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어는 성조가 있는 언어죠. 꼬부랑 거리는 글씨도 물론 어렵지만..
5개나 되는 성조 때문에 더 배우기 힘든 언어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죠?ㅋㅋ)
그러면 이제 성조를 계산해서 발음을 해야할 때가 된거에여!
오늘은 성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워볼까요오!!!!!!!!!
아.. 그러고보니 받침 얘기를 안했네여.. 받침도 같이 합시다 그려...
<받침>
받침에는 '사음'과 '생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사음'
'ㄱ' 받침이 되는 ก ข ค ฆ
'ㅅ' 받침이 되는 จ ช ด ต ศ ส ถ ท
'ㅂ' 받침이 되는 บ ป พ ฟ ภ
'생음'
'ㅇ' 받침이 되는 ง
'ㅁ' 받침이 되는 ม
'ㄴ' 받침이 되는 น ญ ณ ร ล ฬ
ㄹ받침 따윈 태국어 사전에 없다! 'ㄴ' 받침이 됩니다.
받침까지 알았으니 이제 성조 계산!
태국어에는 5성조가 있는데... (별이 다섯개...?)
평성 → (그냥 소리(?)ㅋ)
1성 ↘ (한숨쉬듯 뚝 떨어짐)
2성 ↗ ↘ (올라갔다 내려옴)
3성 ↗ (올라가기만 함)
4성 ↘↗ (뚝 떨어졌다가 올라감)
1. '받침이 없는 경우'의 성조 계산
중자음 + 단모음 = 1성
고자음 + 단모음 = 1성
저자음 + 단모음 = 3성
중자음 + 장모음 = 평성
고자음 + 장모음 = 4성
저자음 + 장모음 = 평성
2. '받침이 있는 경우'의 성조 계산
중자음 + 단모음 + 사음 = 1성
고자음 + 단모음 + 사음 = 1성
저자음 + 단모음 + 사음 = 3성
중자음 + 장모음 + 사음 = 1성
고자음 + 장모음 + 사음 = 1성
저자음 + 장모음 + 사음 = 2성
중자음 + 단모음 + 생음 = 평성
고자음 + 단모음 + 생음 = 4성
저자음 + 단모음 + 생음 = 평성
중자음 + 장모음 + 생음 = 평성
고자음 + 장모음 + 생음 = 4성
저자음 + 장모음 + 생음 = 평성
전 알고 있어요.. 여러분 지금쯤 개빡친다는거 ㅋㅋㅋㅋ
(이미 꺼 까이에서부터 빡쳤던거 알지만 ㅋㅋㅋ)
익숙한(?) 단어로 예를 들어볼까요?
รัก
'락' 이라고 읽고 성조는 '저자음 ร + 단모음 ั + 사음 ก' 이므로 3성입니다.
뜻은 '사랑'이구요.
드라마에서 많이 들어보셨죵?
' 꾸 락 믕 ' (난 널 사랑해)
ชอบ
'처업'이라고 읽고 '저자음ช + 장모음 อ+ 사음บ' 이므로 2성으로 장음 살려 길게 처~업하고 발음합니다.
뜻은 '좋아하다'입니당
역시나 띠오럽을 비롯한 많은 드라마에서 겁나 많이 나오죠~
'꾸 첩 믕' (난 널 좋아해)
원래는 뮤 수파싯의 노래인 Nanna로 성조 계산을 해볼까 하다가..
노래라 계산한들 직접 성조 듣기가 힘드니... (절대 귀찮아서 그런거 아니에옄...살짝?)
다음 편에 특유 모음 및 발음 성조 예외법까지 하고!
예외법까지 하고 나면 드라마 영상이든 뭐든 좀 가져와볼게요.
우리 애들 직접 발음하는 것 좀 들어보면서 공부해봅시다용.
(공부 한다고 닥블키 보는데 존잼이라 그냥 보고 있는거 안비밀..)
출처:https://blog.naver.com/wlatmd2253/222447689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