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양쯔강에 ‘생수’ 콸콸…논란된 장면, 이런 이유 있었다.
[포착]
하승연2025. 4. 16. 17:16
최근 중국 양쯔강에 대량의 생수를 쏟아붓는 중국인 무리가 포착된 가운데, 이러한 행동의 이유가 ‘미신’ 때문으로 알려져 현지에서 “물 낭비”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지무뉴스 등에 따르면 양쯔강의 한 다리 위에 모인 사람들이 대량의 생수를 강에 쏟아붓는 모습의 영상을 전하였다.
해당 영상을 보면 다리 난간 앞에는 생수 수십묶음이 쌓여 있고, 사람들이 생수를 하나씩 개봉하여 내용물을 강에 쏟아부었다. 빈 생수병은 다리 이곳저곳에 굴러다니고 있었다.
세계에서 가장 더러운 강이라고 불리는 중국 양쯔강에 대량의 생수를 쏟아붓는 중국인 무리가 포착된 가운데, 이러한 행동의 이유가 ‘미신’ 때문으로 알려져 현지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웨이보
매체는 “과거부터 양쯔강에 물고기를 방생하면 복이 찾아온다는 미신이 있었다”며 “최근 양쯔강에서 어업 활동이 금지되면서 사람들이 물고기 방생 대신 생수를 쏟아붓는 행동을 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양쯔강 어업 활동 금지로 강에 물고기를 풀어주는 행위를 할 수 없게 되자 사람들이 물고기 대신 생수를 강에 흘려보내는 의식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양쯔강 관할 사무소 측은 “강에 물을 붓는 행위를 발견 즉시 제재하고 있다”며 “생수를 낭비하는 이런 행동은 권장하지 않으며, 이후에도 비슷한 사건이 계속 발생하는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영상은 접한 중국 누리꾼은 “이건 심각한 물 낭비다”, “양쯔강에 어떤 것이든 부어서는 안 된다”, “차라리 물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줘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중국 양쯔강. 위키피디아
양쯔강은 중국 서부 칭하이성에서 남동쪽 상하이까지 11개 성급 행정구역에 걸쳐 있다. 세계에서 세번째, 아시아에선 가장 긴 강이다. 강 유역 면적만 180만㎢로 중국 인구와 GDP의 30% 이상이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지난 2020년 보도에 따르면 양쯔강은 중국 담수 자원의 3분의1, 수력에너지원의 5분의3을 제공하지만 몇 년간 오염 문제가 심각해졌다.
중국 폐수 배출량의 40%가 양쯔강으로 흘러들어 암모니아질산염, 이산화황, 산화질소와 같은 화학 물질이 전국 평균의 2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쯔강에 배출되는 오폐수량이 2007년 이미 300억t을 넘었다는 보도도 나왔다.
중국 정부는 환경 오염으로 어획량이 줄자 어족 자원 보존을 위하여 지난 2020년 향후 10년간 어업 금지령을 내리기도 하였다. 중국 농림부에 따르면 이 조치로 양쯔강 유역에 사는 23만여명의 어부가 생업을 포기하였다.
중국에서 ‘양쯔강의 여신’ 등의 별명이 붙은 바이지툰(白鱀豚)으로 불리는 양쯔강 돌고래는 환경오염과 운항, 댐, 어업 등 요인으로 2002년 이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사실상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승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