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일. 한국의 탄생화와 부부 사랑 / 차나무
오늘 한국의 탄생화는 [차나무과 동백나무속]의 [차나무]입니다. 식물 분류에서 표시되듯이 동백나무와 무척 가까운 아이입니다. 통상은 `차나무과 차나무속`으로 분류하든가, `동백나무과 차나무속`으로 분류해야 맞는데 좀 독특하게 식물분류를 하였습니다. 잎과 꽃의 모양에서 동백나무를 많이 닮았습니다. 하지만 동백나무잎을 차잎으로 쓸 수는 없답니다. 동백나무와 마찬가지로 겨울에도 잎이 푸르른 상록활엽수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과 제주도에서 재배 또는 일부 야생으로 자라고 있습니다. 보성의 녹차밭은 아주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습니다. 동백나무처럼 키가 10m 가까이 자랄 수 있지만 차잎을 손쉽게 따기 위해 사람들이 계속 가지치기를 해주는 통에 1m 남짓만 자라게 한답니다.
꽃은 모양은 동백을 닮았지만 색은 거의 흰색에 가깝고, 보통 9월부터 개화하여 11월 이맘때까지 꽃이 핀답니다. 물론 개구진 아이들은 12월에 꽃이 피기도 하고 이른 봄인 3월에 꽃을 피우는 아이들도 가끔은 있답니다. 사람 세계도 그렇듯이 꽃의 세계에도 삐딱선을 타는 아이들이 꼭 있지요.
그렇게 겨울을 보내고 4월, 5월에 새순이 돋으면 그 순을 따다 이리저리 볶고 찌고 열을 가해 효소의 작용을 억제해서 말린 잎을 우려내어 마시는 것이 녹차입니다. 홍차는 잎을 적당히 발효시켜 만든 차이고, 우룽차는 녹차와 홍차의 중간 방식으로 만든답니다. 품종으로는 녹차를 주로 만드는 중국종과 홍차용의 인도아샘종, 그리고 이 둘의 혼합종이 있습니다. 영국사람들이 주로 차를 마시는 것은 식민지였던 인도에서 가져가 만든 홍차 종류입니다. 인도아샘종은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심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는 주로 녹차를 마시고 있답니다.
저와 같이 술을 즐겨 마시는 사람들은 통상 녹차를 그리 좋아하지는 않는데요, 녹차의 효능을 보면 지방감소, 혈당 조절, 암 세포 억제, 산화 방지, 피부 미용 효과 등이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술을 줄이고 차를 마셔야 하는 이유가 생기는 것 같지요. 벌써 이번 주말에 올해 첫번째 송년 모임이 예정되어 있는데요, 술은 줄이고 차는 많이 마시는 올해 송년회를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11월도 오늘이 지나면 열흘밖에 남지 않습니다. 겨울이 오기 전에 따뜻한 차와 따뜻한 사람을 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차꽃을 `모든 꽃이 지고난 후 숨죽여 피는 꽃`이라 노래한 김유철 시인의 [차꽃과 그대]를 오늘의 시로 함께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되세요.
차꽃과 그대
김 유철
모든 꽃이 지고 난 후
숨죽여 피는 꽃이 차꽃이라는데
늦가을 남쪽 언덕을
걸어가는 그대 뒷모습 여지없는 차꽃입니다
하늘 아닌 땅을 바라보며 피어나는 차꽃에
노란 꽃술이 달리고
그 꽃술에서 찔레꽃 향기를 맡을 양이면
내 둔한 후각에 까르르 웃던 그대 목소리가 퍼집니다
아침마다 피어나는 작은 행복을
차꽃 띄운 물 항아리에서 길어 올리며
오늘이 기다리던 그 날이라고
토닥토닥 내 어깨 두드리는 그대 손길은 영락없는 저녁 차밭입니다
비가 촉촉이 온 날
단풍 빛깔 선명해 지는 날
그대 미소가 먼 바다 색처럼 번지는 날
차향이 낮고 옅게 퍼지는 날 그대가 보고 싶은 날입니다
단풍잎 한두 장 수반위에 띄우면
차꽃은 툭툭 소리 내어 터지고
곱디고운 노을이 먼 산맥위로 몸을 눕히면
그대와 나 차꽃밭을 걸어갑니다
굽이굽이 돌아 만난 어여쁜 차꽃밭속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