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01월 10일~11일 : 내벽 합판작업
2011년 01월 12일~13일 : 다락방 천정 및 벽체 단열작업
2011년 01월 14일~16일 : 휴식/잡무/기타등등 .......
2011년 01월 17일~18일 : 부부방 및 자녀방 단열 및 합판작업
2011년 01월 19일~20일 : 다락방 벽체 합판작업
2011년 01월 21일 : 거실 단열 작업 및 합판작업시작
안녕하십니까 거실 단열재작업시작후 근 10여일이 지났지만 이리저리 작업진도는 별로
나간것이 없네요 .....
거실쪽 천정작업을 일부하였습니다만 마감처리부분과 석고보드 작업순서에 비추워볼때
다락방과 벽체단열재 충진과 합판작업을 미리해놓아야 일의 순서가 맞는듯하여
일단 벽체작업부터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벽체마감계획은
천정은 9.5mm 석고 1pl(원 플라이 : 한장을 시공) 하고 루바마감하고
외벽의 안쪽경우 4.8mm리브합판 + 9.5mm 석고 1 pl
내벽의경우 한쪽은 osb 11.1 + 9.5mm 석고 1 pl (내벽중 내력벽부분)
다른쪽은 4.8mm + 9.5mm 석고 1pl 로 시공할예정입니다....
-----------------------------------
통상 내부벽체마감은
1) osb 11.1 + 석고보드 9.5mm 1 pl(장)
2) 4.8mm 합판 + 석고보드 9.5mm 1 pl
3) 9.5mm 석고 2 pl
4) 12.5mm 석고 1 pl(통상 방화석고보드로 시공하는경우까지 포함)
위의 4가지 방법이 통상의 방법입니다
각방법별 장단점을 보면(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1) osb 11.1 + 석고보드 9.5mm 1 pl(장)
-> 내벽에 11.1mm OSB를 한장더 치면서 벽체를 한번더 보강해주고 추후 석고보드시공이 용이합니다
다만 osb의경우 수축팽창이 합판보다 심하므로 위에 석고마감을할시에는 osb수축팽창에 의한
석고보드 이음매부분이 갈라지는 경우가 생길수 있다하겟습니다( 내벽의 경우 그러할 정도로 온도차이가
발생하는경우는 드물다 생각됩니다만/ 7.9mm 내벽용 osb가 현재 사용되어지지않는바 충분히 일리가 있습니다)
-> 벽지나 기타마감일경우에는 별 영향이 없다 판단되지만 페이트마감이라면 충분히 고려해봐야할 사항입니다
-> 자재비 단가가 올라가는 단점도 있습니다(면적으로 따져보면 석고보드가격에 거의 2.5배 수준)
-> 액자나 기타 옷걸이 등등을 박아도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4.8mm 합판 + 석고보드 9.5mm 1 pl
-> 합판의경우 온도차에의한 수축팽창이 osb보다 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8mm만 하더라도 구조재로 사용이 가능하기때문에 단가가 좀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거의 osb의 80%수준)
osb를 사용할때의 장점을 대부분 커버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3) 9.5mm 석고 2 pl
->통상의 사용방법입니다 아무래도 12.5mm 한장보다는 9.5mm 두장이 더 벽체강도는 더 나을듯합니다
자재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 12.5mm 석고 1 pl(통상 방화석고보드로 시공하는경우까지 포함)
-> 요 방법도 통상의 사용방법입니다
가끔 tv에서 하는 외국의 주택리모델링 프로그램을 보면 거의 스터드에 석고 1장 마감하고 페인트칠 마감이
대부분입니다
-> 2*6내벽구조시 문틀폭이 170mm가 거의 기성품임으로 170mm 문틀을 사용시에도 마감이 잘 떨어지는듯합니다
저의경우에는 2번 4.8mm합판+석고 9.5mm 1 pl 시공방법을 택했습니다
먼저 단열재를 넣기위해 벽체 한쪽면합판작업을 합니다
1번: 부부방과 주방사이의 내벽입니다
2번: 합판붙일곳아래 받침목을 하나대어줍니다
3번: 4.8mm 합판에 사용할 422타카와 타카핀입니다
4번: 합판 시공모습입니다

콘센트부분 개구부는 직소톱을 이용해서 따냈습니다
1번: 콘센트 개구부 위치를 합판에 표시합니다
2번: 드릴날로 먼저 직소톱날이 들어갈 구멍을 천공합니다
3번: 직소톱으로 개구부를 따냅니다
4번: 개구부를 따낸 합판을 붙인모습입니다

합판시공전에 각스터드 위치를 먼저 표시해놓고 합판시공후에 초크를 가지고 각 스터드마다 스터드
위치에 초크선을 그립니다 그리고 그 초크선을 따라 422타카로 고정합니다
1번: 합판 시공된 사이 스터드위치입니다
2번: 초크선을 스터드 중심선에 표시합니다
3번: 초크선을 따라 타카를 시공합니다
4번: 합판시공된 사진 뒤면입니다
이렇게 초크선을 표시해놓으면
타카치기도 용이하고
나중에 석고보드시공시에 석고피스를 스터드에 박기 용이합니다

422 타카는 대략 100mm 간격으로 시공하였습니다

현관앞 배전함과 전화/동축단자함 부분뒷면에도 합판을 시공합니다
1번~2번:회로를 7회로나쓰고 각 전화선/동축도 점퍼시키지않고 단자함으로 다끌고와서 선이 넘 많습니다만
요부분은 신발장윗부분으로 추후 목공사로 별도 box처리할예정입니다
3번: 거실앞 tv장앞부분 합판시공했습니다
4번: 3구스위치 부분 개구부를 따서 시공한모습입니다

다용도실 내벽입니다 요부분은 한쪽은 osb처리하고 다른면은 4.8mm 시공합니다
1번: 다용도실부분입니다
2번: osb 합판으로 시공했습니다
3번: 콘센트나 스위치부분 도 합판과 동일하게 따내어 처리하였습니다
4번: 다용도실 한쪽면 osb가 마감된모습입니다

osb로 합판을 취부하는경우 혹시 전선관을 건드릴소지가 있어 네일스토퍼를 대어줍니다
목재상에 요즘 네일스토퍼 찾는사람이 없어 물건이 없다 합니다 ->ㅎㅎㅎ
주문하자니 한박스 600개 켁.......
할수없이 전기box마감용 덮개를 이용해서 시공했습니다

중간중간 전기마감공사도 더불어 했습니다
1번~2번:전기 결선box내 전선이 많이 결선된곳은 전기결선부분을 억지로 box안에 넣으면 혹시모를 누전
기타등등 사고발생우려가 있으니 2번사진처럼 덧box를 하나더 대어서 공간을 확보한후 덮개로
덮습니다
3번~4번 : 팔각box에 덧박스를 덧댄후 덮개로 마감한 모습입니다

이제 다락방 작업을 합니다
1번: 박공스터드에 서까래 높이에 맞추어 석고보드 받침목을 대어줍니다
2번: 마룻대위로 전선관도 새들을 박아서 고정시키고 정리합니다
3번 : 역시 리프터 벤트를 설치하고
4번: 단열재를 충진합니다
5번: 단열재는 옆에서 스티플로를 이용해서 날개를 스터드에 고정시킵니다
6번: 단열재 충진중 한장 셀카했습니다 방진마스크 꼭 쓰시고하셔야합니다 유리섬유가루 엄청날립니다
(방진복도 입고 작업하시면 더욱좋습니다)

다락방지붕과 벽체부분 인슐레이션 사양입니다
1번 : 다락방 천정부분
거실 천정과 마찬가지로 리프트 벤트를 대어준후 r19단열재 시공합니다
2번 : 다락방은 상시거주공간이 아니고 난방도 별도로 할계획이 없어 벽체는 r11 단열재로 사용합니다
3번~4번 : 다락방 벽체 단열재 작업입니다
5번~6번 : 인슐레이션 r11의 두께입니다

인슐레이션 충진이 완료되면 이제 합판을 취부합니다
요령은 뭐 위에서 설명드린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했습니다
(다락방 마루구조부분에대한 설명은 나중에 마루시공시 한꺼번에 설명드리겠습니다)

다락방의 박공벽부분 합판시공입니다
1번: 스킬톱을 이용해서 삼각형부분을 재단합니다
2번: 재단한 삼각형 합판을 취부합니다(재단요령은 외부 박공벽작업시 osb절단요령과 같습니다)
3번: 박공벽 부분 합판시공을 완료했습니다
4번: 다만 전선관이 다량들어있는 박공벽 맨위 전선통로부분은 합판취부가 어렵고
또 사진처첨 박공벽 스터드에 목상을 대고 칼라타이부분에서 한번더 마감지을요량입니다

이제 부부방과 자녀방 작업입니다
합판취부요령은 동일합니다
3번: 각 모서리 코너부분에도 단열재를 잊지말고 충진합니다
4번: 혹시라도 모를 윗깔도리부분에도 네일스토퍼를 대어줍니다
5번~6번: 전선이 지나가는 스터드사이에는 매직으로 전선통로입을 표시해서 석고작업시에도 참고합니다

자녀방쪽 인슐레이션 충진과 합판을 취부한 모습입니다
3번~4번 : 방문을 달 개구부 모습입니다
4번 사진을 보시면 스터드에 4.8mm 합판이 양쪽으로 붙였습니다 이후 석고 9.5mm를 양쪽에 시공하면
벽체두께는 (9.5+4.8+140+4.8+9.5 =168.6mm 가되어 문틀은 170mm 폭으로 주문하였습니다)
합판시공전에 먼저 문틀을 시공하여야하나 문틀은 가져왔습니다만 아직 문틀을 못짜맞추어서
합판시공후에 문틀을 달고 이후 석고보드를 시공할예정입니다

거실부분의 합판시공입니다
1번 : 주방에서 본 부부방과 위쪽 다락방부분입니다
2번 : 약간 좀은 틈에는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인슐레이션을 넣었습니다
3번 : 에어콘 배관이나갈 50mm파이프 주위에는 좀더 신경써서 단열재를 넣었습니다
4번 : 거실부분 단열재를 충진하고 합판을 시공하고있습니다

역시나 겨울철 공사는 어렵습니다... 수압테스트를 해야 수도꼭지부분도 마무리할텐테...
내일은 낮에 영상으로 한번올라간다하니 그동안 꽁꽁싸매두었던 지하수를 한번열어봐야겠습니다
수도꼭지가 안얼었을려냐 모르겠습니다......
아마 요번달에 석고보드공사정도가 마무리되고 다음달부터나 본격적인 실내공사가 시작될듯합니다
내주에 다시 한파가 온다니 회원여러분들 건강조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