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울 서(暑)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날마다 쌀을 먹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실마리 서(緖), 관청 서(署), 마 서(薯)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피서(避暑) 폭서(暴暑) 한서(寒暑) 서중(暑中) 서하(暑夏) 처서(處暑) 대서(大暑)
맹세할 서(誓)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꺾을 절(折)자를 했습니다. 꺾을 절(折)자는 손을 뜻하는 손 수(手,扌)자 변에 도끼 근(斤)자를 해서 나무를 도끼로 꺾는 표시를 했습니다. 갈 서(逝)자도 꺾을 절(折)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맹서(盟誓) 서약(誓約) 선서(宣誓) 서해(誓海) 서원(誓願) 서사(誓詞) 서문(誓文) 서장(誓狀)
갈 서(逝)자는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꺾을 절(折)자를 했습니다. 가는 방향으로 꺾었다는 뜻입니다. 가기로 정했다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꺾을 절(折)자는 손으로 꺾는다는 뜻으로 손 수(手,扌)자 변에 꺾는 도구로는 도끼를 표시하는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꺾을 절(折)자는 꺾는 손과 꺾는 도구를 가지고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서거(逝去) 영서(永逝) 급서(急逝) 장서(長逝) 요서(夭逝) 불서(不逝) 훙서(薨逝) 졸서(卒逝)
천천할 서(徐)자는 의부(義符)로 조금 걸을 척(彳)자에 성부(聲符)로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나 여(余)자는 나를 지키고 보호하는 무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차례 서(敍,敘), 천천히 걸을 서(俆), 베풀 서(叙), 의심스러울 서(悇)자들은 나 여(余)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서행(徐行) 서사(徐事) 집서(執徐) 안서(安徐) 서희(徐熙) 완서(緩徐) 불서(不徐)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