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상(相)자는 나무 목(木)변에 눈 목(目)자를 했습니다. 나무(木)의 눈(目)이 마주보고 나기에 ‘마주한다’ ‘서로’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상호(相互) 상쟁(相爭) 상생(相生) 상조(相助) 상종(相從) 외상(外相) 상조(相照)
윗 상(丄,上)자는 위쪽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상서(上書) 상관(上官) 상전(上典) 상하(上下) 상품(上品)
도장 새(璽)자는 도장은 옥으로 새겨 고급스럽고 잘 마모되지 않도록 했기에, 구슬 옥(玉)자에 너를 표시하는 것이 도장이니까, 너 이(爾)자를 했습니다. 너 이(爾)자는 화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너는 상대방입니다. 상대방을 나타내기 위하여 화살을 그렸습니다. 새보(璽寶) 새고막(璽庫莫) 새은(璽恩) 새조개(璽雕開) 신새(信璽) 신새(神璽) 봉새(封璽)
아낄 색(嗇)자는 논밭에 자라는 곡식을 그린 글자입니다. 글자 윗부분에 흙 토(土)자 사이에 사람 인(人)자가 들어 있는 글자는 곡식 이삭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글자 아래에 돌 회(回)자는 논밭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낀다는 말은 먹을 곡식을 아낀다는 말입니다. 지금도 농부들은 곡식 한 알이 마당에 떨어져 있어도 그냥 지나치지 않습니다. 인색(吝嗇) 탐색(貪嗇) 부유색(夫唯嗇) 치인사천막약색(治人事天莫若嗇) 전부위지색부(田夫謂之嗇夫)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