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단위계획의 내용 |
필수 |
기반시설의 배치와 규모 |
● |
도로로 둘러 쌓인 일단의 지역 또는 계획적인 개발․정비를 위하여 구획된 일단의 토지의 규모와 조성계획 |
● |
건축물의 용도제한․건축물의 건폐율 또는 용적율․건축물의 높이의 최고한도 또는 최저한도 |
● |
교통처리계획 |
● |
용도지역 또는 용도지구를 세분하거나 변경하는 사항 |
선택 |
건축물의 배치․형태․색채 또는 건축선에 관한 계획 |
선택 |
환경처리계획 또는 경관계획 |
선택 |
그 밖에 토지이용의 합리화, 도시 또는 농․산․어촌의 기능증진 등에 필요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선택 |
2. 대규모 판매시설의 동선계획으로 옳은 것은?
① 매장 내의 고객동선은 가능한 많은 매장을 거치지 않토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②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주출입구 가까운 곳에 배치한다.
③ 에스컬레이터는 비상용 계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④ 에스컬레이터 사용은 수송력에 비해 점유면적이 적아 효율적이다.
답)4
해설) 교재 백화점 계획 유제
① 매장 내의 고객동선은 가능한 많은 매장을 거치지 않토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거치도록
②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주출입구 가까운 곳에 배치한다.-> 주출입구와 멀리
③ 에스컬레이터는 비상용 계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사용할 수 없음.
3. 국내에서 일조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은 동짓날을 기준으로 검토한다.
② 건축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요소이다.
③ 공동주택에서 동서간 인동간격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④ 중심상업지역에 건축되는 공동주택의 건물높이는 일조권에 제한받지 않는다.
답)3
해설) 교재, 공동주택 파트, 전면인동간격, 측면(동서)인동간격 결정요소
일조권은 전면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
4. 도시설계와 거리가 가장 먼 항목은?
① 세금감면(tax abatement)
② 지구단위계획
③ 계획단위개발(planned unit developmnet)
④ 연간등가비용
답) 4
해설) 교재 도시및단지계획중 유연적 제도의 특징중.
연간 등가비용은 관계가 작다.
생애주기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이 매년 균일하게 발생할 경우, 이와 대등한 비용은 얼마인가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균일한 연간 비용으로 환산하는 방법, 즉 LCC에 사용되는 개념이다.
5. 공장건축의 지붕 종류 중에서 톱날지붕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① 균일한 조도 확보가 용이하다.
② 진동방지에 효과적이다.
③ 소음완화에 효과적이다.
④ 빗물처리가 용이하다.
답)1
해설)교재/공장설계
균일조도확보가 용이한 것이 중요 장점
6. 건축물의 빛 환경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대형공간의 천창은 측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균일한 실내조도분포를 확보할 수 있다.
② 색온도는 광원의 색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그 단위는 캘빈(K)을 사용한다.
③ 휘도란 광원 또는 조명된 면이 특정한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세기의 정도를 의미하며, 그 단위로는 루멘(Lumen)을 사용한다.
④ 실내의 평균조도를 계산하는 방법인 광속법은 실내공간의 필요조명기구의 개수를 계산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답)3
해설) 교재 환경파트
휘도란, cd/㎡으로 nit 사용.
7. 항상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밝기나 색의 조명의 물리적인 변화에 의하여 망막자극의 변화가 비례하지 않을 것
② 주어진 자극조건이 바뀔 때 새로운 자극조건에 적응하는 것
③ 새 자극이 제거되어도 동질 또는 이질의 감각이 남아 있는 현상
④ 색이 확실하게 보이는 정도
답)1
해설) 교재 총론 후반부
항상성은 물리적 변화와 관계 없이 느끼는 것. 자동차는 작고, 반면 버스는 크다. 흰색은 항상 하얕게 느낀다.
8. 미노루 야마자키가 세인트 루이스에 설계한 주거단지로, 당시 AIA 상을 수상하였지만 슬럼화화 범죄발생으로 인해 폭파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을 주창했던 찰스 젱크스가 근대건축 종말의 상징으로 언급했던 건축물은?
① 갈라라테세(Gallaratese) 집합주거단지
② 프루이트 이고우(Pruitt Igoe) 아파트
③ 레버 하우스(Lever House)
④ IBA 공공주택(IBA Social Housing)
답)2
해설) 교재 서양건축사 후반부중 근현대 건축경향중 주거단지 파트의 경향-동일문제
프루이트 이고 아파트단지를 말한다. 후에 오스카 뉴먼의 방어적 공간연구에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9. 공연장(극장, 영화관, 음악당 등)의 관객석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극작의 경우, 발코니 하부는 깊이가 개구부 높이의 2배이상으로 깊어지면 충분한 양의 음이 전달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② 연극 등을 감상하는 경우, 배우의 세밀한 표정이나 몸의 동작을 볼 수 있는 한계는 대체로 15미터 정도이고, 소규모 오페라와 발레 등의 감상에 적합한 거리는 22미터 정도이다.
③ 일반적으로 인간이 색채를 식별할 수 있는 시계각(視界角)은 약 40도이며, 주시력(注視力)을 갖고 볼 수 있는 각도는 10~15도이다.
④ 공연시설에 따른 1인당 실용적(Volume)의 적정치는 일반적으로 영화관이 음악당(Concert Hall)보다 크다.
답)4
해설) 교재 음환경 파트
1인당 실용적은 당연 음악당이 영화관보다 크다.
10. 극장계획에 관한 각 용어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잔교(light bridge) : 오페라, 연극 등의 경우, 음악을 연주하는 곳으로 객석의 최전방 무대의 선단에 두며, 관객의 가시선을 방해하지 않토록 바닥을 관람석보다 낮게 한다.
② 플로오트랩(Floor Trap) : 무대와 트랩룸 사이를 계단이나 사다리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③ 플라이 갤러리(Fly Gallery) : 무대 주위의 벽에 6~9m 높이로 설치되는 좁은 통로로로서, 그리드 아이언(Grid Iron)에 올라가는 계단과 연결된다.
④ 호리존트(Horizont): 무대 뒤 쪽에 설치된 벽으로, 여기에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구름, 무지개 등의 자연현상을 나타나게 한다.
답) 1
해설)교재 극장건축
잔교는 바닥 높이가 관람석보다 높게 해야 한다.
11. 주택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실내온도는 겨울에는 약간 저온으로, 여름에는 약간 고온으로 설정한다.
② 내부 공간의 배치에 있어 상주하는 거실, 방 등을 남향으로 위치할 수록 효율적이다.
③ 대지면적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도 가능한 남쪽을 비워두어 일사를 확보한다.
④ 평면형은 정방형보다 요철이 많은 평면이 열손실이 적다.
답) 4
해설) 환경파트(교재)
요철형 열손실이 크다.
12. 건축공간에서 음의 효과적인 확산은 반양을 방지하고 실내음압분포를 고르게 하며, 음악이나 음석에 적당한 여운을 주어 자연성을 증가시킨다. 효과적인 음의 확산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벽, 기둥, 창문, 보, 격자천장, 발코니, 조각, 장식재 등 불규칙한 표면을 형성하는 건축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② 흠음재와 반사재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③ 평행되거나 대칭으로 된 벽을 사용한다.
④ 측벽에 의한 자연반사음이 예상되는 경우 불규칙한 표면처리난 흠음재를 부착한다.
답)3
해설) 환경파트 교재
평행되게 하면 플러터 에코 현상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13. 거주후 평가(P.O.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물 사용자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해앙 건물의 성능개선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② 사용연한이 경과한 건물을 개조할 경우 유용한 설계지침이 된다.
③ 인터뷰, 측정, 설문조사, 현지답사, 관찰 등 다양한 기법을 이용한다.
④ 해당 건물의 건축설계과정에서 다양한 건축주체가 참여하는 의사결정의 한 단계이다.
답) 4
해설) 교재 총론파트
설계-건설 이후에 시행하는 사후평가이다.
14. 건물의 에너지절약에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닝을 상세하게 많이 할수록 설비비용이 감소하며 에너지도 절약된다.
② 가변풍량시스템(VAV System)은 실의 부하조건에 따라 풍량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에너지 절약적인 공조방식이다.
③ 외부 조건에 따라 온습도(엔탈피)가 낮은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로 송풍하면 냉동기의 운전을 하지 않고도 냉방을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④ 건물에서 쓰고 난 열을 그대로 버리지 않고 다시 건물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열회수장치를 사용한다.
답) 1
해설) 환경파트(공조)중 조닝의 특성
조닝을 상세하게 할수록 설비비용은 증가하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15. 수용인원 700명의 다목적 공연장 객석의 바닥면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200제곱미터
② 300제곱미터
③ 400제곱미터
④ 500제곱미터
답)3
해설) 교재, 극장, 공연장
약 0.5~0.6 제곱미터 x 700 = 350~420 제곱미터
16. 학교건축의 계획방법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분산병렬형 배치는 각 건물 사이에 놀이터, 정원이 생겨 생활환경이 좋아지는 반면, 상당히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한다.
② 최근 초등학교에서 시도되고 있는 오픈스쿨(Open School)의 개념은 학교를 지역사회에 개방하여 근린생활권의 문화 및 정보중심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③ 클러스터(Cluster)형 배치는 팀티칭(Team teaching system)에 유리한 배치형식으로, 중앙에 공용부분을 집약하고 외곽에 특별교실을 두어 동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④ 학교운영방식중 달톤형(Dalton Type)은 학생들이 학년과 학급 없이 각자의 능력에 맞게 교과를 선택하고, 일정한 교과가 끝나면 졸업하는 시스템이다.
답)2
해설) 교재 각론중 학교시설
설명은 평생교육, 복합화와 관련이 있지, 오픈스쿨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17. 건축공간의 치수와 비례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은?
① 피보나치수열은 자연현상의 관찰을 바탕으로 상관적인 비례를 산정한 결과로, 1, 2, 3, 5, 8, 13,...처럼 직전 두 수의 합이 다음 수가 되는 식으로 증가한다.
② 르 꼬르뷔지에의 모듈러는 건축부재의 규격을 기준으로 한다.
③ 건축공간의 치수는 물리적치수, 생리적 치수, 심리적 치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심리적 치수는 환기, 채광 여건이 주요 요인이 된다.
④ 황금비례는 고대 로마에서 사용한 가장 아름다운 비례로 대략 1: 1.618 또는 1:0.618의 비례관계를 이룬다.
답)1
해설) 교재 총론중
르꼬르 뷔지에는 인체치수를 기준으로 하며, 환기, 채광은 생리적 치수이며, 황금비례는 1:1.618을 말한다.
18. 근대 디자인의 발전과 변천에 영향을 미친 주요 사상과 운동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영국 수공예운동(Arts & Crafts Movenent)은 기계생산에 의한 예술품 제작을 비판하고, 수공예에 의한 예술활동의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② 독일공작연맹(Deutscher Werkbund) 운동은 수공예운동을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며, 공업발전에 의한 대량생산방법을 반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③ 시카고파(Chicago School)는 건물형태의 기능적인 구조를 표현하는 특징이 있다.
④ 바우하우스(Bauhaus)의 교육과정은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의 병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기계화, 표준화를 통한 대량생산 방식의 도입을 추구하였다.
답)2
해설) 교재 서양건축사중 근대건축
독일공작연맹은 공업화에 의한 생산방식을 수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19. 균형(Bala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각적인 균형은 모양, 명도, 질감, 색채의 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고, 모양의 균형은 대칭과 비대칭의 두가지 형태로 구별된다.
② 균형은 상대적 힘의 평형상태로 나타낸다.
③ 시각구성에서는 대칭의 기법을 통하여 균형의 상태를 만드는 것이 구성적으로 역동적인 경우가 많다.
④ 대칭에 의한 안정감은 원시, 고전, 중세에 중요시되어 왔으며, 정적인 안정감과 위엄성 등이 풍부하혀 기념건축이나 종교건축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답)3
해설) 교재 총론중
시각구성에서 균형은 안정감을 주는 요소이다.
20. 오스카 뉴만(O. Newman)의 방어적 공간(Defensible space)의 개념에 대한 기술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회적 측면에서 거주지역의 방어를 목적으로, 건주자들 간의 공동책임의식을 고양하기 위한 공간계획이다.
② 영역의 위계나 프라이버시의 확보가 아니라 감시가 가능한 다목적용 공간을 강조한다.
③ 거리의 눈(Neighborhood Watch)의 개념은 방어적 공간의 요소 중 하나이다.
④ 특정공간의 접근을 원활하게, 또는 어렵게 만들기 위한 공간계획이다.
답)2
해설) 교재 단지계획중 방어적 공간, 영역성 등
다목적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방어적 공간을 둠으로써 일종의 영역성 확보 등이 중요한 요점이다. Defensible space의 4가지 요소로서 영역성, 감시, 이미지, 안전지역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