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 빈(嬪)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녀(女)자에 성부(聲符)로 손 빈(賓)자를 했습니다. 손 빈(賓,賔)자는 집에 찾아온 사람입니다. 집에 찾아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집 면(宀)자 아래에 걸음 보(步)자를 했습니다. 조개 패(貝)자를 한 것은 손님이 집에 찾아 올 때에는 선물(膳物)을 들고 찾아옵니다. 그 예물(禮物)을 조개 패(貝)자로 나타냈습니다. 손 빈(賓,賔)자 가운데 있는 글자는 소리 성(声)자에도 들어 있고, 눈썹 미(眉)자에도 들어 있습니다. 소리 성(声)자에서는 악기를 그린 글자로 보이고, 눈썹 미(眉)자에서는 눈썹을 그린 글자로 보입니다. 손 빈(賔)자에서 걸음 보(步)자의 모사(模寫)로 보면 좋을 듯싶습니다. 빈의(嬪儀) 빈인(嬪印) 빈처(嬪妻) 빈첩(嬪妾) 빈궁(嬪宮) 빈종(嬪從) 빈어(嬪御) 빈씨(嬪氏)
염할 빈(殡,殯)자는 의부(義符)로 부서진 뼈 알(歹)자에 성부(聲符)로 지금 중국에서 사용하는 글자로는 손님 빈(賓)자를 손님 빈(宾)자로 씁니다. 손님 빈(賓)자는 집을 뜻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걸음 보(步)자의 아랫부분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걸음 보(步)자의 아랫부분은 집으로 찾아 걸어온 사람이라는 말이고 조개 패(貝)자는 손님은 선물을 들고 온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선물을 들고 집에 찾아오는 사람이 바로 손님입니다. 빈당(殯堂) 빈궁(殯宮) 빈소(殯所) 빈전(殯殿) 빈례(殯禮) 빈은(殯銀) 초빈(草殯) 토빈(土殯)
물가 빈(濱)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손 빈(賓)자를 했습니다. 손 빈(賓)자는 집으로 찾아오는 분이 손님이라는 뜻으로 집 면(宀)자 아래에 걸음 보(步)자를 했습니다. 그리고 손님은 예물을 들고 오기 때문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어려서 손님이 오기를 기다렷던 기억이 납니다. 맛있는 먹을 것을 사 들고 오셨거든요. 빈구(濱口) 빈지(濱地) 빈제(濱堤) 해빈(海濱) 수빈(水濱) 빈변(濱邊) 사빈(沙濱) 사빈(泗濱)
물가 빈(瀕)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자주 빈(頻)자를 했습니다. 자주 빈(頻)자는 걸음 보(步)자에 머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동작이지요. 우선 걸어야 하고 또 머리를 움직여야 합니다. 빈사(瀕死) 수빈(水瀕) 빈해(瀕海) 빈제(瀕臍) 빈위(瀕危)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