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地戶 |
軫 |
翼 |
張 |
星 |
柳 |
鬼 |
井 |
鬼路 |
角 |
손방 |
사방 |
오방 |
미방 |
곤방 |
參 | ||
亢 |
진방 |
東方 青龍 七宿 : 角 亢 氏 房 心 尾 箕 北方 玄武 七宿 : 斗 牛 女 虛 危 室 壁 西方 白虎 七宿 : 奎 婁 胃 昴 畢 觜 參 南方 朱雀 七宿 : 井 鬼 柳 星 張 翼 軫 |
신방 |
觜 | ||||
氐 |
묘방 |
유방 |
畢 | |||||
房 |
昴 | |||||||
心 |
胃 | |||||||
尾 |
인방 |
술방 |
婁 | |||||
箕 |
간방 |
축방 |
자방 |
해방 |
건방 |
奎 | ||
人門 |
斗 |
牛 |
女 |
虛 |
危 |
室 |
壁 |
天門 |
위 이십팔수 분야도는 청룡 각수를 첫머리로 삼아 동방에 배치하고, 현무 두수를 앞세워 북방에 배치하며, 백호 규수를 앞세워 서방에 배치하고, 주작 정수를 앞세워 남방에 배치한 것이다. 인월이 시작되는 입춘일 술시에 두병소지의 각수가 인방에 있기 때문에 해시에는 묘방에 있으며 자시가 되면 각수가 위 분야도와 같이 진방에 있게 된다. 곧 위 기본 분야도는 입춘일 자시를 기준한 것이다. 위 분야도는 자오묘유 사정방에 3수를 배치하고 인신사해 사맹방과 진술축미 사고방에 2수씩 도수를 무시하고 배치했다. 이를 이십팔수의 기본 분야도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건방과 손방 간방 곤방은 사유방四維方으로 동서남북 사정방四正方과 함께 팔방을 표기할 때나 또는 이십사방을 표기할 때 사용하므로 위 황도십이궁의 십이방과는 관련이 없다. 다만 규수와 벽수의 사이 건방의 천문天門과 각수와 진수의 사이 손방의 지호地戶, 기수와 두수의 사이 간방의 인문人門, 삼수와 정수의 사이 곤방의 귀로鬼路를 표기하다 보니 함께 쓴 것이다. 술방가術方家에 따라 곤방을 인문으로 삼고 간방을 귀로로 삼기도 한다. 귀로鬼路를 귀문鬼門이라 일컫기도 한다.
기문둔갑에서는 건방의 천문을 개문開門으로 삼고, 손방의 지호를 두문杜門으로 삼으며, 간방의 인문을 생문生門으로 삼고, 곤방의 귀문을 사문死門으로 삼기도 한다. 이 사문四門을 분야分野가 아닌 문호門戶의 개념으로 아래 천상열차분야도에서 확인하면, 천문 곧 개문에 해당하는 춘분점은 술궁 강루의 규수5도에 있고, 귀문 곧 사문에 해당하는 하지점은 미궁 순수의 정수16도에 있으며, 지호 곧 두문에 해당하는 추분점은 진궁 수성의 진수12도에 있고, 인문 곧 생문에 해당하는 동지점은 축궁 성기의 두수12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5. 천상열차분야지도天上列次分野之圖 이십팔수 십이궁분야도十二宮分野圖
사궁 순미 장17-18, 익18, 진11, 31도 |
오궁 순화 유9-15, 성7, 장16, 30도 |
미궁 순수 정16-33, 귀4, 유8, 30도 |
신궁 실침 필12-16, 자2, 삼9, 정15, 31도 |
진궁 수성 진12-17, 각12, 항9, 저4, 31도 |
東方 青龍七宿 : 角 亢 氏 房 心 尾 箕 北方 玄武七宿 : 斗 牛 女 虛 危 室 壁 西方 白虎七宿 : 奎 婁 胃 昴 畢 觜 參 南方 朱雀七宿 : 井 鬼 柳 星 張 翼 軫 |
유궁 대량 胃7-14, 묘11, 필11, 30도 | |
묘궁 대화 저5-15, 방5, 심5, 미9, 30도 |
술궁 강루 규5-16, 루12, 胃6, 30도 | ||
인궁 석목 미10-18, 기11, 두11, 31도 |
축궁 성기 두12-26.1/4, 우8, 여7, 30.1/4도 |
자궁 현효 여8-12, 허10, 危15, 30도 |
해궁 취자 危16-17, 실16, 벽9, 규4, 31도 |
위 천상열차분야지도天上列次分野之圖 이십팔수 십이궁분야도十二宮分野圖에 의거하여 천문을 살펴보면 각 월의 중기 입절시각을 알 수 있다. 곧 태양이 자궁 현효의 여수8도에 들어서면 자와 축의 지합으로 축월의 중기 대한이 시작되고, 태양이 해궁 취자의 위수危宿16도에 들어서면 해와 인의 지합에 따라 인월의 중기 우수가 시작되며, 태양이 술궁 강루의 규수5도에 들어서면 술과 묘의 지합으로 묘월의 중기 춘분이 시작되고, 태양이 유궁 대량의 위수胃宿7도에 들어서면 유와 진의 지합에 따라 진월의 중기 곡우가 시작되며, 태양이 신궁 실침의 필수12도에 들어서면 신과 사의 지합으로 사월의 중기 소만이 시작되고, 태양이 미궁 순수의 정수16도에 들어서면 미와 오의 지합에 따라 오월의 중기 하지가 시작되며, 태양이 오궁 순화의 유수9도에 들어서면 오와 미의 지합으로 미월의 중기 대서가 시작되고, 태양이 사궁 순미의 장수17도에 들어서면 사와 신의 지합에 따라 신월의 중기 처서가 시작되며, 태양이 진궁 수성의 진수12도에 들어서면 진과 유의 지합으로 유월의 중기 추분이 시작되고, 태양이 묘궁 대화의 저수5도에 들어서면 묘와 술의 지합에 따라 술월의 중기 상강이 시작되며, 태양이 인궁 석목의 미수10도에 들어서면 인과 해의 지합으로 해월의 중기 소설이 시작되고, 태양이 축궁 성기의 두수12도에 들어서면 축과 자의 지합에 따라 자월의 중기 동지가 시작되며, 다시 태양이 자궁 현효의 여수8도에 들어서면 자와 축의 지합으로 축월의 중기 대한이 시작되는 것이다.
6. 과로성종果老星宗 이십팔수 십이궁분야도十二宮分野圖
사궁 순미 장15-18, 익18, 진9, 31도 |
오궁 순화 유3-15, 성7, 장14, 34도 |
미궁 순수 정8-33, 귀4, 유2, 32도 |
신궁 실침 필6-16, 자2, 삼9, 정7, 29도 |
진궁 수성 진10-17, 각12, 항9, 저초, 30도 |
東方 青龍七宿 : 角 亢 氏 房 心 尾 箕 北方 玄武七宿 : 斗 牛 女 虛 危 室 壁 西方 白虎七宿 : 奎 婁 胃 昴 畢 觜 參 南方 朱雀七宿 : 井 鬼 柳 星 張 翼 軫 |
유궁 대량 胃3-14, 묘11, 필5, 28도 | |
묘궁 대화 저1-15, 방5, 심5, 미2, 27도 |
술궁 강루 규16, 루12, 胃2, 30도 | ||
인궁 석목 미3-18, 기11, 두3, 30도 |
축궁 성기 두4-26.1/4, 우8, 여1, 32.1/4도 |
자궁 현효 여2-12, 허10, 危11, 32도 |
해궁 취자 危12-17, 실16, 벽9, 31도 |
위 도표는 과로성종果老星宗의 구결口訣에 의거하여 작성한 것이다. 과로성종의 구결이 어느 시대의 역법을 근거했는가를 알지 못한다. 그러나 각 궁의 도수가 27도부터 34도까지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보면 각 궁의 도수가 30도와 31도로 고정되어 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도수만큼 정밀하지는 못하다. 과로성정의 구결 원문은 다음과 같다. [此即果老星宗之口訣 : 角亢氐初總在辰(角宿亢宿以及氐宿的初度都是在辰宮的範圍), 氐一房心尾卯存(氐宿一度起以及房宿心宿尾宿都是在卯宮的範圍), 尾三箕斗在寅位(尾宿三度起以及箕宿斗宿都是在寅宮的範圍), 斗四牛女丑宮真(斗宿四度起以及牛宿女宿都是在丑宮的範圍), 女二虛危同在子(女宿二度起以及虛宿危宿都是在子宮的範圍), 危十二度亥宮行(危宿十二度起是亥宮的範圍), 室壁奎兮都在亥(室宿壁宿奎宿都是在亥宮的範圍), 奎一婁胃戌宮親(奎宿一度起以及婁宿胃宿都是在戌宮的範圍), 胃三昂畢同纏酉(胃宿三度起以及昂宿畢宿都是在酉宮的範圍), 畢六觜參井在申(畢宿六度起以及觜宿參宿井宿都是在申宮的範圍), 井八鬼柳俱在末(井宿八度起以及鬼宿柳宿都是在末宮的範圍), 柳三星張午位迎(柳宿三度起以及星宿張宿都是在午宮的範圍), 張十五兮翼軫巳(張宿十五度起以及翼宿軫宿都是在巳宮的範圍), 軫十還歸在於辰(軫宿十度之後還歸於辰宮的範圍). 基本上從漢書的記錄以降到果老星宗一書內所列統天.]
7. 각 절기 28수 중천中天 일람표
절기 |
초저녁 |
새벽 |
절기 |
초저녁 |
새벽 |
절기 |
초저녁 |
새벽 |
동지 |
실室 |
진軫 |
소한 |
벽壁 |
항亢 |
대한 |
규奎 |
저氏 |
입춘 |
위胃 |
저氏 |
우수 |
필畢 |
심心 |
경칩 |
삼參 |
미尾 |
춘분 |
정井 |
미尾 |
청명 |
정井 |
기箕 |
곡우 |
성星 |
두斗 |
입하 |
장張 |
두斗 |
소만 |
익翼 |
우牛 |
망종 |
진軫 |
여女 |
하지 |
항亢 |
위危 |
소서 |
저氏 |
실室 |
대서 |
방房 |
벽壁 |
입추 |
미尾 |
규奎 |
처서 |
미尾 |
위胃 |
백로 |
기箕 |
묘昴 |
추분 |
두斗 |
삼參 |
한로 |
두斗 |
정井 |
상강 |
두斗 |
정井 |
입동 |
여女 |
성星 |
소설 |
허虛 |
장張 |
대설 |
위危 |
익翼 |
위 도표는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의거하여 작성한 것이다. 각 절기의 초저녁과 새벽 중천에 떠있는 별자리를 표기한 것이다. 한로와 상강이 모두 초저녁과 새벽에 두수와 정수가 중천에 떠있는 것은 두수가 26과1/4도이고 정수가 33도로 그 범위가 15도(365.25/24 = 15.22)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8. 기국해棋局解와 이십팔수二十八宿
홍연진결의 기국해棋局解 중에 이십팔수와 관련한 글이다. 아래와 같다.
[역문] 일주천一周天의 360도를 살펴보건대 중궁을 태극의 중추성으로 삼으며, 손궁의 중간에서 각수角宿의 12도를 일으키고 왼쪽으로 돌아가면서 돌고 돈다. 항수亢宿는 9도이고, 저수氏宿는 15도, 방수房宿는 5도, 심수心宿는 5도, 미수尾宿는 18도, 기수箕宿는 11도, 두수斗宿는 26도(원래 26.1/4도), 우수牛宿는 8도, 여수女宿는 12도, 허수虛宿는 10도, 위수危宿는 17도, 실수室宿는 16도, 벽수壁宿는 9도, 규수奎宿는 16도, 루수婁宿는 12도, 위수胃宿는 14도, 묘수昴宿는 11도, 필수畢宿는 16도, 자수觜宿는 2도, 삼수參宿는 7도(원래 9도), 정수井宿는 31도(원래 33도), 귀수鬼宿는 3도(원래 4도), 유수柳宿는 15도, 성수星宿는 7도, 장수張宿는 18도, 익수翼宿는 18도, 진수軫宿는 17도이다. 돌고 돌기를 사방으로 9번 돌면 곧 일주천 360도를 이루는 것이니, 매번 28수의 도수를 일으키는 땅에 놓아야 한다.
내가 이르되 본래 일주천은 365도인데 지금 여기에서는 5도를 줄여 360도라 말하며, 중궁 1수를 태극 중추성으로 삼으니, 이로써 바둑판 361혈에 응한다.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와 건곤간손의 16국을 살펴보건대 돌고 돌면서 서로 이어지는 것이니, 밖으로 12지를 펼쳐놓고 중간에 사유에 펼치면 6×6은 곧 36진을 이룬다. 서로서로 이끄는데 174가 우두머리가 되니, 매양 174국으로 놓으면 이 진을 이룬다. ‘긴 뱀의 형세’와 ‘초승달의 형세’, ‘새날개의 형세’, ‘학의 형세’, ‘쇠사슬의 형세’, ‘땅을 마는 형세’ 등은 마땅함을 쫓고 소용됨을 따를 것이다.
[원문] 按周天三百六十度 以中宮爲太極樞星, 起巽半角十二度 左旋回回. 亢九度, 氐十五度, 房五度, 心五度, 尾十八度, 箕十一度, 斗二十六度, 牛八度, 女十二度, 虛十度, 危十七度, 室十六度, 壁九度, 奎十六度, 婁十二度, 胃十四度, 昴十一度, 畢十六度, 觜二度, 參七度⑲, 井三十一度⑳, 鬼三度, 柳十五度, 星七度, 張十八度, 翼十七度, 軫十七度. 回回四方九回 便成周天三百六十度, 每置於二十八宿起度之地.
愚云本周天三百六十五度 今此縮五度 言三百六十度, 以中一爲太極樞星者 以應棋局三百六十一穴歟. 按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乾坤艮巽十六局 回回相連, 外列十二地 中布四維 六六便成三十六陣, 交互句牽一七四爲頭, 每以一七四列置 則成此陣, 長蛇勢 偃月勢 鳥翼勢 鶴形勢 金鎖勢 捲地勢 隨宜隨用.
⑲ 삼수는 원래 9도이지만 일주천 365와4분의1도를 바둑판 360혈에 맞추려고 2도를 줄였고 두수 중에 1/4도를 줄였다. 이하도 모두 같다.
⑳ 정수는 원래 33도인데 2도를 줄였다.
귀수는 원래 4도인데 1도를 줄였다.
익수는 원래 18도인데 1도를 줄였다. 일주천의 도수가 365.4분의1도이고 바둑판은 361혈이다. 하늘의 28수가 지상의 바둑판 위에 조응照應함에 있어 완벽하게 짝이 맞지 않는다. 천원은 태극추성(북극성)에 비유되므로 중심궁 1혈을 줄이면 360혈이고, 28수의 도수 365.4분의1도 중에 5.4분의1도를 줄이는 과정에서 삼수 2도, 정수 2.4분의1도, 귀수 1도, 익수 1도 합계 6.4분의1도를 줄였다. 곧 1도를 더 줄여서 359도가 되었다. 그러므로 우선 익수 1도를 원래대로 18도로 복원시켜 360도로 맞추고자 한다.
六十一穴은 三百六十一穴의 착오이다. 수정했다.
9. 기국해棋局解 일주천一周天 이십팔수 십이궁분야도十二宮分野圖
사궁 순미 익6-18, 진17, 30도 |
오궁 순화 성7, 장18, 익5, 30도 |
미궁 순수 정20-31, 귀3, 유15, 30도 |
신궁 실침 필15-16, 자2, 삼7, 정19, 30도 |
진궁 수성 각1-12, 항9, 저9, 30도 |
東方 青龍七宿 : 角 亢 氏 房 心 尾 箕 北方 玄武七宿 : 斗 牛 女 虛 危 室 壁 西方 白虎七宿 : 奎 婁 胃 昴 畢 觜 參 南方 朱雀七宿 : 井 鬼 柳 星 張 翼 軫 |
유궁 대량 胃10-14, 묘11, 필14, 30도 | |
묘궁 대화 저10-15, 방5, 심5, 미14, 30도 |
술궁 강루 규8-16, 루12, 胃9, 30도 | ||
인궁 석목 미15-18, 기11, 두15, 30도 |
축궁 성기 두16-26, 우8, 여11, 30도 |
자궁 현효 여12, 허10, 危17, 실2, 30도 |
해궁 취자 실3-16, 벽9, 규7, 30도 |
위 분야도는 기국해를 의거하여 만든 것이다. 일단 진궁을 각수 1도부터 시작했다. 바둑판은 361점이다. 자미대제가 거주하는 천원 1점을 제외하면 360점이 되고, 이는 주천상수 360도수와 일치한다. 기국해에서 이십팔수의 365와1/4도수에서 5와1/4도수를 줄여 360도수로 바둑판 360점에 배대한 것은 이십팔수의 일간도수를 주천상수의 공간도수와 일치시켜 놓은 것이다.
10. 28수二十八宿 일주천一周天 360도수三百六十度數 기반도棋盤圖
가. 28수二十八宿 일주천一周天 360도수三百六十度數 기반도棋盤圖
角 |
8 |
7 |
6 |
5 |
4 |
3 |
2 |
箕 |
18 |
17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9 |
2 |
9 |
5 |
4 |
3 |
2 |
危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虛 |
12 |
8 |
3 |
10 |
6 |
3 |
2 |
婁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9 |
8 |
7 |
6 |
11 |
7 |
4 |
11 |
7 |
4 |
14 |
13 |
12 |
11 |
10 |
9 |
8 |
7 |
6 |
5 |
4 |
3 |
5 |
10 |
6 |
5 |
斗 |
8 |
5 |
15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20 |
2 |
4 |
9 |
5 |
6 |
2 |
9 |
6 |
16 |
30 |
5 |
4 |
3 |
2 |
張 |
7 |
6 |
5 |
19 |
畢 |
3 |
8 |
4 |
7 |
3 |
10 |
7 |
觜 |
31 |
6 |
11 |
10 |
9 |
8 |
7 |
6 |
4 |
18 |
11 |
2 |
7 |
3 |
8 |
4 |
11 |
8 |
2 |
鬼 |
7 |
12 |
9 |
8 |
7 |
6 |
5 |
3 |
17 |
10 |
奎 |
6 |
2 |
9 |
5 |
12 |
9 |
參 |
2 |
8 |
13 |
10 |
17 |
16 |
5 |
4 |
2 |
16 |
9 |
9 |
5 |
尾 |
10 |
6 |
13 |
10 |
2 |
3 |
9 |
14 |
11 |
中 |
15 |
4 |
3 |
星 |
15 |
8 |
8 |
4 |
5 |
11 |
7 |
14 |
11 |
3 |
柳 |
10 |
15 |
12 |
13 |
14 |
3 |
2 |
15 |
14 |
7 |
7 |
3 |
4 |
12 |
8 |
15 |
12 |
4 |
2 |
11 |
16 |
17 |
18 |
軫 |
2 |
翼 |
14 |
13 |
6 |
6 |
2 |
3 |
亢 |
9 |
16 |
胃 |
5 |
3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3 |
12 |
5 |
5 |
女 |
2 |
2 |
10 |
17 |
2 |
6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1 |
4 |
4 |
8 |
心 |
3 |
11 |
室 |
3 |
7 |
井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3 |
3 |
7 |
5 |
4 |
12 |
2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昴 |
2 |
2 |
6 |
4 |
5 |
13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壁 |
5 |
3 |
6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牛 |
2 |
3 |
4 |
2 |
7 |
8 |
9 |
氐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房 |
위 기반도는 손방 모서리에서 각수1도를 시작하여 천원 중궁의 바로 위에서 진수17도를 끝마친다. 각수1도가 진수17도 자리로 옮기며 변화한다.
나. 28수二十八宿 일주천一周天 360도수三百六十度數 기반도棋盤圖
17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軫 |
18 |
17 |
4 |
3 |
2 |
柳 |
3 |
2 |
鬼 |
31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16 |
5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昴 |
14 |
13 |
12 |
11 |
10 |
9 |
20 |
15 |
6 |
11 |
5 |
4 |
3 |
2 |
壁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9 |
8 |
8 |
19 |
14 |
7 |
畢 |
6 |
12 |
11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女 |
7 |
7 |
18 |
13 |
8 |
2 |
7 |
虛 |
6 |
5 |
4 |
3 |
2 |
斗 |
11 |
10 |
9 |
8 |
8 |
6 |
6 |
17 |
12 |
9 |
3 |
8 |
2 |
7 |
3 |
2 |
尾 |
5 |
4 |
3 |
2 |
心 |
7 |
7 |
5 |
5 |
16 |
11 |
10 |
4 |
9 |
3 |
8 |
4 |
4 |
3 |
2 |
氐 |
9 |
8 |
5 |
6 |
6 |
4 |
4 |
15 |
10 |
11 |
5 |
奎 |
4 |
9 |
5 |
5 |
9 |
8 |
7 |
6 |
7 |
4 |
5 |
5 |
3 |
3 |
14 |
9 |
12 |
6 |
2 |
5 |
10 |
6 |
6 |
10 |
角 |
中 |
5 |
6 |
3 |
4 |
4 |
2 |
2 |
13 |
8 |
13 |
7 |
3 |
6 |
11 |
7 |
7 |
11 |
2 |
3 |
4 |
5 |
2 |
3 |
3 |
室 |
胃 |
12 |
7 |
14 |
8 |
4 |
7 |
12 |
8 |
8 |
12 |
亢 |
2 |
3 |
4 |
房 |
2 |
2 |
17 |
12 |
11 |
6 |
15 |
9 |
5 |
8 |
13 |
9 |
9 |
10 |
11 |
12 |
13 |
14 |
15 |
箕 |
牛 |
16 |
11 |
10 |
5 |
星 |
10 |
6 |
9 |
14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26 |
15 |
10 |
9 |
4 |
2 |
11 |
7 |
10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14 |
9 |
8 |
3 |
3 |
12 |
8 |
危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8 |
7 |
2 |
4 |
13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婁 |
2 |
3 |
4 |
5 |
6 |
7 |
6 |
翼 |
5 |
14 |
15 |
16 |
觜 |
2 |
參 |
2 |
3 |
4 |
5 |
6 |
7 |
井 |
2 |
3 |
4 |
5 |
18 |
6 |
7 |
張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위 기반도는 천원 중궁의 바로 옆 손방 밑에서 각수1도를 시작하여 손방 모서리 끝에서 진수17도를 끝마친다. 중궁의 각수1도가 손방 모서리 진수17도 자리로 옮기며 변화한다.
다. 28수二十八宿 일주천一周天 360도수三百六十度數 기반도棋盤圖
4 |
17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軫 |
18 |
5 |
10 |
3 |
2 |
柳 |
3 |
2 |
鬼 |
31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17 |
6 |
11 |
5 |
9 |
8 |
7 |
6 |
5 |
4 |
3 |
2 |
昴 |
14 |
13 |
12 |
11 |
10 |
21 |
16 |
7 |
畢 |
6 |
12 |
4 |
3 |
2 |
壁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9 |
9 |
20 |
15 |
8 |
2 |
7 |
虛 |
6 |
11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8 |
8 |
19 |
14 |
9 |
3 |
8 |
2 |
7 |
3 |
5 |
4 |
3 |
2 |
斗 |
11 |
10 |
9 |
女 |
7 |
7 |
18 |
13 |
10 |
4 |
9 |
3 |
8 |
4 |
4 |
2 |
尾 |
5 |
4 |
3 |
2 |
8 |
8 |
6 |
6 |
17 |
12 |
11 |
5 |
奎 |
4 |
9 |
5 |
5 |
9 |
3 |
2 |
氏 |
9 |
心 |
7 |
7 |
5 |
5 |
16 |
11 |
12 |
6 |
2 |
5 |
10 |
6 |
6 |
10 |
角 |
8 |
7 |
8 |
5 |
6 |
6 |
4 |
4 |
15 |
10 |
13 |
7 |
3 |
6 |
11 |
7 |
7 |
11 |
2 |
中 |
6 |
7 |
4 |
5 |
5 |
3 |
3 |
14 |
9 |
14 |
8 |
4 |
7 |
12 |
8 |
8 |
12 |
3 |
4 |
5 |
6 |
3 |
4 |
4 |
2 |
2 |
13 |
8 |
15 |
9 |
5 |
8 |
13 |
9 |
9 |
亢 |
2 |
3 |
4 |
5 |
2 |
3 |
3 |
室 |
胃 |
12 |
7 |
星 |
10 |
6 |
9 |
14 |
10 |
10 |
11 |
12 |
13 |
14 |
15 |
房 |
2 |
2 |
17 |
12 |
11 |
6 |
2 |
11 |
7 |
10 |
15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箕 |
牛 |
16 |
11 |
10 |
5 |
3 |
12 |
8 |
危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15 |
10 |
9 |
4 |
4 |
13 |
9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9 |
8 |
3 |
5 |
14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婁 |
2 |
3 |
4 |
5 |
6 |
7 |
8 |
7 |
2 |
6 |
15 |
16 |
觜 |
2 |
參 |
2 |
3 |
4 |
5 |
6 |
7 |
井 |
2 |
3 |
4 |
5 |
6 |
翼 |
7 |
張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위 360도수 기반도는 동방 청용의 각수 1도를 중앙의 왼쪽 위 모서리에서 시작했다. 위 기반도는 아래 구복도와 그 형상이 매우 유사하다. 이 원형은 360도 일주천을 순환함에 있어서 자연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기반도의 원형으로 삼고자 한다. 각수 2도의 자리에서 각수 1도를 일으키거나 왼쪽 위 모서리 곧 동남 손방에서 시작하면 360도수를 9차례 회전하는 그 끝과 처음이 잘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각 선의 궁도수를 가장자리부터 살펴보면 제1선은 72궁이고 제2선은 64궁, 제3선은 56궁, 제4선은 48궁, 제5선은 40궁, 제6선은 32궁, 제7선은 24궁, 제8선은 16궁, 제9선은 8궁, 도합 360궁이다.
11. 구복도九服圖
28수의 일주천 360도수를 바둑판 361혈에 조응하고자 4방으로 9번을 돈 기반도棋盤圖를 보면 그 외형이 주나라의 9복九服과 형태가 똑 같음에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9복이란 주나라의 왕기王畿를 4방 천리로 정하고 상하와 좌우의 각각 5백리마다 1기一畿 또는 1복一服으로 구획하여 차례로 후복候服, 전복甸服, 남복男服, 채복采服, 위복衛服, 만복蠻服, 이복夷服, 진복鎭服, 번복蕃服 등으로 정한 것을 일컫는다. 복服은 제후들이 천자에게 복종한다는 뜻이며, 이 기畿와 복服이 같은 뜻이 있으므로 9복을 9기九畿라 일컫기도 하며, 후기候畿, 전기甸畿, 이하 번기蕃畿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 기는 원래 봉건시대에 국도 주변의 땅을 이르는 말로서, 왕기는 왕성王城 곧 국도의 4방 천리 이내의 땅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기도京畿道도 서울의 주변이어서 경기란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특히 불교에서는 부처님이 계신 곳을 왕성王城이라 부르기도 한다. 곧 왕사성王舍城의 지명이 그 좋은 예이다.
이 9복의 도면이 일주천의 360도수를 배정한 기반도와 그 모양이 똑같은 것은 9복과 바둑이 모두 홍범구주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중국의 요, 순 다음 우임금의 하나라 은나라 이전은 확실하지 않으나 주나라 이후로부터 각종 문명이 모두 낙서의 원리인 홍범구주에 의해 이루어진 것은 확실하다. 천지인 3재 중에 인사人事에 있어서는 관직의 품계를 9등급으로 나누었으며, 또한 지리에 있어서는 9천에 조응하는 땅으로서 모든 국토를 구주 또는 9기 등으로 분할한 것이 모두 이 때문인 것이다.
바둑판에 있어서도 중앙에는 9천의 중앙천인 균천의 자미궁紫微宮이 조응하는 천원天元이 있고, 각 8천의 방위에 따라 조응하는 곳을 일러 화점花點, 성점星點, 또는 순장점이라 이르는 바, 4면8방에 8개가 있다. 9천에는 중앙에 각각 1개의 궁이 있으므로 모두 9궁이 있으며, 이 9천의 9궁이 조응하는 지점이 바둑판 위의 9개 화점이다. 그러므로 바둑판의 9개 화점은 9천의 중심, 곧 왕성을 의미함과 동시에 이 지상의 9지 또는 구주의 왕성이나 중심지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며, 또한 이 때문에 9개의 화점이 바둑판 위 9개의 각 궁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바둑판 위에 천상의 28수 360도수를 옮겨 보았다. 그리고 홍범구주의 원리를 정사政事에 활용한 주나라 구복도와 28수 360도수와의 연관성도 확인해 보았다.
첫댓글 기국해를 공부하고자 하면 분야가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두병소지에 있는 각수의 역할이 매우 지대하다는 생각을 금치 못합니다.
그리고 28수를 배치하는 방법을 여러 가지로 연구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연구가 되는 대로 올려보겠습니다.
역작으로 멋진 글월입니다. 감사히 읽습니다.
태양력과 태음력이 차이가 나는 것은 현재 지축이 경사져 있어서인가 봅니다. 지축이 정위되면 360일로 일치되는 것으로 황도와 백도가 같은 궤적을 달리리라 봅니다. 옛날에는 천동설이고(황제내경 등) 근세에는 지동설이고 현재는? 28수의 배치도 지축의 경사로 인한 양방향이 3/5. 음방향이 2/5로 현재 배치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삼천양지). 두병은 항상 동방 청룡의 별자리 각수角宿를 가리킨다? 두병이 가리키는데에 따라 동서남북칠수가 되는 것이 아닌지요. 360도는 기본으로 보고 360 1/4은 현재曆인데 지축의 경사로 인하여 현재 나타나는 현상(낙서, 문왕팔괘)으로 보면 어떨까요? 좋은 글이라 다들 읽게 역동에 올렸습니다
천체과학을 전공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공부하며 글을 쓰고 보니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일단 천체도를 세 가지로 상정해 볼 수 있겠습니다.
하나는 북극성이 중심에 있고 주천 360도로 28수가 펼쳐져 있으며 그 중간에 북두칠성 등이 있는 천체도이고,
둘은 28수 중심에 태양이 있고 태양의 주위를 지구가 돌아가는 천체도가 있을 것이며,(현재 과학자들의 주장)
셋은 28수 중심에 지구가 있고 지구의 주위를 태양이 돌아가는 천체도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고대 천문학자들의 생각)
행성을 제외하면 그리고 몇 백년을 걸쳐서 확인할 수 있는 세차운동을 제외하면 천체의 별들은 고정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28수 중에 청룡의 각수 위치는 북두칠성의 두병소지 방위와 호선을 그려 일치하게 고정되어 있습니다.
각수와 두병소지가 일치한 그 상태를 지구가 매일 한 바퀴씩 돌기 때문에 각수 등 28수와 북두칠성이 도는 것처럼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28수 중심에 태양을 놓거나 지구를 놓고 보아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태양과 지구의 위치가 180도 다르게 28수 중에 나타날 뿐입니다.
평소 탄허스님을 공경하는 편이라 정역의 지축정위설을 믿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공부가 일천한지라 추후를 기약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http://www.360doc.com/content/13/0104/21/506102_258230029.shtml 전문을 복사해 검색하면 좋은 글이 떠오를 것입니다.
천문과 지호를 춘분과 추분으로 보는 것이 통설인데 이 글은 하지와 동지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 골부 중인데 복사가 안됩니다. 아마도 회원에 가입을 해야 되는 것 같습니다.
역동에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로그인을 안한 상태로 가끔 들러서 올리신 글들을 보고 있습니다만 탈퇴된 상태라 글은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위 본문 중에 4항과 5항의 분야도를 일부 보완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고구려의 유물을 조선 태조의 어명에 따라 당시 천문학자들이 수정한 것입니다.
지금 관측하면 새로 수정할 사항이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전문가와 함께 기회가 닿으면 천문대에 가서 확인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