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맨 싱글 버너 스토브 |
|
A. 콜맨 싱글 버너 스토브의 종류 가. 제레레이터 형태에 따른 분류 |
|
- 일자형 제네레이터 스토브 1960년 이전 생산된 스토브들이다. 주요 모델 : 500시리즈, 502 502 500A |
- 원형 제네레이터 스토브 이 제네레이터를 사용하는 스토브는 모두 리콜되었다. 외국 콜랙터들은 이 모델을 수집만 할 뿐 불을 보지는 않는 경우 가 많다. 모델 : 501, 501A |
- 투밸브 제네레이터 스토브 밸브가 두 개여서 불 조절이 간편 주요모델 : 400, 400A, 508A
400A 508 |
- 원밸브 제네레이터 스토브 한국에서 인기 있는 442처럼 밸브가 1개인 스토브들이다 주요모델 : 502A, 400B, 440, 442, 508B ... 502A 442 |
- 550 계열 스토브 전용 제네레이타,, 등유용 제네레이터 사용시 등유사용 가능 550B |
|
- 제네레이터 비교 |
|
502 501 500 |
550 |
원밸브 투밸브 |
|
나. 연료에 따른 구분 |
|
- 듀얼퓨얼 화이트가솔린이 없으면 일반 휘발유를 써도 되는 모델 주요모델 : 442. 533, 440 442 533 440 |
- 화이트가솔린 전용 화이트가솔린만을 사용해야 하는 모델 주요모델 : 듀얼퓨얼을 제외한 대부분 싱글 버너 스토브들
400A 508
502A 501 |
- 멀티퓨얼 제네레이터를 교체해서 휘발유와 등유를 사용할 수 있는 모델 모델 : 550A,B 550B |
|
다. 명칭 400 (400, 400A, 400B, 440, 442) 계열
550 스토브
500 스토브 |
|
B. 연소 절차 |
|
1. 연료통에 연료를 주입한다. 2. 펌핑하여 공기를 연료통에 밀어 넣는다. 3. 펌핑에 의해 연료통 안에 압력이 증가한다. 4. 연료튜브(이송관)을 통해 상부로 연료가 올라간다. 5. 밸브 레바를 통과한 연료는 제네레이터로 공급된다. ※ 밸브 휠(레바)에서 이 연료를 개폐를 담당한다. 6. 제네레이터는 화구위를 지나가고 화구의 열을 받아 연료를 기화 시킨다. 7. 제네레이터를 통과한 기체화된 연료는 믹싱관 또는 |
|
* 점화 할때 또는 충분하게 예열되지 않은 연료는 액체 상태로 연소되고, 이때는 정상적인 파란빛이 나지 않고 붉은 불이 넘실거린다. 점화시에는 붉은 불이 점차 파란색의 정상적인 불로 바뀐다. |
8. 공기와 혼합된 연료가 버너링 또는 화구로 공급되어 연소된다. |
C. 펌핑 - 펌핑 손잡이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2~3바퀴 돌린다. (ClOSE 반대 방향) 에어스템이 뒤로 밀려나 체크밸브의 공기 구멍을 연다 . |
|
|
|
체크밸브를 절단한 그림 |
|
- 펌핑 손잡이 가운데 구멍을 엄지로 막고 펌핑한다. (몇 번을 하는 것보다는 충분한 압력을 넣는 것이 중요하다. 압력이 들어가면 펌핑이 빡빡해진다. 각 스토브마다 경험적으로 이 압력을 알게 된다.) |
|
- 펌핑이 끝나면 펌핑 손잡이를 시계 방향(ClOSE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다. 에어스템이 전진해서 체크밸브의 공기 구멍을 막는다. * 에어스템의 원뿔이 턱이 지면 압력을 완전히 막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
|
* 콜맨 펌핑구 구조 |
|
* 콜맨 펌핑구 안전 장치 |
|
콜맨만의 특이한 구조로서 펌핑구에는 3중의 안전장치가 있다. 첫 번째 – 체크밸브의 볼이 압력을 1차로 차단한다. (펌핑 할 때는 앞으로 밀려 공기구멍을 열고, 그렇지 않은 경우 연료통의 압력으로 뒤로 밀려 공기구멍을 닫는다) |
|
두 번째 – 에어스탬이 볼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체크밸브의 공기 구멍을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
|
세 번째 – 펌핑으로 들어가는 공기가 연료통 위쪽으로 올라 가는 파이프가 있어, 체크밸브의 이상 발생시에도 공기만 빠져나가도록 한다. (물론 휘발유가 포함된 유증기라 불이 붙는다)
|
|
D. 연료 가. 연료선택 - 듀얼 퓨얼도 되도록 화이트 가솔린 사용을 권장한다. -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휘발유를 사용해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제네레이터 청소주기가 짧아진다. |
|
나. 연료주입 |
|
- 연료가 가솔린이라면 스토브에 불이 켜 있는 동안에는 연료마개를 열지 않는다. (주유를 위해 연료마개를 열면 가솔린이 포함된 유증기가 나오고 이것에 불이 붙는다.) - 스토브가 완전히 꺼지고, 충분히 식은 다음 연료주입을 한다. - 연료통의 70~80% 정도가 최대 주유량이다. 공기가 압축될 빈 공간이 필요하다. (연료주입구 밑으로 1cm까지 출렁이면 된다.) - 반듯이 깔때기를 사용하거나, 전용 주유도구를 사용 하여야 한다. (만약 주유 중 연료가 누유 되었다면 모두 휘발될 때까지 기다리던지, 딱아내야 한다.) |
휘발유 앤턴이나 스토브가 켜 있는 동안 연료마개를 열면 이럴수도 있다. 위험하다. |
* 필터가 있는 깔때기를 추천한다.
황동버너 까페 콜맨 퍼널 0 콜맨 깔때기 1갤론 전용 - 스토브 500모델(500A,500B는 제외)은 연료주입구가 작다. 전용 깔대기가 필요하다. (퍼널0번 깔대기 사용) |
|
E. 점화 |
|
가. 사전점검 - 가솔린을 사용하는 스토브이므로 사용 전 누유 되는 곳이 있는 육안으로 확인하고 - 펌핑을 충분히 한 후 누유 되는 곳이 있는지 확인한다. 육안검사 방법 - 구멍이 난 곳은 없는지 살펴본다 - 녹이 많이 발생한 곳은 긁어내 상태를 확인한다. - 부품이 흔들리는지 확인한다.
|
이런 구멍 있으면 사고난다. |
- 불을 붙이지 않은 채 밸브휠(레바)를 열고 역시 누유 되는 곳이 있는 지 확인한다. * 집중적으로 봐야 되는 곳
연료통 연결부 제네레이터 연결부 밸브 레바(휠) 축 |
|
나. 제네레이터 가스팁 노즐 청소 - 500 시리즈 청소 필요 없음
|
|
- 501 시리즈 있고, 500과 동일하게 Off상태일 때 청소가 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청소 필요 없음 (501과 501A를 실사용하는 것은 대단한 주의가 필요하고 실사용을 추천하지 않는다.) |
501 501A |
- 502 (502A 제외) 전용 청소 레바을 2~3회 돌려주어 가스팁을 청소해줍니다. (구멍을 막은 찌꺼지 제거)
|
빨간색 손잡이 회전 |
- 원밸브 스토브(400B, 442, 502A등) 밸브 레바(휠)을 열었다, 닫았다를 2~3회 반복한다.
|
|
- 투밸브 스토브(400, 400A, 508등) (청소하고 다시 개방 위치로 놓는다.)
|
|
다. 점화순서
- 사전 점검 (매우 중요)
|
|
라. 소화
투밸브의 경우 연료통과 연결된 부분의 레바를 잠근다. - 불이 꺼질때까지 기다린다. 밸브휠(레바)를 잠가도 기존에 나온 연료가 다 연소 될 때 까지 잔불이 남는다. - 충분히 식은 다음 연료마개를 열어 압력을 빼준다. |
|
마. 주의사항
- 가솔린 스토브가 점화된 상태에서 절대로 연료마개를 열면 않 된다. 연료마개를 여는 순간 압력이 빠지면서 연료가 분사된다. 여기에 불이 붙는다. - 가솔린 스토브가 점화된 상태에서 움직일 때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스토브 자체가 굉장히 뜨겁다. - 연료의 양이 많을 때는 버너자체를 기울려 연료마개가 하늘을 향하게(12시 방향) 한 후 연다. 그냥 열면 연료가 줄줄 나온다. |
불이 켜져 있을 때 연료마개를 열면 위험 |
바. 등유 모델 (550계열 등유제네레이터 설치시) - 점화전 가스토치 또는 고체알콜등으로 제네레이터 부분을 충분하게 예열하여야 한다. - 그 이외에는 휘발유 스토브와 사용법 동일하다. (소화시에도 레바로 OFF한 다음 연료마개를 열어 압력을 뺀다.)
F. 관리 - 사용 중에 불꽃이 약해지면 제네레이터 가스팁 노즐 청소를 하고, 추가 펌핑을 한다. 점검의 가스팁 청소 참조 ( 단 빠르게 한다. 불이 꺼지지 않도록) 500모델은 완전히 잠그지 않고 80% 정도 잠그다음 다시 연다. - 예비 연료 및 스토브는 그늘에, 통품이 잘되는 곳에 보관한다. 압력을 빼 놓은 스토브도 햇빛에 열을 받아 압력이 생긴다. - 2주 이상 사용하지 않는 다면 연료통의 연료를 비우는 것을 추천한다.
G 사용 팁(?) - 점화전에 가스토치로 제네레이터에 열을 가하면 초기 불쇼를 줄이거나 없을 수 있다. - 스토브보다 많이 넓거나 무거운 그릇은 별도의 오덕을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
|
H. 액세서리 가.케이스 - 금속케이스 501, 502, 400, 442(초기) 시리즈에서 볼 수 있는 금속(알루미늄, 철) 케이스 이 케이스로 물을 끓일 수 도 있다.
501, 502용 케이스 400 케이스
502A 케이스 400A 케이스
|
|
- 플라스틱 케이스(케리케이스)
508 케이스 533 케이스 |
|
- 소프트케이스 너무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콜맨 USA, 콜맨 제팬, 호상사 제품등) 그리고 크기가 조금씩 다릅니다.
|
|
나. 바람막이 바람막이는 국내에서는 이렇게 2종류만 보이네요.
|
|
다. 히터캡 콜맨 스토브에 올려 난로용으로 사용하는 액세서리입니다. (액세서리가 더 비싸요..)
502 용 히터 500용 히터
요즘 나오는 히터캡입니다. |
모델별 대충 정리
모델명 |
대충 내용 |
400 |
400은 투밸브... |
400A |
이 모델은 투밸브이다. (그런데 정말 400A라 마킹되어 있는데 원밸브도 있다. 제네레이터만 바꾼것이 아닌것이 연료통의 형태가 원밸브이다.)
그리고 이글을 쓰게 된 직접적인 이유다. 이것 피크원 버너라고 하시는 분이 계신데 사실 피크원 버너 많다. ㅎㅎㅎ |
400B |
이 모델은 원밸브이다. (그러나 어디선가 투밸브도 나올것 같은 예감... 콜맨은 미국, 캐나다, 일본등에서 각기 디자인하는 모델이 있는 모양이다. 복잡해진다...
애도 피크원 버너... |
440 |
다리부분 빼곤 442와 동일합니다. 442의 연료통을 키웠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442 |
검은 색 모델도 있다. 우리나 등산하시는 분들이 가장 선호한다는 모델이다. 모델번호는 같아도 상품명은 다르다.. (물론 부품은 100% 같다..)
|
500 |
제치 바람막이 감상... 연료캡이 작고 펌핑구와 반대방향에 있다 |
500A |
연료캡이 펌핑구 옆에 있고 커졌다. 500보다는 이 500A가 실사용에 더 좋다. (왜 ? 내가 500A만 있으니까...) |
500B | 500A하고 구분점은 연료마개와 펌핑구의 위치이다. |
501 |
이 버너는 콜맨의 대표적인 실패 모델이다. 장시간 동작했을때 폭팔(?)을 해 불깡통, 불폭탄의 오명을 쓰고 리콜된다. 그러나 그래서 더 귀한 놈이다. 국내에도 이것 갖고 계신분들이 계신데 기억저편이 노리고 있습니다. ㅋㅋㅋ
|
502 |
501를 개량한 모델 좋다. 한번 써 보시기를.. 400이나 442와 달리 불조절손잡이가 커서 좋다.
|
502A |
502의 제네레이터를 400이나 442에 쓰이는 제네레이터로 바뀌었다. 콜맨 100주년 기념버너도 502A 모델이다.. 저 빨갱이 버너 갖고 싶당.... |
505 |
펌핑구가 연료통 밑에 있는 모델입니다. 불은 뭐 제네레이터 보시면 답이 나옵니다. (같은 제네레이터를 400, 442, 533, 508등이 씁니다.)
|
505A |
505를 투밸브로 개선했군요..
|
508 |
이모델은 투밸브입니다. 국내에서는 그다지 많지 않은듯.. |
508A |
508를 원밸브로 바꾸고 A를 붙혔네요.. 다른 모델들은 대부분 A가 투밸브인데..
|
533 |
국내에 많은 양이 돌아다닙니다. 뭐 화력은 제네레이터 보시면 답 나오고요...
|
550A |
애도 피크원 버너입니다. ㅎㅎㅎ 제네레이터 형태가 이 모델부터 달라집니다... |
550B |
등유까지 쓸수 있는 버너입니다.(물론 제네레이터 교체) |
576 | 캐나다산 505 ? |
첫댓글 대단한 논문입니다
잘 정리되어 한눈에 들어오는
콜맨버너들입니다
ㅎ~,, 감사합니다.
정말 필요한 정보/ 자료 입니다.
~거듭 감사합니다~
콜맨스토브 완전정복
~~~굿
아래
요런거 수리 좀 하러고 하는데
뭔 자료있으면 알려주세요
불쑈을 해서~~
R55 제네레이터의 가스팁이 확공되었거나, 공기흡입구가 오염되었거나...
등유를 쓰시나요 ? 휘발유 한번 넣어보시죠..
@기억저편(김영수) 등유사용으로
한 3년보관했던건데 요즘 해보려고
했는디 불쑈하네요
날 잡아서 다 분해 해보고 모르면 다시
물어볼께^^
감사합니다.
아주 좋은글입니다 소프트케이스는 녹색이 오리지널이구 나머지는 국내제작으로 추측해봅니다 ^^
검은색도 있긴 합니다.
콜맨제팬에서도 비슷한 것들이 보입니다.
일목 요연한 정리가 대단하십니다. 한눈에 쏙 들어옵니다.
기억저편님 좀더 확실한 버너자료 잘 보고 갑니다 고맙고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