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 오술학(五術學)
명(命), 복(卜), 상(相), 의(醫), 산(山)의 다섯 가지를 일컫는 말이며 이는 인류의 제 문제들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동양에서 고래로 전래해 오던 여러 유형의 술법들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命은 명리학을 말하는 것으로 사태의 진행이나 인간의 운명을 점치는 술법을 말합니다.
卜 또한 사태의 진행이나 인간의 운명을 점치는 술법이나 명리학이 필연적 因果관계에 입각한 반면 복은 우연적 요소의 개입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양자간에는 차이가 있다.
相은 사람이나 사물의 상을 통해 길흉을 판단하는 술법을 말한다.
醫는 침구나 방제를 가지고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술법
山은 육체와 정신의 수련을 통해 인간의 완성을 꾀하는 술법을 말한다. 동양의 각종 무술이나 선도 등이 이에 속한다.
1.명(命)이란
명은 명리학(命理學)의 준말로 명리란 운명의 이치를 알아본다는 뜻으로 추명(推命)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사주학을 명리학이라고 한다. 사주학과 자미두수(紫微斗數), 성평회해(星平會海)는 생년월일시를 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은 같은 원리지만 학문내용은 많이 다르다.
1)사주학(四柱學)
사주학은 명리학, 추명학, 팔자학, 또는 자평술(子平術)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중국 당나라때 이허중(李虛中)이 창시한 것을 송나라 서자평(徐子平)이 년주(年柱) 중심에서 일간(日干) 중심으로 발전시켰다. 사주학은 자평술 이라는 명칭으로도 사용되는데 이것은 사주학을 최초로 완전한 명리학 형식으로 완성시킨 중국 송나라 서거이(徐居易)란 사람의 자를 따서(子平)
후학들이 붙인 학술적인 명칭이다. 따라서 사주는 년월일시 네 기둥을 의미하고 한 기둥에 干과 支 두자씩 모두 8자 이므로 팔자학이라고도 한다. 어떻든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쓰이는 學으로 가장 적중률이 높고 이론의 체계가 확립되어 있는 명리학중의 명리학이며 오행으로 세밀하게 분석하다보니 적중률 또한 상당히 높다. 우리가 가장 열심히 공부해야 할 과목이다.
2)자미두수(紫微斗數)
자미두수란?
자미두수(紫微斗數)는 중국의 道家에서 비롯된 하나의 추명학인데 여순양(呂純陽)이 창시자로 소개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자미두수를 체계화 시키고 새롭게 집대성한 사람은 송대(宋代)의 진희이(陣希夷) 선생이다.
이후 명대(明代)의 나홍선(羅洪先)과 청대(淸代)의 청성도사(靑城道士)등의 인물로 인하여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자미두수의 학문의 뿌리는 오성술(五星術)이다.
사실 자미두수의 역사는 진희이(陣希夷)선생의 시대까지로 올라가도 1천여년이 넘었지만 다른 추명학이나 동양오술(東洋五術)등에 비하면 그다지 대중화되지 못한 면이 있었다.
그 이유중 몇가지는 첫째, 자미두수의 비인부전(非人不傳)의 학풍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마땅한 사람이 아니면 전수하기를 꺼려하고 주로 궁중에서만 유행했으며 또한 인연이 닿아야만 수제자를 삼았다고 한다.
둘째는, 자미두수의 명반(命盤)의 작성이 까다로운 것이 문제인데, 자미두수를 공부해보면 알겠지만 학문자체도 난해하지만 무수히 많은 별(星)을 12궁에 배속시켜 명반을 작성하기란 여간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요즘 대만이나 우리나라에서도 자미두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 주고 있다.
세 번째는, 자미두수 학문자체의 오도(誤導) 때문인데 이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한가지 예를 든다면 명반 작성시 대운(大運)의 시작궁이 선천의 명궁(命宮)에서 시작된다는 설과 선천의 형제궁(兄弟宮) 또는 선천의 부모궁(父母宮)에서 출발한다는 서로 다른 견해가 있다. 이것은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자미두수를 추론해보면 선천의 명궁에서 출발하는 것이 확실하다. 이미 대만이나 홍콩의 학자들은 이 설을 따르고 있고, 또한 추론을 하다 보면 정확하다는 것을 느낀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선천의 형제궁이나 부모궁에서 대운을 일으켜서 논명을 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것은 크게 잘못된 일이다. 벌써 10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추론이 될 수 없다.
네 번째는, 자미두수 학문자체의 난해한 해석 때문이다. 기실 동양오술학중 어느것 하나 만만한 학문이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 고지를 점령하기 까지는 무수히 많은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그중 자미두수는 각 성계의 특성을 먼저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12궁에 따라서 일어나는 성의 민감한 변화와 또한,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명리학(命理學)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수준도 필요하다. 그래서 음양오행학을 가지고 해석하기 보다는 휠씬 심오하고 간결한 면도 있다.
어떤 사람은 자미두수는 성계의 특성이나 궁의 변화가 없고 정해진 일정한 틀이 있기 때문에 학문이 객관화 되어있고 추론이 다른 학문보다 어렵지 않다고 말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기본적으로 알아야되는 상황일뿐 성계나 궁의 상황을 읽는다고 해서 추론을 섬세하게 하기는 어렵다.
자미두수는 14主星(14正星 이라고도함)과 문창(文昌) 문곡(文曲)등의 성계에 사화(四化)가 따라 다니는데, 이것이 붙으면 별의 본질적인 성향을 化하게 만들어서 어떠한 길흉을 예시하게 된다. 흔히 자미두수의 용신(用神)인 四化를 섬세하게 사용해보면 아주 징험(徵驗)한 추론까지 가능한데 이것은 자미실전방에 대략적으로 응용한 실례가 있으므로 참고 바란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자미두수는 명반작성의 어려움, 130여개나 되는별들의 이해와 언뜻 산만하고 어지러워 보이는 명반구조, 까다로운 추론법의 이해와 대한의 출발점의 잘못된인식 등의 이유로 인하여 공부하다가 중도에서 포기하는 일이 많은데 어느 정도의 인내심만 가지고 도전해보면 생각보다 많은 것을 얻게되는 학문이기도 하다.
자미두수의 미래
이미 언급했듯이 자미두수는 잘 전수되지 않고 몇몇 술객이나 야인들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온 학문이다. 하지만 현재 대만이나 홍콩 등에서는 오히려 명리 서적보다 더 많은 자미두수 저서가 출판되고 있으며, 연구를 활발하게 하는 학파도 상당히 많은 실정이다. 또한, 현업에 종사하는 술사들도 자미두수와 명리를 같이 참고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실정은 아직 생소하기도 하고 대중적이지 못한 부분도 있으나 곳곳에서 자미두수의 강의가 개설되고 있고, 또한 젊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상당히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정도로 자미두수가 신묘한 면이 있고 섬세하게 추론해 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인 것 같다.
우리나라 자미두수의 유래는 조선시대 대제학을 지낸 심곡(深谷) 김치 선생의 저서 『심곡비결(深谷秘訣)』이 쓰여진 이후라고 보는데 실제로 최근 20-30년 동안에 더욱 큰 발전을 이룬 학문이기도 하다. 이렇게 연구하다가 보면 얼마가지 않아서 자미두수가 추명학의 중심에 서게되리라 생각한다.
사람마다 별자리가 있듯, 국가에도 별자리가 있다. 우리나라도 옛날부터 별의 기운을 살피며 나라의 운세를 점쳤다. 별자리 관측은 국가사업이었다. 고려는 서운관, 조선은 관상감을 두어 천문과 일ㆍ월식을 예측, 다가오는 길흉에 대비했다. 조선 관상감의 기록지인 '서운관지'를 살펴보면 매일 천문기록을 왕과 왕세자에게 보고했으며 일식, 월식이 있는 날에는 왕이 친히 이를 지켜보았다. 만약 틀릴 시에는 이를 예측한 관상감 관리들을 문책했다. 그만큼 천기(天氣)를 숭상했다는 얘기다. 특히 '서운관지'에는 '자미원'에 대한 기록이 많다. 자미원에 유성이 지나가거나 부근에 붉은 기운이나 혼탁한 기운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긴급하게 이를 보고했다. 왜 그랬을까. 자미원은 큰곰자리를 중심으로 170개의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태미원(太微垣), 천시원(天市垣)과 더불어 삼원(三垣)이라 부른다. 자미원의 핵심은 자미성. 북두칠성의 동북쪽에 있는 열다섯 개의 별 가운데 하나인 자미성의 영향을 가장 강하
게 받고 있는 나라가 바로 조선이었기 때문이다. 자미원의 자미성은 중국 천자의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핵이다. 그 별의 기운을 독차지하는 민족이 백두민족, 즉 주신족(조선족)이다. 그리고 조선은 바로 백두민족이 세운 나라인 것이다. 이를 익히 알고 있던 우리나라 천문학자들은 자미원과 자미성의 움직임을 간과할 수 없었다. 비록 지정학적인 위치로는 자미원은 중국의 천자 자리지만, 그 별의 기운은 우리 민족의 원천이었다. 그 증거가 전국 사찰에
남아있는 칠성각이다. 조선 불교는 지방의 토템신앙까지 하나로 아우르며 발전했다. 때문에 국토 곳곳에 남아있던 북두칠성의 신령들을 모시는 사당까지 사찰 안에 들이게 된다. 왜 하필 그 많은 별 중에 북두칠성일까. 이는 우리 민족의 근원이 백두민족이며, 백두민족이 모시는 별이 북두칠성이었기 때문이다. 앞서 말했지만 자미성은 북두칠성 동북쪽에 위치한 가장 강력한 기운의 별이다. 우리 민족을 밝히는 별은 천자(天子) 자리를 움직이는 자미성이다. 자미성의 기운을 받은 국가는 아시아의 천자가 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위기의 순간에서도 꿋꿋이 오뚝이처럼 일어섰다. 아시아의 주인을 낳는 별인 자미성. 그러나 별빛은 고르지 않다. 자미성은 우리나라 곳곳을 비추고 있지만 그 기운 자체는 남쪽이 강하다. 한반도도 북쪽보다 남쪽의 기운이 강하다. 해가 뜨는 동쪽인 함경도와 경상도에서는 권력적인 사람이, 해가 지는 서쪽인 평양과 전라도에는 문화적인 사람이 나온다. 21세기 아시아의 주인은 문화다. 자미성의 천자 자리도 권력에서 문화로 변하고 있다. 문화가 꽃피는 시대, 자미성의 기운으로 태어난 백두민족의 힘으로 문화의 중심에 우리나라의 위상을 드높일 때다. 자미두수는 사주학과 더불어 오늘날 중국에서 정통 명리학으로 양대 산맥을 이루면서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엔 잘 알려지지 않은 술학이다. 그러나 자미두수는 사주학에 비해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접근하여 사주학 이상으로 인간의 운명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현대 사회에 활용하여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자미두수는 서양의 점성술과 같은 성상학(星相學)으로서 일종의 천문학이며 모두 118개나 되는 많은 별자리들이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태어난 음력 연월일시를 기본 자료로 하여 일정한 공식에 따라 12궁인 명궁(命宮), 재물궁, 형제궁, 전택궁, 자녀궁,노복궁,부부궁,질액궁, 천이궁,관록궁, 복덕궁,상모궁 등에 118개 성좌가 모
두 배열된다. 이렇게 배열된 성좌의 도판(圖板)을 명판(命板)이라고 하며 이 명판을 기준으로 하여 인간의 미묘한 운명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것인데 모든 성좌 가운데 자미성이 가장 우두머리이기 때문에 자미두수라고 한다. 이 자미두수는 중국의 여순양(呂純陽)이 창시하여 전해 내려온것을 宋나라때 진희이(陳希夷)가 이를 근거로 다시 깊이 연구해 완전한 형식으로 집대성하여 오늘날에 전해 내려온다.
그림으로 보는 자미원(紫微垣), 태미원(太微垣), 천시원(天市垣)
3)성평회해(星平會海)
성평회해는 오늘날 별로 효용가치가 없으므로 다만 오술학의 命에 한가닥 학문으로 존재한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이 역시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기본자료로 하여 실성(實星)과 허성(虛星)으로 구성된 많은 성좌의 간지를 이용하여 인간의 운명과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칠정사여(七政四餘) 또는 장과성종(張果星宗)이라는 명칭으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중국 元代의 야율초재(耶律楚材)가 창시한 것이다.
명궁 태원
己 己 乙 丙 戊 丙
亥 丑 未 戌 戌 子
2.복(卜) 이란
복에는 단역(斷易), 육임신과(六壬神課), 태을신수(太乙神數), 기문둔갑(奇門遁甲)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목적별로 보면 점복에는 단역과 육임신과, 측국(測局)에는 태을신수, 선길(選吉)에는 기문둔갑으로 각각 구별한다.
1)단역(斷易)
단역은 오행역 또는 귀곡역(鬼谷易)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역과 십이지지에 의해 길흉이 판단되는 간단한 방법이다.
2)육효(六爻)
64괘를 이용하여 길흉화복을 점치는 것인데 여기에는 納甲 및六親, 六獸를 붙인 후 점을 치는 것이다.
3)육임신과(六壬神課)
육임신과는 간단히 육임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점법으로 중국 촉(蜀)나라 제갈공명이 구록도인에게 전수 받아 완전한 형식으로 발전시켰다고 한다. 이것은 점보는 시간위에 月將을 可時한후 어떤 사물의 성패와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다.
4)태을신수(太乙神數)
태을신수로 중국 촉나라 제갈공명이 구록도인에게 전수 받아 완전한 형식으로 발전시켰다고 하며 이는 개인의 사건뿐 아니라 대중이나 단체 또는 국가와 세계 정국의 변동으로 발생되는 사건의 길흉을 예측하는 것이다.
5)기문둔갑(奇門遁甲)
기문둔갑은 동양오술 중에서 복(卜)분야에 속하며 복 가운데에서도 선길(選吉)에 해당되는 것으로 팔문둔갑학(八門遁甲), 둔갑학 또는 기문학(奇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본둔갑이란 지구의 자전과 공전 및 태양계 행성들의 움직임에 따라 인간이 살고 있는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자력(磁力)의 유동작
내용이 매년, 매월, 매일, 매시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에 비추어 인간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현대 과학으로 보면 지구의 바이오 리듬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9등분된 그림판에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系의 10개 천간을 天干과 地干으로 나
누어 적어넣고 여기에 8門과 9星, 8神과 9官 등 여섯 종류의 구성요소를 배열하여 그 배합과정을 보고 좋고 나쁜 방향을 판별하는 것이다. 기문둔갑에 사용되는 천간중 乙 丙 丁을 三奇라 하고 나머지 戊 己 庚 辛 壬 系를 六儀라 부르며 기문둔갑이란 용어는 9등분된 그림판에 10개의 천간을 배치할 때 배치되지 않은 한개의 천간 즉 甲이 육의 가운데 은둔해 버린다고 해서 둔갑이라 한다. 이미 기문둔갑 시간에 세세하게 분석해 드린바 있기 때문에 여기서 마칠까 한다.
3.상(相)이란
상(相)은 생긴 모습을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므로 인상(人,印相), 명상(名相), 집터나 무덤자리를 살피는 풍수지리 등으로 나뉘는데 일종의 공간학으로서 시간적으로 관찰하는 命과 대비된다.
1)인상(人相)
印相이라고도 하며 사람의 생긴 모습을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학문으로 흔히 관상이라고 하는 면상(面相), 손의 생김새와 손금으로 보는 수상(手相), 온 몸매로 보는 체상(體相), 뼈 즉 골격으로 보는 골상(骨相), 목소리로 판단하는 성상(聲相), 이로 보는 치상, 심지어 발의 생김새로 보는 족상 등이 있다.
2)명상(名相) (성명학)
사람의 이름이나 회사나 가게이름 즉 상호를 살펴서 길흉을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3)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는 감여학(堪輿學)이라는 전문용어로 많이 사용되는 것
으로 음택(陰宅)과 양택(陽宅)으로 구분되며, 음택은 일반적으로 묘지를 말하고, 양택은 집, 사무실, 점포, 공장 등을 일컫는데 음택과 양택풍수의 장점을 살려 근래에 개발된 생기 풍수가 새로운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다.
4.의(醫) 란
의(醫)는 방제(方劑)와 침구(針灸) 등을 통하여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으로 바로 한의학이다.
1)방제(方劑)
방제는 처방과 조제의 준말로 환자의 질병상태에 따라 치료약물을 처방하고 그 처방에 의하여 약물을 조제하는 것을 말한다.
2)침구(針灸)
침구는 맥락과 혈기순환의 원리를 이용하여 침과 뜸으로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
5.산(山)이란
산(山)은 육체와 정신수련을 통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나아가
도인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궁극 목적으로 하는 방술로서, 내용별로 보면 양생(養生), 현전(玄典), 수밀(修密)로 구별되어 있다. 산이란 명칭은 옛날에 이러한 것을 수련하기 위해서는 심산유곡이나 명산을 찾아갔기 때문이 붙여진 것이다.
1)양생(養生)
식이(食餌)와 축기(築基)로 나뉘는데 식이(食餌)는 일상생활 중에 취하는 음식과 보약 등 식이요법을 통하여 체력을 증진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며, 축기(築基)는 정좌법(靜坐法), 호흡법 등을 통하여 체력을 증진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2)현전(玄典)
현전은 도덕경, 남화경(南華經), 황제음부경(黃帝陰符), 태공음부경 등의 선도(仙道) 교본을 통하여 심신을 수련하고 인격을 양성하는 것이다
3)수밀(修密)
수밀의 방술은 권법(拳法)과 부주(符呪)로 나뉘는데, 권법은 육체수련을 통하여 체력을 증진하고 몸을 보호하는 것이며 부주는 부적과 주문을 통하여 질병, 재앙, 잡귀 등을 제거하고 쫓아내 예방하는 방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