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영어 발음 연습]
How to Pronounce: What is Voicing?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
조음 위치(Place of articulation)
조음 위치(調音位置)는 자음을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소리가 만들이지는 부분이다. 조음 위치의 명칭은 주로 조음을 돕는 조음기관 중 위턱에 있는 조음기관의 명칭으로 결정한다.
조음(articulation)
양순음(두입술소리) - 윗입술과 아랫입술
순치음(이입술소리) - 아랫입술과 윗니
설순음(혓날윗입술소리) - 설단과 윗입술. [ ̼]로 표시한다.
치음(잇소리) - 설첨이나 설단과 윗니
치경음(잇몸소리) - 설단과 잇몸
후치경음(뒷잇몸소리) - 설단과 후치경
권설음(혀말이소리) - 설첨이나 설단과 경구개
치경구개음(잇몸센입천장소리) - 설단과 치경과 경구개 사이
경구개음(센입천장소리) - 전설과 경구개
연구개음(여린입천장소리) - 후설과 연구개
구개수음(목젖소리) - 후설과 목젖
비음(콧소리) - 연구개를 내려서 비강에서 소리를 냄. 상기의 모든 조음 위치와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서 조음 위치이지만 조음 방법으로 분류한다.
다음은 이러한 비음화가 불가능한 조음 위치이다.
인두음(목구멍소리) - 설근과 인두
후두개음(울대머리마개소리) - 후두개와 인두
성문음(울대문소리) - 성대 사이의 성문
Place of articulation(조음 위치)
Sounds which are made by a full or partial constriction of the vocal tract are called consonants. Consonants are pronounced in the vocal tract, usually in the mouth, and the location of this constriction affects the resulting sound. Because of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he tongue and the resulting sound, the place of articulation is an important concept in many subdisciplines of phonetics.
Sounds are partly categorized by the location of a constriction as well as the part of the body doing the constricting. For example, in English the words fought and thought are a minimal pair differing only in the organ making the construction rather than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The "f" in fought is a labiodental articulation made with the bottom lip against the teeth. The "th" in thought is a linguodental articulation made with the tongue against the teeth. Constrictions made by the lips are called labials while those made with the tongue are called lingual.
Constrictions made with the tongue can be made in several parts of the vocal tract, broadly classified into coronal, dorsal and radical places of articulation. Coronal articulations are made with the front of the tongue, dorsal articulations are made with the back of the tongue, and radical articulations are made in the pharynx. These divisions are not sufficient for distinguishing and describing all speech sounds. For example, in English the sounds [s] and [ʃ] are both coronal, but they are produced in different places of the mouth. To account for this, more detailed places of articulation are needed based upon the area of the mouth in which the constriction occurs.
조음 기관
조음기관(調音器官)은 말소리를 만드는데 쓰이는 신체 기관을 의미한다. 발음기관(發音器官)이나 음성기관(音聲器官)이라고도 한다.
발성 기관의 종류
입술
윗입술 (상순)
아랫입술 (하순)
이
윗니 (상치)
아랫니
상부 기관
치경 (잇몸)
치조
치조제
후치경
입천장 (구개)
경구개 (센입천장)
연구개 (여린입천장)
구개수 (목젖)
하부 기관
혀
설첨
설단
전설
중설
후설
설근
후두개
인두
성문
Manner of articulation(조음 방법)
Knowing the place of articulation is not enough to fully describe a consonant, the way in which the stricture happens is equally important. Manners of articulation describe how exactly the active articulator modifies, narrows or closes off the vocal tract.
Stops (also referred to as plosives) are consonants where the airstream is completely obstructed. Pressure builds up in the mouth during the stricture, which is then released as a small burst of sound when the articulators move apart. The velum is raised so that air cannot flow through the nasal cavity. If the velum is lowered and allows for air to flow through the nose, the result in a nasal stop. However, phoneticians almost always refer to nasal stops as just "nasals". Affricates are a sequence of stops followed by a fricative in the same place.
Fricatives are consonants where the airstream is made turbulent by partially, but not completely, obstructing part of the vocal tract.[76] Sibilants are a special type of fricative where the turbulent airstream is directed towards the teeth,[78] creating a high-pitched hissing sound.
Nasals (sometimes referred to as nasal stops) are consonants in which there's a closure in the oral cavity and the velum is lowered, allowing air to flow through the nose.
In an approximant, the articulators come close together, but not to such an extent that allows a turbulent airstream.
Laterals are consonants in which the airstream is obstructed along the center of the vocal tract, allowing the airstream to flow freely on one or both sides.[79] Laterals have also been defined as consonants in which the tongue is contracted in such a way that the airstream is greater around the sides than over the center of the tongue. The first definition does not allow for air to flow over the tongue.
Trills are consonants in which the tongue or lips are set in motion by the airstream. The stricture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airstream causes a repeating pattern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ft articulator(s). Apical trills typically consist of two or three periods of vibration.
Taps and flaps are single, rapid, usually apical gestures where the tongue is thrown against the roof of the mouth, comparable to a very rapid stop. These terms are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but some phoneticians make a distinction. In a tap, the tongue contacts the roof in a single motion whereas in a flap the tongue moves tangentially to the roof of the mouth, striking it in passing.
During a glottalic airstream mechanism, the glottis is closed, trapping a body of air. This allows for the remaining air in the vocal tract to be moved separately. An upward movement of the closed glottis will move this air out, resulting in it an ejective consonant. Alternatively, the glottis can lower, sucking more air into the mouth, which results in an implosive consonant.
Clicks are stops in which tongue movement causes air to be sucked in the mouth, this is referred to as a velaric airstream. During the click, the air becomes rarefied between two articulatory closures, producing a loud 'click' sound when the anterior closure is released. The release of the anterior closure is referred to as the click influx. The release of the posterior closure, which can be velar or uvular, is the click efflux. Clicks are used in several African language families, such as the Khoisan and Bantu language
Vowels(모음)
Vowels are broadly categorized by the area of the mouth in which they are produced, but because they are produced without a constriction in the vocal tract their precise description relies on measuring acoustic correlates of tongue position. The location of the tongue during vowel production changes the frequencies at which the cavity resonates, and it is these resonances—known as formants—which are measured and used to characterize vowels.
Vowel height traditionally refer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tongue during articulation. The height parameter is divided into four primary levels: high (close), close-mid, open-mid, and low (open). Vowels whose height are in the middle are referred to as mid. Slightly opened close vowels and slightly closed open vowels are referred to as near-close and near-open respectively. The lowest vowels are not just articulated with a lowered tongue, but also by lowering the jaw.
While the IPA implies that there are seven levels of vowel height, it is unlikely that a given language can minimally contrast all seven levels. Chomsky and Halle suggest that there are only three levels, although four levels of vowel height seem to be needed to describe Danish and it's possible that some languages might even need five.
Vowel backness is dividing into three levels: front, central and back. Languages usually do not minimally contrast more than two levels of vowel backness. Some languages claimed to have a three-way backness distinction include Nimboran and Norwegian.
In most languages, the lips during vowel production can be classified as either rounded or unrounded (spread), although other types of lip positions, such as compression and protrusion, have been described. Lip position is correlated with height and backness: front and low vowels tend to be unrounded whereas back and high vowels are usually rounded. Paired vowels on the IPA chart have the spread vowel on the left and the rounded vowel on the right.
Together with the universal vowel features described above, some languages have additional features such as nasality, length and different types of phonation such as voiceless or creaky. Sometimes more specialized tongue gestures such as rhoticity, advanced tongue root, pharyngealization, stridency and frication are required to describe a certain vowel.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 분류
Consonant(자음)
In articulatory phonetics, a consonant is a speech sound that is articulated with complete or partial closure of the vocal tract. Examples are [p] and [b], pronounced with the lips; [t] and [d], pronounced with the front of the tongue; [k] and [g], pronounced with the back of the tongue; [h], pronounced in the throat; [f], [v], and [s], pronounced by forcing air through a narrow channel (fricatives); and [m] and [n], which have air flowing through the nose (nasals). Contrasting with consonants are vowels.
Since the number of speech sounds in the world's languages is much greater than the number of letters in any one alphabet, linguists have devised systems such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to assign a unique and unambiguous symbol to each attested consonant. The English alphabet has fewer consonant letters than the English language has consonant sounds, so digraphs like ⟨ch⟩, ⟨sh⟩, ⟨th⟩, and ⟨ng⟩ are used to extend the alphabet, though some letters and digraphs represent more than one consonant. For example, the sound spelled ⟨th⟩ in "this" is a different consonant from the ⟨th⟩ sound in "thin". (In the IPA, these are [ð] and [θ], respectively.)
영어 자음의 유성음과 무성음
국제 음성 기호(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영어: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한다.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 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다.[3]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다.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되기도 한다. 2005년에 확장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지금의 형태는 107개의 기본 문자와 52개의 구별기호, 4개의 초분절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 음성 기호는 주로 언어 발화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상(혀의 위치나 조음 방법, 단어나 음절 분절 등)만을 표현할 수 있게끔 되어 있지만[2], 국제 음성 기호 확장형을 통해서 의미와는 무관한 발화 현상(이갈기, 혀짧은 소리 등)도 기록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이러한 국제 음성 기호는 유니코드 문자 U+0250~02AD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변천 과정
1886년에 프랑스의 언어학자 폴 파시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프랑스어와 영어 교사들이 국제 음성 협회를 조직하면서 오늘날 국제 음성 기호라고 부르는 이 기호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단체가 설립되고 나서 2년 후 국제 음성 협회는 국제 음성 기호의 첫 공식판을 발간했는데, 이 첫 공식판은 헨리 스위트가 고안한 로믹 문자에 기반하여 만든 것이었다. 참고로 이 로믹 문자 또한 아주 독창적인 것은 아니며 아이작 피트만과 알렉산더 존 엘리스 등이 만든 포노타입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첫 공식판은 국제 음성 기호의 기본적인 자음과 모음 기호 체계를 잡았으며 이후로 자음과 모음 기호 체계는 대체적으로 이 첫 공식판과 같은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개별 문자 자체에는 몇 차례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1989년 킬 총회에서 몇 가지 수정이 있었고(1932년 이전판 참고), 1993년에도 중설 비원순 중저모음 [ɜ] 추가와 무성 내파음 기호 폐지와 같은 몇 가지 사소한 수정이 있었다[8]. 비교적 최근인 2005년 5월에는 순치 탄음과 같은 기호가 추가되었다.
이러한 개별 기호의 추가나 폐지와는 별개로 기호 명칭이나 분류 방법, 문자체 등의 변경도 있었다. 2016년에는 r-음화 기호인 ⟨ə˞⟩이 ⟨ɚ⟩로 바뀌었고, 상승하강조 기호가 ⟨˦˥˦⟩ (4-5-4)에서 ⟨˧˦˧⟩ (3-4-3)으로 바뀌었다. 2018년에는 상승하강조 기호가 ⟨˧˦˨⟩ (3-4-2)로 다시 고쳐졌다.
국제 음성 기호의 확장형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1991년에 처음 만들어져서 1997년에 수정, 보완되었다. 또한 1995년에는 발성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기술하기 위해 VoQS (음성 성질 기호, Voice Quality Symbols)가 제안되었다.
쓰임
국제 음성 기호는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호의 경우는 연구 분야 등에 따라서 표준 기호가 아닌 기호로 대체하여 쓰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는 미국계 언어학자들이 ʃ 대신 š를, j 대신 y를 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국제 음성 기호는 사전 편찬에 널리 쓰이고 있으나, 일부 국가/언어의 경우 IPA가 아닌 여러 가지 음성기호체계가 통일되지 않은 채 통용되는 경우도 있다.
유성음[voicing]
성대의 진동과 관련된 말 자극의 속성. 유성음 음소는 성대에 진동을 일으키는데, 이것은 울림소리라고도 하며 무성음과 대립된다. 대부분의 모음과 /b/, /d/, /v/, /z/, /g/ 등의 자음이 이에 속한다. 대부분의 모음이 유성음인 이유는 구강 내에서 방해를 받지 않고 통과하므로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유기음(有氣音, aspirated consonant)
유기음(有氣音, aspirated consonant)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공기를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다. 대기음(帶氣音)이라고도 하며, 한국어 음운론에서는 특히 거센소리라고 한다.
한국어에서 ㄱ, ㄷ, ㅂ, ㅈ에 대해 ㅋ, ㅌ, ㅍ, ㅊ이 거센 소리이다. 손을 입 앞에 대거나 종이를 입 앞에 대고 발음해 보면 이를 느낄 수 있다. 국제 음성 기호로 유기음은 ʰ로 표기한다. ㄱ, ㄷ, ㅂ를 /k/, /t/, /p/로 표기하므로 ㅋ, ㅌ, ㅍ은 /kʰ/, /tʰ/, /pʰ/로 표기한다.
한국어를 비롯해서 중국어, 힌두어, 아이슬란드어, 태국어, 고대 그리스어, 크메르어, 압하지야어, 아이마라어가 /t/와 /tʰ/를 다른 음소로 구분한다.[1] 알레만 독일어에서도 /p t k/와 /pʰ tʰ kʰ/가 구분되는데, 후자는 보통 자음군으로 분류된다.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앞이 유기음화한 닿소리 /ʰp ʰt ʰk/가 있다. 이를 확장 ipa로는 조음 전 기식이라고 하며(음성 기호 앞에 첨자 형태의 h가 붙는다), 영어로 Preaspiration이라고 한다.
유기음만 존재하는 언어로는 독일어 등이 있다. 독일어에는 유기음과 유성음만 존재한다.
영어는 기식의 여부의 차이인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자음의 음소를 구분하지 않으며, 성대의 진동 여부인 유성음과 무성음으로만 자음의 음소를 구분한다. 이와 반대로 한국어에서는 자음을 구분할 때 유성음과 무성음 여부는 따지지 않지만, 기식의 강도 차이로 자음의 차이를 구별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음 (음운론) 문서 참조.
더군다나 힌디어에서는 /b d ɡ/와 /bʱ dʱ ɡʱ/가 구분된다. 이를 유성유기음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Gandhi이다. 다른 말로 짜내기소리라고 한다. 물론 소리도 유기음과 다르게 난다.
유성음(有聲音, 문화어: 청소리, 청있는소리, voiced consonant)
유성음(有聲音, 문화어: 청소리, 청있는소리,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다.
고전 음성학 : 허파에서 나온 호기가 후두(울대)를 통과할 때 2개의 성대를 접근시키면 성대가 주기적으로 울려 소위 목소리(음성)가 난다. 모음은 보통 유성음이고 자음 가운데 [b], [v], [d], [z], [ɡ], [m], [n], [l], [r] 등은 유성음이다.
자음 체계에서 성대 울림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진 언어가 많다. 그러나 한국어나 중국어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차이로 뜻을 구별하는 언어가 아니다.
음향음성학 : 유성음으로 분류되는 자음군은 발성시작부터 성대진동시점 까지의 시간이 짧으며, 무성음은 이와 반대로 긴 차이가 있다.
무기음(無氣音, tenuis consonant)
무기음(無氣音, tenuis consonant)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다. 한국어로 된소리 ㅉ, ㄲ, ㄸ, ㅃ, ㅆ가 무기음이고 유기음과 대립할 때 언급한다. 한국어나 중국어, 태국어와 같은 언어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차이로 뜻을 구별한다.
무성음과 흡사하며, 이 때문에 일본어의 か, た 등의 무성음은 '카', '타'가 아닌, '가', '다'로 표기된다[1]. 또한,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하는 언어의 화자는 한국어의 '가'와 '다'를 'Ka', 'Ta'로 듣는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도 '가'와 '다'는 'Ka', 'Ta'로 표기한다. 단, 현대의 한글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가'와 '다'는 'Ga', 'Da'로 표기한다.
긴장도(tenseness)
언어학에서 긴장도(tenseness)란 많은 언어에서 음운의 대비를 이루는 성질의 하나이다. 긴장도가 높은 쪽을 긴장음(tense sound), 낮은 쪽으로 이완음(lax sound)이라 한다. 한국어에서는 경음(fortis)인 /ㄸ/가 연음(lenis) /ㄷ/에 대응되는 긴장음이며, 영어의 경우 장모음 [i]가 단모음 [ɪ]에 대비되는 긴장음이다. 닿소리의 경우 혀 등의 근육의 긴장을 수반하는 발음을 긴장음이라 하나 홀소리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경음(硬音, fortis)과 연음(軟音, lenis)
경음(硬音, fortis)과 연음(軟音, lenis)은 음운의 구분되는 자질의 하나이다. 언어학에서 경음은 fortis라고 하며 이 단어는 라틴어로 strong이란 뜻이며 더 긴장된 소리(tense, 긴장음)라는 의미이다. 언어학에서 연음이란 lenis이며 이 단어는 라틴어로 weak이라는 뜻이며 더 이완된 소리(lax, 이완음)라는 의미이다.
경음과 연음의 일반적인 경향성은 경음은 "대부분 무성음, 길게 발음함, 강하게 발음함, 유기음, 성문음화(glottalized)한 경우가 많다"인 반면, 연음은 "대부분 유성음, 짧게 발음함, 약하게 발음함, 무기음, 성문음화되지 않음"이다.
영어에서 '/p/와 /b/', '/t/와 /d/', '/k/와 /ɡ/' 등이 경음(fortis)과 연음(lenis) 짝이다. 즉, 비슷한 두 개의 소리 중 긴장도(tenseness)가 더 높은 소리가 fortis, 긴장도가 더 낮은 소리가 lenis이다.
한국어 등의 언어에서는 파열음과 마찰음의 긴장도에 관한 것으로, 긴장도가 높은 쪽이 경음, 낮은 쪽이 연음이다.
한국어에서 경음이란, 성문의 긴장을 동반한 소리다. 경음에서는 기식이 존재하지 않으며 예사소리(평음)보다 성문의 긴장도가 더 강하다.
경음으로 분류되는 한국어 음소로는 ㄲ, ㄸ, ㅃ, ㅆ, ㅉ가 있으며 국제음성기호로는 [ k˭ ], [ t˭ ], [ p˭ ], [ s˭ ], [ t͡ɕ˭(남) 또는 t͡s˭(북) ]으로 나타낸다.
된소리
된소리란 한국어 자음의 분류 중 하나이다. ㄲ, ㄸ, ㅃ, ㅆ, ㅉ를 말한다. 예사소리 ㄱ, ㄷ, ㅂ, ㅈ, ㅅ와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와 함께 3개씩 짝을 이룬다. 단, ㅆ은 거센소리에 해당하는 소리가 없다.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을 된소리되기라고 한다.
성문음(聲門音, glottal consonant)
성문음(聲門音, glottal consonant) 또는 울대문소리는 성문에서 조음하는 자음이다. 목청소리라고도 한다. 국제 음성 기호에 있는 성문음은 아래와 같다.
국제 음성 기호(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