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산형화목 > 층층나무과 > 층층나무속 |
학명 | •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이명 | • 촉조(蜀棗), 계족(鷄足), 산채황(山菜黃), 실조아수(實棗兒樹), 촉산조, 홍조피 |
생약명 | • 산수유(山茱萸) |
약성 | • 약간 따뜻하며, 시고 떫다. 독은 없다. |
내용 | • 층층나무과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중부 이남 산기슭, 인가 부근에 서식한다. 원산지는 중국이다. 줄기는 높이 5-12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가 오래 되면 껍질 조각이 떨어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4-10cm, 폭 2-6cm,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 털이 난다.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며, 털이 난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20-30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지름 4-5mm, 노란색이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이 1cm쯤, 털이 난다. 열매는 핵과이며, 긴 타원형, 길이 1.0-1.5cm, 붉게 익는다. 공업용·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
효능 | • 주로 비뇨기·신경계 질환을 다스리며 간기능회복, 간허, 감기, 강장보호, 강정제, 건위, 기관지염(기관지천식), 내이염, 냉한, 늑막염, 두통, 두풍, 보간·청간, 보신·보익, 보혈, 붕루, 비색증, 비염, 빈뇨증, 소변간삽, 소변불통, 수렴제, 신경쇠약, 심계항진, 양기부족, 요슬산통, 요실금, 원기부족, 월경불순, 유정증, 음위, 이뇨, 이롱· 난청, 이명, 자양강장, 조루, 졸도, 진통, 취한, 탈모증, 한열왕래, 해수, 행혈, 현훈증 등의 치료에 쓰인다. • 또한 이뇨작용과 콜레스테롤 감소, 피부미용, 피로 해소 등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산수유 열매는 사포닌과 타닌 등의 글리코시드(Glycoside, 배당체)와 유기산, 비타민 A 등을 함유하고 있다. 사포닌은 양배추, 당근, 도라지, 은행, 인삼 등 다양한 식물에 함유된 배당체다. 이뇨작용 등의 기능이 있어 오래전부터 약으로 사용됐다. 또한, 종양세포에 다양한 효과를 보여 항암제나 면역보조제와 관련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타닌은 식물의 뿌리나 껍질 등에 들어있는 폴리페놀의 하나다. 떫은맛을 내는 성분으로 지혈 기능이 있어 피부 발진이나 염증 등을 치료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폴리페놀은 항산화 물질의 하나로 건강유지와 노화 방지, 질병 예방 등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
이용법 | • 정원수로도 사용되며, 유실수로도 많이 심는다. 채과는 노목이 될수록 수확량이 많아진다. 이른 봄 꽃꽂이 소재로써의 절화 수요량도 대단하며 촉성 개화시켜 1월부터 출하시키고 있다. • 果肉(과육)을 山茱萸(산수유)라 하며 약용한다. ①10-11월 과실이 빨갛게 성숙하였을 때 따서 과병을 제거하고 약한 불로 그을려서 냉각시킨 다음 종자를 발라내고 햇볕이나 불에 말려 건조한 暗所(암소)에 저장하고 충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②성분 : 과육에는 cornin, 즉 verbenalin saponin, tannin, ussor 산(酸), 沒食子酸(몰식자산), 사과산, 주석산 및 비타민 A가 함유되어 있고 종자의 지방유는 palmitin 산(酸), olein 산(酸)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補肝(보간), 補腎(보신), 精氣收斂(정기수렴), 虛脫(허탈)을 固澁(고삽)하는 효능이 있다. 腰膝鈍痛(요슬둔통), 眩暈(현운), 耳鳴(이명), (양위), 遺精(유정), 頻尿(빈뇨), 肝虛寒熱(간허한열), 虛汗不止(허한부지), 心搖散脈(심요산맥), 久瀉(구사)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식용 | • 열매나 꽃을 차로 달여 마시거나 술로 담근다. |
번식 | • 산수유나무의 번식은 주로 종자로서 하고 있는데 삽목과 접목도 할수 있으나 발근과 활착률이 아주 낮다. |
문헌 | • 《동의보감》에 산수유는 “음(陰)을 왕성하게 하며 신정과 신기를 보하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경을 단단하고 크게 한다. 또한 정수(精髓)를 보해 주고 허리와 무릎을 덥혀 주어 신을 돕는다. 오줌이 잦은 것, 늙은이가 때 없이 오줌 누는 것, 두풍과 코가 메는 것, 귀먹는 것을 낫게 한다”라고 했다. 이처럼 산수유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전형적인 정력 강장제다. |
유래 | • 산수유 열매는 오래전부터 ‘신선이 먹는 열매’라 불리며 한방에서 약으로 쓰였다. |
특징 | • 석조(石棗)라고도 하며 줄여서 산수유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은 비늘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벗겨지는데 연한 갈색이며 가지가 많다. 열매를 산수유라 하는데 한방에서는 과육을 산수유라 하여 약재로 쓴다. 하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산수유가 유명하다. |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익생양술대전,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다음백과, 우리나무의 세계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