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준(朴泰俊) 포항제철 회장’ 한국 현대사에서 권력·富의 중심
청암(靑巖) 박태준(朴泰俊) 포항제철 회장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국가 건설자 (state-maker)입니다. 1927년 경남 동래군에서 태어난 그는 아버지를 따라 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초중고교를 다녔고 와세다대 공대 2학년 재학 중 해방을 맞아 중퇴, 귀국했습니다.
육사 6기로 임관한 그는 6.25 전쟁 당시 경기 포천지역 1연대 중대장이었습니다. 군에서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을 받았고 육군대학 수석 졸업 후 최연소 육사 교무처장, 1군 참모장 등을 지냈습니다.
34세이던 1961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비서실장을 맡은 그는 이후 50년 동안 요직(要職)을 맡았습니다. 육군 소장 예편→대한중석 사장(3년)→포항종합제철 사장·회장(25년)·명예회장→민정당 대표·민자당 최고위원·자민련 총재·4선(選) 국회의원→국무총리….
누가 봐도 한국 현대사에서 ‘권력과 부(富)의 중심에서 누릴 수 있는 걸 다 누린 인생’의 전형입니다. 흔히 부패 인사, 독재자 같은 비난을 받기 십상입니다.
그런데 ‘민족문학작가회의’ 고문을 지낸 좌파 진영 소설가인 조정래씨는 “박태준은 한국의 간디이다. 나는 그의 이름에 마하트마를 붙여 ‘마하트마 박’으로 부르고 싶다”고 했습니다(2011년 12월 17일 서울 현충원 영결식장 ).
한 사람의 일생이 ‘성(聖)스러운’이라는 뜻의 ‘마하트마(Mahatma)’로까지 칭송받는 것은 여간 일이 아닙니다. 박태준 회장(이하 청암으로 호칭)에게 어떤 남다른 측면이 있는 걸까요? 통상대신(通商 大臣) 시절 포항제철을 방문했던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의 회고입니다.
“내가 가장 인상 깊게 느낀 것은 종업원들이 너 나 없이 마음으로부터 박태준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감명을 거기서 받았다.”
용광로 같은 애국심과 도덕성.
이는 청암이 자신의 좌우명(座右銘), 즉 ‘짧은 인생을 영원(永遠) 조국에’에 철저해 탁월한 업무 능력과 강력한 도덕성 없이는 나올 수 없는 평가입니다.
그는 실제로 1964년 12월 국영기업체인 대한중석 사장을 맡은 지 1년 만에 만년적자(萬年赤字) 회사를 흑자로 전환시켰습니다. 보통 4~5년 걸리는 종합제철소 건설 작업을 제철소 구경조차 한 적 없는 38명과 함께 착공 3년 3개월 만에 마쳤습니다.
조업 첫 해인 1973년 포항제철은 매출액 1억 달러· 순이익 1200만 달러를 냈습니다. 가동 후 50년 가까이 적자였던 일본 동종 업계와 비교하면 ‘기적’적인 일입니다. 포항제철은 세계 철강사에서 제철소 가동 첫해부터 이익을 낸 유일한 기업입니다.
청암은 제철소 공기(工期) 단축을 위해 하루 24시간 작업을 지시해 놓고 자신도 매일 3~4시간 잠자며 현장을 챙겼습니다. 1968년 포항제철 출범부터 1992년 광양제철소 2기 완공까지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가족과 떨어져 포항 효자동 사택과 회사에서 지냈습니다.
그는 ‘솔선수범’하는 경영자인 동시에 ‘무사욕(無私慾)’의 리더였습니다. 피와 땀을 쏟아 창업하고 성장시킨 포스코에서 25년 만에 물러날 때, 그는 한 주의 공로주(功勞株)는커녕 퇴직금 1원도 거부했습니다. 1988년 포항제철 임직원 1만9419명에게 전체 발행 주식의 10%를 우리 사주(社株)로 배정했을 때도 같았습니다.
명예회장으로 복귀한 뒤 “노후를 생각해 조금이라도 스톡옵션을 받으시라”는 주변의 권유에 그는 “포항제철은 선조(先祖)의 피로 세운 회사이다. 공적인 일을 할 때 사욕(私慾)을 갖지 말라!”고 일갈했습니다.
주식· 퇴직금 ‘0원’... 73세에 전세살이
“청암의 도덕성은 무서울 정도였다. 그분의 리더십 근간은 청렴결백(淸廉潔白)이었다”(황경로·포스코 2대 회장)는 증언 그대로입니다. 인사 청탁과 금품 주고받기[授受]가 난무하던 1956년 11월, 그는 세칭 ‘노른자위’ 자리인 국방부 인사과장이 됐습니다.
그러나 청암은 유혹 및 압력과 싸우다가 10여 개월 만에 25사단 참모장 근무를 자원해 갔습니다. 포항제철 사장 시절 아버지가 “문중 사람들을 좀 써주면 안되겠냐”고 하자, 청암은 그대로 방을 나와 회사로 돌아갔습니다.
1962년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준 하사금을 합쳐 서울 북아현동에 집을 마련하기까지 그는 8년 새 15번 전셋집을 전전했습니다. 38년간 살던 집을 2000년에 팔아 생긴 돈 14억 5000만원 중 10억 원을 아름다운 재단에 기부하고 73세에 다시 전세살이를 했습니다.
그가 사후에 남긴 재산은 전무(全無)했고, 말년에 생활비와 병원비는 자녀 5명(4녀 1남)의 도움으로 해결했습니다. 청암을 다룬 평전 <세계 최고의 철강인 박태준>의 저자인 이대환 작가는 이렇게 평가합니다.
“단군 이래 최대 프로젝트였던 포항제철 25년 동안 박태준은 한 푼의 비자금도 만들지 않았다. 이는 누구도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는, 20세기 후반 한국사에 길이 기록될 업적이다. 이거야말로 박태준의 이름을 포철 용광로만큼이나 칭송(稱頌)해야 할 일이다.”
~ 중략 ~
“후세 경영자들에게 살아있는 교본”
1978년 중국의 덩샤오핑이 이나야마 요시히로 신일본제철 회장을 만나 “중국에도 포항제철과 같은 제철소를 지어달라.”고 하자, 요시히로 회장은 “중국에는 박태준이 없지 않습니까?”라며 정중히 거절했습니다. 이 일화는 박태준이 한국을 넘어 최소한 아시아적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그가 세우고 이끈 포항제철은 그의 생전에 품질 경쟁력 세계 1위 철강사가 됐고, 양적으로도 1975년 세계 46위에서 3위(1989년), 1위(1997년)로 급부상했습니다. 그가 없었다면, 한국 조선·자동차·기계·건설 산업의 성장과 대한민국의 세계 경제대국으로 도약은 한낱 ‘꿈’에 그쳤을지 모릅니다.
철강 불모지라는 ‘절대 절망’에 좌절하지 않고 ‘세계 1등’과 ‘초격차 경영’을 선구적으로 이뤄낸 박태준은 “후세의 경영자들을 위한 살아있는 교본”(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입니다. 그는 1977년 8월 상당한 자금을 들여 공정률 80%에 달하던 건물의 부실(不實)을 발견하고 서슴없이 폭파 명령을 내렸습니다.
그러면서 “조국의 백년대계가 여기서 출발한다. 이것은 폭파가 아니라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기폭제다”라고 했습니다.
“현장의 선비”... 한국 리더들의 ‘롤 모델’
청암에게서 양보할 수 없는 기준은 선조들의 핏 값과 후손들의 미래라는 대의(大義)였습니다. 그렇기에 그는 어떠한 부실이나 부정(不正)·불의(不義)와 거래하거나 눈 감기를 단호하게 거부했습니다.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의 지적입니다.
“한국의 저명인사들은 모두 강당에서의 선비이고, 책 속의 선비, 말 속의 선비였다. 그러나 박태준은 지(志)와 의(義), 그리고 렴(廉)과 애(愛)를 행동으로 실천한 ‘현장의 선비’이다.”
세계 어느 나라 보다 돈에 대한 집착과 사익(私益) 추구가 심한 한국에서 청암은 국민의 사표(師表)이자, 리더들의 롤 모델(role model)일 수 있습니다. 그가 스스로 평생 붙잡아 온 4가지 화두를 보면 더 분명해집니다.
① 짧은 인생을 영원 조국에 ② 절대 절망은 없다 ③ 어느 분야든 세계 1등이 되자 ④ 10년 후를 내다보라
2023년 올해는 마침 청암이 이 땅을 떠난 지 12년, 우리나라 최초인 포항제철 고로(高爐·거대한 용광로)에서 쇳물을 처음 쏟아낸 지 반세기(半世紀)를 맞는 해입니다.
♡ 기업비사 : 철강왕 박태준, 대한민국 제철신화를 이루다 ♡
https://band.us/band/68483586/post/2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