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를 석(析)자는 나무를 가른다는 뜻으로 나무 목(木)자에 도끼로 가른다고 해서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가를 석(析)자는 나무를 도끼로 쪼개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석출(析出) 석산(析産) 분석(分析) 해석(解析) 투석(透析) 석목(析木) 이석(利析)
아낄 석(惜)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예 석(昔)자를 했습니다. 예 석(昔)자는 날이 오래 되었음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애석(哀惜) 애석(愛惜) 석춘(惜春) 석패(惜敗) 석별(惜別) 통석(痛惜) 불석(不惜)
해석할 석(釈,释,釋)자는 분별할 변(釆)자 변에 엿볼 역(睪)자를 했습니다. 엿볼 역(睪)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다행 행(幸)자를 해서 죄를 짓고 잡혀와 갇혀 있는 죄수를 몰래 엿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잡아온 죄인을 가두어 감추어 두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자로 보기도 합니다. 잡아 가둔 죄인을 감시한다는 뜻으로 엿볼 역(睪)자를 이해해도 좋을 것입니다. 해석(解釋) 석가(釋迦) 석가(釋家) 석방(釋放) 제석(帝釋) 석본말(釋本末) 희석(稀釋)
자리 석(席)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스물 입(廿)자를 하고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지붕 아래에 수건으로 자리를 깔고 여럿이 앉아 있다는 표시입니다. 여러 서(庶)자는 수건 건(巾)자리에 불 화(火,灬)자를 했고, 법도 도(度)자는 수건 건(巾)자리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집 엄(广)자와 스물 입(廿)자를 한 글자는 일정한 자리를 뜻합니다. 여러 서(庶)자도 자리를 뜻하는 글자이고, 법도 도(度)자도 서열 즉, 자리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자리 석(席)자는 분명하게 자리를 표시하려고 자리의 깔개인 수건 건(巾)자를 했지만 다른 글자들은 불 화(火,灬)자나 또 우(又)자 등으로 간접적인 표현을 했습니다. 좌석(坐席) 좌석(座席) 주석(主席) 우등석(優等席)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