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7월 준공 목표로 현재 본격적인 공사 진행 중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가 처인구 원삼면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가동에 필요한 핵심 기반시설 조성이 본격화 됐다.
시는 전력과 용수 등 반도체 클러스터의 핵심기바닛설에 대한 공사가 2027년 상반기 척 팝(Fab) 가동을 목표로 정상 추진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이상일 시장은 '앞서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가 반도체 인프라 확충을 위한 국비 500억원을 시에 지원키로 결정한 데 힘입어
시 차원에서도 역점사업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공사로 인한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공정을 앞당겨 반도체 팹 가동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기한 내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력공급시설은 2026년 8월 준공을 목표로 지난해 5월 착공해 현재 17% 공사가 진행된 상태다.
안성시에 위치한 신안성 변전소로부터 약 6km에 걸친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공사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서 사용하는 연간전력량은 약 21.440Gwh/년으로 전라북도민이 연간 사용하는 전력량과 비슷한 규모다.
전기공그빗설은 선로 설치에 따른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 구간 터널식 지중선로로 설치한다.
또 공사 중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해 빅풋 트럭이라 불리는 터널굴착기(터널보링머신, TBM)를 투입한다.
TBM 공법은 엄청난 힘의 톱니바퀴에 달린 커팅 헤드로 단닪란 암반을 뚫고 파내는 동시에 잔해와 족ㄱ은 컨베이어 밸트로
내보내 공사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또 공사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해 국내에선 처음으로 굴착기 3대를 동시에 투입할 방침이다.
용수공급시설 공사는 취수지점인 여주시 남한강 여주보에서 이청시를 거쳐 사업대상지인 원삼면까지 36.8km에 이르는 폭 1500mm의 관로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루 26만5000톤의 공업용수(1차분)를 내보낸다.
인허가 과정에서 관련 지자체와의 협의 지연으로 우려가 있었다.
공업용수를 끌어와야 하는데 그동안 여주시 측이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이 부족하다면 지속적인 반대를 했었다.
이에 당정이 나서 중재를 한끝에 문제가 해결됐다.
SK하이닉스가 여주시 산업 단지 조성을 돕고 여주산 쌀 소비 진작 등을 약속했다.
또 안성시가 하수처리 과정에서 안성으로 흘러들 수 있는 오폐수 방류 계획에 공식적인 반대 의견을 내면서 사업에 난항이
계속됐다.
일일 발생 오,폐수 61만여m3 중 하수처리 과정을 거친 처리수 37만여m3를 용인에서 안성으로 이어지는 한천으로 방류하는
내용이 포함됐는데, 안성시는 한천 일부가 인근 고삼저수지(저수량 1천521만 t)로 유입되고 일부는 안성을 관통해
안성천과 연결되는 만큼 방류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낸 것이다.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2022년 말 상생 협약 채결 직후 착공해 2026년 7월 준공을 목표로 현재 본격적인 공사를 진행 중이다.
공사 기간을 줄이기 위해 전 공사 구간을 6구간으로 세분화해 관로가 지나는 지자체별로 별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별개로 산업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공공폐수처리시설도 2026년 말 설치한다.
하루 평균 1만1000톤을 처리하는 용량의 시설을 총 면적 3만2600m2의 지하에 조성한다.
지상엔 지역 주민 의견을 수렴해 체육시설이나 공원 등 주민 친화공간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지난달 이같은 기본계획을 한강유역환경청에 신청, 승인을 앞두고 있다.
총 사업비는 672억원으로 이 가운데 시설비 명목의 약 268억우너에 대한 국비 호가보를 추진 중이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는 사업시행자인 용인일반산업단지(주)가 처인구 원삼면 일원에 약 415만m 규모의 부지를 조성하고,
SK하이닉스가 120조원을 투자해 총 4개의 반도체 팹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신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