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음악은 삼각형을 클릭하세요
소만(小滿)
24절기의 여덟째인 소만(小滿)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며, 음력 4월,
양력 5월 21일께가 됩니다. 태양이 황경 60°의 위치에 올 때입니다.
소만은 '만물이 점차 자라서 가득 찬다'는 뜻이 있습니다. 이때부터 여름 기운이
들기 시작하는데 가을보리를 거두고 이른 모내기를 하며 밭농사의 김매기를 하게
됩니다. 이때 즐겨 먹는 냉잇국은 시절음식으로 이름이 높습니다. 또 죽순(竹筍)
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찍어 먹는가 하면, 꽃상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인 씀바귀의 뿌리나 줄기, 잎을 이 시기에 먹기도 합니다.
60여 년 전 소만 풍경을 동아일보 (1947.5.22) 기사를 통해 들여다보겠습니다.
"여름은 차츰 녹음이 우거지고 철 맞춰 내린 비로 보리와 밀 등 밭곡식은 기름지게
자라나고 못자리도 날마다 푸르러지고 있으나 남의 쌀을 꿔다 먹고사는 우리 고향에
풍년이나 들어주어야 할 것 아닌가? 농촌에서는 명년 식량을 장만하고자 논갈이에
사람과 소가 더 한층 분주하고 더위도 이제부터 한고비로 치달을 것이다."
해방 후 어려운 농촌 풍경이 수채화처럼 그려집니다. 소 모는 농부와 어린 아들
앞세워 논둑으로 새참 이고 나가는 아낙, 뒤를 따르는 삽살이 한 마리가 우리의
정서를 자극합니다. 도회지 생활에 잊힌 듯하지만 누구나 고향풍경은 손대면
톡 하고 터질 듯한 그런 그립고 아름다운 정경이 아닐는지요. 천지가 푸르러지는
이 무렵 유일하게 대나무는 푸른빛을 잃고 누렇게 변합니다. 이는 새롭게 탄생하는
죽순에 자기의 영양분을 공급해주기 때문이지요. 마치 부모가 어린 자식들을
키우느라 자신을 돌보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봄의 누런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
곧 '대나무 가을'이라고 합니다만 늙으신 부모님이 소만에 논배미에서 애쓰시는
고마움을 이날 돌아보는 것도 뜻깊지 않을까요?
소만의 관련된 속담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이 무렵에 부는 바람이 몹시 차고 쌀쌀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소만 추위에 소 대가리 터진다.>
소만 무렵의 쌀쌀한 추위가 만만치 아니하다는 말입니다.
<큰 소 큰 소 하며 꼴 아니 준다.>
말로는 큰 소가 중하다고 하면서 꼴은 작은 소만 준다는 뜻으로, 먹을 것을
아이들에게만 주고 어른들은 잘 돌보지 아니한다는 말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