번에는 그런 중, 고등학생들의 한류붐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 K-POP만이 아닌 제3차 한류붐
작년말 제68회 NHK홍백가합전을 보았는가.
한국에서 결성된 여성 아이돌그룹 TWICE가 처음으로 등장하여 공연장을 뜨겁게 하였다.
초등학생부터 어른까지 절대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TWICE 이지만 아직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TWICE는 여성다운 귀여움을 강조한 댄스와 노래가 있기있는 그룹으로,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9명의 여성 멤버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이 뮤직비디오 촬영시에, 손가락으로 우는 얼굴을 표현한 TT포즈는 중고생들의 셀카 등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10대를 대상으로 한 조사회사 AMF가 2017년 12월에 발표한
"JC(여중생), JK(여고생) 유행어대상 2017"에서도 사람 부문의 1위는 TWICE가 차지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JC, JK유행어 대상 2017"에 등록된 키워드이다.
상품부문에 랭크된 "치즈닭갈비", "우유크림"은 한국태생의 상품이다.
치즈닭갈비는 달면서 맵게 양념한 닭고기와 야채에 치즈를 얹어 먹는 한국요리이다.
우유크림은 한국발 화장품 브랜드 "3CE"가 발매한 미백크림으로, 위겨운 우유형 패키지도 인기의 이유이다.
이와같은 랭킹에서 상징되듯 일본의 중,고등학생은 K-POP, 한국음식, 화장품을 축으로 한국 문화에 열중하고 있다.
"겨울연가"로 대표된 한국드라마를 기점으로 한 제1차 한류붐,
소녀시대와 동방신기와 같은 K-POP 아이돌에 의한 제2차 한류붐에 이어,
지금은 제3차 한류붐이 일어나고 있다.
■ 인스타그램을 활용하는 한국문화
자기 자신을 귀엽게 보이고 싶어 여념이 없는 여고생들은 유튜브에서
메이크 방법을 배울수 있는 동영상을 매일 체크하고 있다.
그래서 수년전부터 인기를 끌어온 메이크 스타일이 オルチャンメイク(얼짱 메이크)이다.
여기서 オル(오루)=얼굴, チャン(짱) = 짱(최고) 을 의미하고 이 두개를 합쳐
얼짱(オルチャン)이 하는 메이크를 의미한다.
도자기와 같은 하얀 피부를 만들고, 평행하며 두꺼운 눈썹, 길게 늘린 검은 아이라인, 초촉하고 빨간 입술.
추가로 한국어로 "단발머리"인 숏헤어와의 조합도 많이 볼 수 있다.
한국 화장품도 당연히 인기가 있다.
앞서 말한 화장품 브랜드 3CE는 STYLENANDA(스타일 난다)란 한국 패션 브랜드가 판매하는 화장품이다.
2017년 5월 하라쥬쿠에 오픈한 일본 첫 점포에는 인스타그램 화면의 부스가 설치되어
여고생들의 인기 장소가 되어 있다.
그 옆에는 한국 액새서리샵 REDEYE, 그리고 건너편에는 같은 한국 화장품 브랜드 ETUDE HOUSE의 점포가 늘어서 있다.
STYLENANDA, ETUDE HOUSE 모두 핑크를 기조로한 프린세스 분위기로
디자인된 점포로 화장품도 패키지도 SNS에서 사람들에게 보이고 싶어하도록 궁리된 것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예를들면, ETUDE HOUSE 인기상품 아이스틴트는 아이스캔디형 립이다.
인스타그램에서는 화장품을 늘어놓고 사진을 찍는 사람이 많은데,
아이스틴트는 공식사이트에서 "SNS에 촬영 필수"를 강조하는 등"좋아요"가 집중될 듯한 디자인이다.
인스타그램에서 「#한국화장품」 한글 태크가 붙은 글은 약 59만건에 달한다.
「한국」으로 검색하면, 「#한국」「#한국여행」「#한국패션」「#한국요리」외에
「#한국을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고싶다」와 같은 한글 태크도 발견할 수 있다.
한국붐이라고는 해도 주위에 한국을 좋아하는 친구가 없는 중고생도 있기에,
SNS에서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을 찾는 것은 당연한 흐름일 것이다.
어떤 여고생은, SNS에서 알게 된 한국을 좋아하는 어떤 사람과 코리안타운으로 불리는
신오쿠보에서 만나 화장품과 패션샵 순례를 한다고 한다.
지금 신오쿠보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는 것은, 한국식 핫도그.
형태는 학도크인데 반드시 소시지가 들어있지는 않고, 튀긴 빵에 치즈가 가득 들어있는 스낵이다.
한입 물면 치즈가 늘어나는 모습은 자주 인스타에 올라가곤 한다.
한국 붐과 인스타는 밀접히 관계하고 있다.
■ 카카오톡은 사용하지 않아도 캐릭터는 인기
제2차한류붐을 견인한 K-POP도 변함없는 인기이다.
방탄소년단은 BTS란 이름으로 활동하는 인기힙합그룹이다.
또한 EXE란 남성 아이돌 그룹과 여성그룹 블랙핑크도 인기가 높다.
어떤 여고생은 방탄소년단 팬이 되어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일.
모음과 자음의 조합으로 소리를 표기하는 한글은, 히라가나의 구조와 닮아서 외우기 쉽다고 말한다.
"한글은 문자의 형태를 ㅇ 와 같이 표현해 귀엽다"라고 말하는 그녀는
트위터 아이디의 이름과 프로필도 한글로 기재하고 있었다.
한글은 중고생들 LINE의 상태 메시지에도 자주 사용되는데,
무엇을 썼는지 일부 밖에 알지 못한다는 점도 하나의 포인트라고 한다.
상태 메시지는 복사할 수없기 때문에, 사람의 상태메시지에 무엇이 쓰여있는지 번역기를 사용하여도
번역할수 없다고 아쉬워하는 중학생도 있었다.
한글을 배웠다는 그 여고생은, 주말에 친구와 한국여행을 가기로 했다고 한다.
아르바이트로 돈을 모아 2박3일간 놀러갈수 있는 한국은, 여고생도 접할 수 있는 해외여행이다.
유튜브의 한국어 강좌에서 배운 한국어로 음식을 맛보고, 방탄소년단 사진 및 굿즈를 사며,
화장품과 선물을 담아 귀국한다고 한다.
한국선물 중 하나로는 메시지 어플 "카카오톡"의 캐릭터, 카카오프렌즈 굿즈도 인기가 높다.
일본에서는 LINE 인기에 눌러 생각보다 이용자가 많지않은 카카오톡이지만, 카카오프렌즈 굿즈는 귀엽다는 평판이다.
중고생들에게 인기 라이브 송출자 "PKA"와 "ねお"도 한국여행에 다녀왔다고 한다.
그들은 MixChannel과 유튜브, Tik Tok 등에서 적극적으로 동영상을 송출하고 있고,
여행지인 한국에서 한국패션 및 카카오프랜즈 굿즈를 소개하였다.
중고생들이 한국을 동경하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어느 여고생은 "엄마와 한국 시대극을 같이 본 것을 계기로 한국에 빠졌다"고 말한다.
제1차 한류붐에 빠진 세대가 부모였고 아이와 함께 즐겨온 케이스도 있을 것이다.
정치적인 측면보다도 순수하게 다른 나라의 문화를 즐기는 분위기가, 부모와 자식의 세대를 통해 성장해온 것일지 모른다.
출처 : 토요케이자이, 2018년 5월 18일 전송기사.
원문 : 바로가기
번역자 : 노가타무비자
주의 : 일부 의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댓글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예전 한류붐은 일본 공중파 언론 매체를 통해서 팍 튀어 올랐다면
요즘은 방송보다는 sns를 통해서 젊은층의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이 눈에 보이더군요
트와이스도 딱히 일본 방송에 나오는게 없어요
곡 나오면 음방 하나 뛰는정도하고(영향력 큰 음방)
보통 5~7일정도 일본에 활동하는 수준이더라구요
다른 형태의 인기로 가는거 같습니다
번역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
감사합니다~ ^^
재밌네요ㅎㅎ
좋은글감사요 ㅎㅎ
재밌고 좋은글 잘봤습니다~ㅎ
좋은 현상입니다 문화의 힘
좋네요
내일모레 데뷔하는 여자친구도 한류에 한몫을 할 수 있기를!!
확실히 다시 뜨는 추세는 맞는거 같음.
다만 이게 너무 여성에 편중되어 나타나는 점은 좀 아쉬운 면이긴 함. 사실 한류의 고질적인 문제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