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맑고 깨끗한 10월10일 멋진 토요일 경기도 북단의 대표적 관광지인 DMZ Tour
무엇보다도 DMZ(비무장지대)라는 곳을 무척이나 가보고 싶었기에 거제도 여행을 취소하고 tour에 참가하게 되었다.
8시45분 강남역에 집합하니 Press blog 측에서 미리 준비한 노트와 김밥 그리고 DMZ 생수는 처음 보는 생수로 참가하는 블로거들에게도 진짜 DMZ를 간나단게 실감나게 하였다.
출발시각을 조금 넘긴 09시10분이 되서야 DMZ를 향해 출발하여 09:20분 올림픽대로의 시원하고 한강의 멋진 감상을 하며 차는 시원스래 달리고 있었다.
이윽고 Press blog의 홍유정님의 고운목소리의 안내 맨트가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온다.
조금더 길게 설명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버스는 다시 행주대교를 넘어 북으로 북으로 향해 달리고 있으며 좌측은 습지와 강이 우측엔 노랗게 익은 벼들이 정말 가을을 알려주는 신호탄인것 같다.
DMZ는 처음 가보는 곳이라 많이 설래이고 기대가 된다.. 기대가 크면 실망한다고 누가 그랬던 것 같다.
멀리 오두산 통일 전망대가 시야에 들어온다. 이곳은 여러번 일본 손님들을 태우고 투어를 했던 곳이다.
그러나 이곳에서 보는 북녘땅은 그리 낮설지가 않은 듯 하다.
다시 차는 오두산 전망대를 지나 마침내 자유의 다리에 도착한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사진을 찍을 수 없다는 이야기에 너무 아쉬운 시간이였다.
DMZ를 안내해 주실 해설사 분들이 차량에 탑승하여 DMZ에 관해 세세하게 설명을 한다.
그러는 와중 우리 일행을 태운 버스는 1차 목적지인 도라산 역에 도착한다.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에 있는 민통선 안에 있는 경의선 최 북단역이다.
2002년 2월20일 당시 미국대통령이였던 부시대통령이 방문 연설과 침목에 서명하는 행사를 가짐으로써 한반도의 통일을 염원하는 대표적인 명소가 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철도역 중 하나로 해발 156m의 도라산의 이름을 따 도라산역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2000년 9월에 시작된 경의선 복원사업에 의해 2002월4월에 완공되어 일반인에게 관광코스로 개방되었다.
2001년 10월 임진각역 개통에 이어 2002년12월에는 철도 운행이 중단된 지 52년 만에 임진강을 통과하는 특별망배 열차가 운행되었다.
도라산역은 서울기점 55.8km 평양기점 205km에 위치하였다.
주말인데도 이곳 도라산역은 한산했다.
오전 11시쯤 되었는데 아직 관광객들이 많이 들어오지 않아 사진찍기에는 참 좋은 시간이였다.
고 김대중 대통령과 이희호여사의 친필로 쓴 침목
고김대중대통령과 부시대통령이 친필싸인 침목
도라산역 서울쪽 방향의 철길
아쉽게도 북으로의 철길은 사진을 찍을 수 없단다.
도라산역 실내의 모습을 담아봤다.
도라산역은 크고 깨끗했으며 다만 아쉬웠던 점은 관광객들이 넘쳐나고 북으로의 기차가 맘껏 달릴 수 있는 그 날을 기대해 볻다.
도라산역에 위치한 평화의 동산
도라산역 가는 방법신분증은 꼭 지참해야한다.
서울역에서 매시간50분마다 임진강역을 거처 도라산역까지 간다.

(가는길) 서울역에서 통근형통일호 매시간 50분(서울-임진강), 연계관광 이용시(08시50분, 10:50분)
연계관광 방법은 1)열차관광과, 2)육로 셔틀버스관광이 있다.
※ 단체관광객님들 께서는 단체명부(list)를 준비해야하고
1) 열차관광 반드시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학생은 학생증, 초등생은 부모동반)을 소지해야한다.
매주 월요일및 주중법정공휴일(추석/구정 기간제외)은 도라산역 및 연계관광이 휴무이며
※ 임진강역에서 11:05분열차(서울역 08:50이나 09:25) 11:40분열차(서울역 09:50), 12:40분열차(서울역 10:50), 총3회 운행
※※11:40분열차는 연계관광 없이 도라산역 관광만 가능
※출발 30분전에 임진강역에 가서 출입수속을 받아야 하며,문의는 파주시 031-940-8483,8369,8346
운임은 새마을호 서울역~도라산 2,000원,임진강~도라산 왕복 2,000원입니다.
도라산의 유래
고려 태조는 왕건의 딸 낙랑공주(樂浪公主)를 아내로 맞이하게 하고 유화관(柳花官)을 하사하였으며 정승을 봉하는 한편 경주를 식음으로 하여 사심관(事審官)을 파견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낙랑공주는 비운을 맞게 된 경순왕의 우울한 마음을 달래고저 도라산 중턱에 암자를 짓고 머물게 하였는데 영원히 이곳을 지키겠다는 뜻에서 영수암(永守菴)이라고 이름지었으며 경순왕이 조석으로 이 산마루에 올라 신라의 도읍을 사모하고 눈물을 흘리었다 하여 도라산(都羅山)이라고 호칭하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곳에서 고려경종 3년(935)에 경순왕이 돌아가시니 고랑포 뒷산 아늑한 골짜기 남향 자좌오향(子坐午向)에 안장 되었으며 낙랑공주는 영수암이 훼손함에 따라 아담하게 새로 절을 건립하여 경순왕의 화상을 모시고 명복을 기원하는 한편 영원히 번창하라는 뜻에서 창화사(昌化寺)라 호칭하였다고 하며 조선조 말까지 임갑진 스님이 수호 관리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한 조선조 개창 이후 도라산 마루에 봉수대를 설치 군인들을 주둔시키고 국난시에는 봉화 신호로 송도와 파주 봉수대를 거쳐 한양으로 소식을 전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도라산 관람을 마치고 이제 도라산 전망대로 향한다.
이곳 도라산 정망대는 서부전선 최 북단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한의 실 생활을 볼 수 있는 남측의 최 북단이며 개성공단이 바로 앞에 있는 경기도 파주시 장담면 도라산리에 있는 전망대이다.
송악산 관측소가 폐쇄되고 국방부가 설치한 통일 안보 관광지이며 일행들은 군인의들의 통제하에 성명을 들을 수 있었다.
이곳엔 북한과 개성공단을 바라볼 수 있는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성의 송악산과 김일성동상 기정동마을 개성시 변두리와 (장단역)기차화통, 금암골(협동농장)등을 볼 수 있다.
2년전 금강산을 다녀온적이 있다.
그곳을 방문했을때 궁금한게 있었는데 이곳 도라산 전망대에서도 궁금한게 있었다.
이내 그 궁금증은 설명하는 군인에 의해서 궁금증이 풀렸다.
북한의 산들을 보면 나무는 없고 흙만 보이는 민둥산이 즐비했다.
특히 고성에서 금강산 가는 길목은 더 심했었다.
원인은 북한의 국민들이 굶주림에 벌목 땔감을 위해서 나무들이 잘려나갔다고 한다.
그러니 큰 장마가 오면 많은 피해를 입는것 같다.
이곳의 관람을 마치고 바로 제3땅굴로 향했다.
도라산 전망대를 찾은 외국인들
제3땅꿀에 있는 DMZ 상영관
안보상영영화
1968년 김신조간첩침투 사건
1968년 1월 21일 청와대를 습격하려던 북조선 민족 보위성 정찰국 소속 124군 부대 무장 게릴라 31명 중에 유일하게 생존했고, 후에 대한민국에 귀순하였다. 귀순 후 대한민국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개신교 목사가 되었다.
1976년8월18일 도끼만행사건
8월 18일 오전 10시경 미군 장교 2명과 사병 4명, 한국군 장교 1명과 사병 4명 등 11명이 ‘돌아오지 않는 다리’ 남쪽 국제연합군측 제3초소 부근에서 시야를 가리는 미루나무의 가지를 치는 한국인 노무자 5명의 작업을 지휘 ·경호하고 있었다.
이때 북한군 장교 2명과 수십 명의 사병이 나타나 작업중지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한국측 경비병이 이를 무시하고 작업을 계속하자 갑자기 수십 명의 북한군 사병들이 트럭을 타고 달려와서 도끼와 몽둥이 등을 휘두르며 폭행, 미군 장교 2명을 도끼로 살해하고 나머지 9명에게는 중 ·경상을 입힌 뒤 사라졌다.
당시 북한군이 사용하던 무기
땅굴을 파는 모습들
철통캍이 지키는 군인을 모형으로 만들어 놓았다.
제3땅꿀은 사진으로 남길 수 는 없었다.
제3땅꿀은
한국엔 4개의 당꿀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표 참조]
구분 |
1땅굴 |
2땅굴 |
3땅굴 |
4땅굴 |
발견일시 |
74. 11. 15 |
75. 3. 19 |
78. 10. 17 |
90. 3. 3 |
위치 |
고랑포 동북방 8km |
철원 북방 13km |
판문점 남방 4km |
양구 북방 26km |
크기 |
높이 1.2m 폭 90cm |
높이 2m 폭 2m |
높이 2m 폭 2m |
높이 1.7m 폭 1.7m |
깊이 |
지하 45m |
지하 50∼160m |
지하 73m |
지하 145m |
총길이 |
3,500m |
3,500m |
1,635m |
2,052m |
침투길이 |
1,000m |
1,100m |
435m |
1,052m |
기습방향 |
고랑포- 의정부-서울 (65km) |
철원- 포천-서울 (101km) |
문산-서울 (44km) |
서화-원통- 영동고속도로 기습침투 |
|
|
|
|
|
이로써 도라산역과 도라산 전망대 그리고 제3땅꿀까지의 tour를 마치고 허기진 배를 달래기 위해 통일마을로 향했다.....2부 계속
첫댓글 아 나두 서울 이북으로 한번 가야 하는대...... 아직 위로는 여행을 안가봐서리................
도라산 전망대가번지 10년 됐는데
도라산역이 새롭게 탕생이 됐나보군요
좋은 정보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