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경제성장과 인구의 증가로 카자흐스탄의 공무원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임. 또한 카자흐스탄 정부의 전자정부 프로젝트를 통해 자료의 전산화, 업무의 전자화가 이뤄지고 있음. 이에 현재 정부 인사행정 시스템은 카자흐스탄 전자정부 프로젝트의 필수적인 요소가 된 상황임. 최근 12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와 카자흐스탄 공공행정처 간의 인사행정 관련 양해각서 체결로 해당 분야의 협력이 강화되고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됨. |
□ 카자흐스탄 전자정부 현황
○ 경제성장과 인구의 증가는 카자흐스탄 공공기관의 행정처리율을 꾸준히 증가시키고 있음.
- 카자흐스탄에는 총 27개의 정부 부처가 있으며, 16개의 부, 11개의 청으로 구성돼 있음.
- 정부를 운영하기 위해 운용되는 총 공무원의 수는 2012년 상반기 기준 9만1733명이며, 이 중 중앙정부에 속한 공무원의 수는 5만3287명임.
- 한국의 공무원 수가 작년 말 기준 98만8755명이었음을 감안했을 때, 인구 대비 카자흐스탄 공무원 수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이에 카자흐스탄 인사시스템의 전자화는 필수인 상황임.
○ 2012년 기준 카자흐스탄은 개발도상국 중 온라인 참여지수 2위를 기록함.
- 2012년 2월 UN이 발표한 ‘2012년 전자정부 발전지수 조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온라인 참여지수 2위를 기록한 바 있음.
- 카자흐스탄은 정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자정부를 시작했으며, 현재 의사소통, 온라인 거래 서비스, 통합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 현재 카자흐스탄은 정부의 인사행정 시스템을 전자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임.
순위 |
국가 |
평가지수 |
1 |
한국 |
0.9283 |
2 |
네덜란드 |
0.9125 |
3 |
영국 |
0.8960 |
4 |
덴마크 |
0.8889 |
5 |
미국 |
0.8687 |
38 |
카자흐스탄 |
0.6844 |
자료원: UN E-Government Survey 2012
순위 |
국가 |
평가지수 |
1 |
한국·네덜란드 |
1.0000 |
2 |
카자흐스탄·싱가포르 |
0.9474 |
3 |
영국·미국 |
0.9211 |
4 |
이스라엘 |
0.8947 |
5 |
오스트레일리아·에스토니아·독일 |
0.7632 |
자료원: UN E-Government Survey 2012
□ 인사행정 시스템(PPSS)
○ 전자인사관리 시스템(PPSS)은 현재 'e-사람'이란 명칭으로 사용됨.
- 전자인사관리 시스템은 인사행정에 관한 종합적인 사항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임.
- 2012년 현재 전자인사관리 시스템, 59개 시스템과 정보 공동 활용 중임.
- 전자인사관리 시스템의 기본 내용은 다음과 같음.
전자인사관리 시스템(PPSS) 기본 내용
① 중앙인사정책지원 시스템: 중앙 인사 관장 기관용 e-사람 - 표준인사관리 시스템 및 기관인사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중앙 인사 관장 기관의 |
② 표준인사관리 시스템: 개별 기관용 e-사람 - 중앙 인사 관장 기관이 운영하는 중앙인사정책지원 시스템과 연계하여 인사 업무를 전자적으로 |
③ 기관인사관리 시스템: 자체 인사관리 시스템 - 각 행정기관이 당해 기관의 인사 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구축한 전자인사 |
자료원: 행정안전부
○ 대한민국-카자흐스탄 간 MOU 체결
- 2012년 CIS(독립국가연합)와 전자정부 협력 MOU를 체결함.
- 2012년 12월 4일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와 카자흐스탄 공공행정처 간에 인사행정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음.
- 전자인사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인사관리를 전자 인사관리로 전환해 인사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합리적인 인사행정을 하기 위한 시스템임.
- 행정안전부는 전자인사관리 시스템 협력 및 지원에 관해 합의함.
□ 전망 및 시사점
○ 카자흐스탄의 전자인사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은 매우 높음.
- 증가하는 공무원의 수와 행정업무의 다양화는 전자인사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을 높임.
- 2012년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와 카자흐스탄 공공행정처 간의 인사행정 관련 양해각서 체결은 양국 간의 인사행정 시스템에 관한 협력과 교류를 증가시킬 것으로 사료됨.
- 대한민국은 현재 전자정부 발전지수가 세계 1위인 국가로, 카자흐스탄과의 협력이 꾸준히 이뤄질 것으로 판단됨.
- 특히 인사행정 시스템의 협력을 통해 전자정부 프로젝트 외 다른 분야에 대한 협력 또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UN E-Government Survey 2012, 행정안전부, 코트라 알마티 무역관 자체 통합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