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글/앟/다'로 분석했다면('았'은 '앟'의 오타죠?), '동'도 '글'도 의미가 있는 무엇이어야 하는데 그런가요? 자, '동그랗다'의 '동'이 '동그랗다'의 의미를 형성하는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그렇다면 '글'은요?
'높/다랗/다'의 '높-'은 '높다'의 '높-'이고 '높다'라는 의미의 중심부입니다. '다랗'은 형용사 어간에 붙어서 그런 특성이 있다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구요. '다'는 문장을 종결짓는 종결어미입니다.
그렇다면 '동그랗다'의 '동'이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높다랗다'의 '높-'처럼 되려면 '동그랗다'의 '동'은 '동다'라는 형용사가 존재해야 하고 이게 '동그랗다'의 중심의미이어야 하지만 아니지요?
('동다'란 말은 사전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동'으로 분석될 수 없습니다. 자 위 댓글에 보시면 기본어를 '동글다'로 해야 하나요?라고 물어보셨어요. 여기까지 잘 오셨는데 왜 '동그랗다'에서 '동글-'을 뽑아내지 못하셨을까요?
동글다〔동글어, 동그니, 동그오〕 [Ⅰ]「형용사」 작은 것이 원이나 공과 모양이 같거나 비슷하다.
'동글다'의 사전의미를 보니 '동그랗다'의 의미와 가장 관련이 있겠군요. 형태소 분석은 최소한의 검증과 원칙은 '사전'입니다. 꼭 그런건 아니지만 대부분의 형태소들은 사전에 다 실려 있습니다.
자,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동그랗다'는 '동글다'의 의미에서 파생된 게 분명합니다. '동그랗다'에서 '동글다'를 빼면, 즉, '동그랗-동글=?' 그냥 산수 삼아 해보면 '앟'이 남습니다. 반대로 '동글+앟=동그랗'이 되구요. '앟'이 뭔지는 모르지만 '동글다'와 '동그랗다'의 의미가 달라지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동그랗다'를 '동글-앟-다'로 분석할 수 있는 거죠.
형태소 분석은 사전으로 항상 검사하면서 해보십시오.
분석한 하나하나를 다 사전에서 찾아보셔야 합니다.
그러다가 머리로 배운 형태소의 지식과 사전을 찾아보며 쌓인 직관이 쌓여서 실력이 늘게 됩니다.
형태소분석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것은 용언에서 어간과 어미를 분석해 내는 것입니다. 항상 용언은 어간과 어미 둘로 먼저 나눠봐야 합니다. '불러'를 '부-울-러' 처음부터 셋으로 나누지 마시고 일단 어간과 어미로만 나눠보시고 더 나눠질 게 있으면 더 나누시고 아니면 다 분석한 것이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형태소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어미에 대한 지식, 불규칙 용언에 대한 지식도 함께 필요합니다. 우리말의 구조를 공부하시면서 조금씩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첫댓글 앞단어 작은 부터 막히네요..'작은'의 기본어는 '작다' 그럼 작-은-바람-이-나-를-부-울-러(기본어가 부르다니까)..'긴' 의 기본어는 길다인데 그럼 어떻게 하나 ..긴(맞나?.길-은?...)-머리카락-날-리-며- 여기-까지-오-았-다.맞나요 선생님..
형태소분석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것은 용언에서 어간과 어미를 분석해 내는 것입니다.
항상 용언은 어간과 어미 둘로 먼저 나눠봐야 합니다.
'불러'를 '부-울-러' 처음부터 셋으로 나누지 마시고 일단 어간과 어미로만 나눠보시고
더 나눠질 게 있으면 더 나누시고 아니면 다 분석한 것이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형태소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어미에 대한 지식, 불규칙 용언에 대한 지식도 함께 필요합니다.
우리말의 구조를 공부하시면서 조금씩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여기 우리말의 구조 게시판에서 글 제목을 '형태소'로 해놓고 검색하시면 이호권 교수님의 형태소분석에 관한 학보특강과 제가 예시와 함께 설명한 형태소 분석 글들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성수 바깥 공부 모임에 나가 열심히 듣고 배워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식이 용감하다고 했던가요 ㅠㅠ 위에 형태소 분석해 놓으신 것을 보니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아직 준비가 덜 됐지만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늬만 방송대 국문2학년 많이 부끄럽습니다.믾은 지도 부탁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