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 요괴의 수염
김동식 주니어소설
김동식 글 · 조성흠 그림 | 156쪽 | 값 14,000원 | 140*210mm
ISBN 978-89-6915-169-8 (73810) | 2024년 6월 19일 발행
이 책에 담긴 이야기를 불신하지 마시오!
초단편 소설 열풍을 일으킨 영민한 이야기꾼
김동식 작가의 이상하고 신비로운 이야기
책장을 넘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짜릿한 긴장,
괴이하고 기묘한 이야기가 선사하는 서늘한 온도
십 대를 위한 일상공감 기담집!
⁕ 출간 전부터 화제를 모은 『108요괴의 수염』 ⁕
책이라는 요괴가 우리에게 마법을 부린 것은 아닐까? _서울가재울초등학교 5학년 이**
심심할 때마다 들고 다니면서 몇 번이고 펼쳐 볼 것 같은 중독성이 있는 책이다. _수회초등학교 5학년 권**
잊고 있던 상상에 불을 지펴 주는 불쏘시개를 만난 느낌이다. _중학교 2학년 아이디 roon***
1. 108요괴의 수염
우연히 한 노인을 만난 채연은 백팔 요괴의 수염 뭉치를 받게 된다.
수염 가닥을 손가락에 감고 잠들면 요괴를 만날 수 있는데 좋은 요괴라면 다음 날 좋은 일이 일어나고,
나쁜 요괴라면 다음 날 나쁜 일이 일어난다. 채연은 좋은 요괴와 나쁜 요괴를 알아보는 규칙을 찾아내야만 한다!
2. 수박의 비밀
진주는 수박이 잘 익었는지 확인하려고 통통 두드린다. 그런데 안에서 ‘누구세요?’라는 대답이 들리는 게 아닌가!
이 수박의 정체는 무엇일까? 천재 과학자의 신종 수박일까? 진동 인식 스피커 장치가 들어 있는 걸까?
수박의 요정이 살고 있을까? 독자 여러분도 다양하게 상상해 보시길.
3. 요괴 육아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요괴는 수현에게 자신의 아기를 잘 먹여 깨어나게 해 달라고 부탁한다.
요괴 아기는 ‘인간이 밥에 물을 말아 먹고 싶어 하는 욕망’을 먹어야 한다.
어떻게 주위 사람들이 밥에 물을 말아 먹게 하지? 수현은 혼신의 연기를 시작한다.
4. 전설의 코딱지
‘전설의 코딱지’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는 학교. 이 학교에서 전설의 코딱지 일곱 개를 찾으면 어마어마한 일이 일어난다!
크고 노랗고 딱딱한 그것. 은지와 지혜는 온 학교를 돌아다니며 코딱지를 찾아 헤매고, 급기야 코딱지 수색대까지 만든다.
5. 시험지 게임
학교 뒤편에 있는 우물에는 시험지를 던지면 다음에 성적이 오른다는 전설이 있다.
하율은 이곳에서 ‘우물 신령’을 만나고, 백지 시험지를 받게 된다.
그날 저녁, 백지 시험지에는 문제가 나타나는데······.
백 점을 맞으면 원하는 일이 이루어진다는 시험지를 손에 넣은 하율은 미래를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을까?
6. 강아지 복제
연우는 사랑하는 반려동물 ‘뭉키’가 세상을 떠날까 봐 걱정이다.
강아지를 복제하면 뭉키와 같은 강아지를 다시 만날 수 있을까?
복제된 뭉키는 아무 기억도 없을 텐데? 게다가 뭉키가 그것을 원하는지조차 알 수 없다.
7. 에필로그
경고 표지판에 관한 도시 전설. “이곳에서 딸기를 미워하지 마시오!”,
“이곳에서 콜라를 화나게 하지 마시오!” 그리고 마지막 표지판은······.
|저자 소개|
김동식
부산 영도 산복도로 골목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2006년에 서울로 와 성수동의 한 주물 공장에서 결근 한번 하지 않고 10년 동안 노동했다.
2016년부터 온라인에 창작 소설을 올리기 시작했고,
독자들의 뜨거운 지지에 힘입어 『회색 인간』, 『세상에서 가장 약한 요괴』, 『13일의 김남우』를 출간하며 데뷔했다.
『회색 인간』은 100쇄를 돌파하며 문단에 즐거운 충격을 안겨 주고 있다.
등단 5년 만에 1000편이 넘는 소설을 창작했으며, 『밸런스 게임』, 『성공한 인생』,
『인생 박물관』, 『궤변 말하기 대회』 등 여러 소설집과 자신만의 창작 기법을 풀어낸 『초단편 소설 쓰기』,
에세이집 『무채색 삶이라고 생각했지만』 등을 썼다.
태어나 처음으로 쓴 글을 올린 곳이 인터넷 ‘공포 게시판’이었을 만큼, 괴이하고 기묘한 이야기 다루기를 좋아한다.
그림 조성흠
말이나 글을 전하는 일보다 그림 그리는 게 편한 사람이다.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동화책에 그림을 그리고 있다.
『거울 옷을 입은 아이들』, 『마법의 나날들』, 『쓸모가 없어졌다』, 『잃어버린 일기장』,
『어느 날, 사라진』, 『지하의 아이 지상의 아이』, 『이제 돌고래는 자유야』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