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특정한 상품이 한 회사나 소수기업에 의해 독점·과점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1981년 4월 1일부터 '공정거래법'이 시행되면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시장점유율이
높은 사업자를 선정하여 가격남용 등 상품의 불공정거래를 규제하고 있다. 1992년 공정거래위
원회에서 지정한 독과점품목은 352개 사업자에, 커피, 라면, 자동차 등유, 경유 등 144개 품목이다.
시중에는 국민간식인 치킨의 가격이 100 % 가까이 올랐다
치킨프렌차이즈 본사들의 만행이다 고향동내 읍내에서 신당을 하는 지인이 있는데 여름철이면
(삼계탕)을 해서 판다 그친구 이야기는 삼계탕용 닭고기 가격이 1800원 ~2500원 까지 이루어 진
다고 한 다.
자기는 삼계탕 한그릇에 늘 7천원 받던걸 지금은 8천원 받는다고 한다
물론 삼계탕에 들어가는 레시피 가격과 식당운영에 따른 재경비 모두를 포함한 금액이 8천원 이다
유명 브렌드의 후라이드 치킨 가격이 마리당 1만5천원 선이 아주 오랜기간 유지가 되었다가 최근
2만5천원 ~3만원 선이고 서울에서 삼계탕은 1만8천 ~2만원 정도로 판매가 된다 물룬 삼계탕
이 1만6천원 수준 이다 . 동묘나 탑골공원 남대문 시장등지에 널리 퍼져 있는 개인 브랜드인 h모00
치킨 점 후라이드 치킨 가격은 머리당 5천원 미만으로 (박리다매)를 한다
이런 삼계탕이나 후라이드치킨 채인점이 무리하게 가격을 엄청나게 올린 이유도 있지만
지금 닭고기 시장을 무섭도록 점유율을 높인곳이 (하림)이다 대형 마트나 소형마트를 가도 전부 하림
닭고기 뿐이다 하지만 재래시장에는 아직도 생닭값이 오르긴 했어도 하림닭고기 가격의 절반 수준
이다 그러면 각종 마트들은 어째서 하림닭고기만 판매하는 것인가를 분석해 보면 틀림없이 가격을
엄청나게 올린대신 (소매마진)을 일반닭을 파는것보다 높은 이익을 지급하는 것으로추정해 본다
하림은지금 우리나라 닭고기 시장의 점유율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아닐까 를 생각해 본다 이런
기업들이 기생 하므로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생활비를 폭등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어떤 상품이라도 그 회사가 시장의 점유율 을 높으면 (독과점품목)으로 묶어야 한다
첫댓글 집세도 오르고 인건비와 원가가 올라서 음식점 가격을 올리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하면서 시중 식당 음식 가격이 최소 40% 정도 올려놓고 당연하게 핑계를 댄다 그러면 누가 식당
을 해 달라고 부탁한 사람이라도 있는 듯이 이런 시장의 원리를 뒤흔드는 상술에 국민 경제는
추락하고 있는 중이다 시장 물가 단속과 싼값에 장사를 못하겠다면 지원을 모조리 끊어서 잘 안되는
식당들이 음식 값 올려서 유지 하려 하는 업소는 스스로 도퇴 되게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