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대(大)동이 민간의술 학회 원문보기 글쓴이: 청명산
|
출처 : 대체요법연구원
다섯발가락 지압법
오행 상으로 목(木)은 오장에 있어서는 간장에 해당되고, 육부에 있어서는 쓸개에 해당된다. 그리고 발가락에 있어서는 엄지발가락에 해당한다. 얼굴에서는 눈이 목(木)에 해당된다. 그래서 한방에서는 눈을 간의 구멍이라고 했다. 간염이 걸리면 황달이 오는 등 먼저 눈에 그 징후가 드러나는 것이다. 그리고 간이 안 좋으면 시력도 나빠진다. 그런데 엄지발가락은 우리 인체에서 머리에 해당한다.
목(木)의 이상에 의해서 생기는 병들로는 뇌출혈로 인해서 오는 중풍, 두통,
뇌성마비, 편두통, 정신장애, 간질환, 시력장애 등이 있다.
목(木)의 이상에 의해서 생기는 병들은 엄지발가락을 지압해 주면 많은 도움이 된다.
엄지발가락을 자극함으로써 관련 장부인 간이 회복되고, 더 나아가서 시신경을 막고 있는 것을 뚫어 줌으로써 시력 장애도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머리와 관련된 각종 질환의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엄지발가락 지압으로 간장기능 좋아져,
발가락 지압의 치료 원리는 단순하다.
마치 수도 파이프가 얼면 전기를 꽂아서 확 뚫어 주는 것처럼, 인체의 막힌 부분을 기로써 뚫어 주는 것이다.
시신경을 막고 있던 것을 뚫어 주었기 때문에 시력이 회복된 것이다.
그렇다면 발가락 지압은 특별한 사람이 행하는 것인가. 결코 그렇지 않다.
지금까지 활인공덕회에서 무료로 발가락 지압을 교육하고 있는데, 처음 발가락 지압을 해보는 사람들에게서 기적 같은 일이 많이 일어났다.
발가락을 지압할 때의 요령은 그 병이 목(木)에 해당할 때는 간장․쓸개․눈의 막혀 있는 부분을 나의 정신을 통해 들어가서 뚫어 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한다.
또한 항상 다섯 발가락 전체를 골고루 지압해 주어야 한다.
비록 목(木)에 장애가 와도 전체 발가락을 골고루 지압함으로써 상호 작용을 통해 균형이 잡히도록 해야 한다.
검지발가락 지압에 대해서 살펴보자.
검지발가락은 화(火)에 해당하며, 화(火)는 오장에 있어서 심장․심포에 해당되고, 육부에 있어서는 소장․삼초에 해당된다.
검지발가락을 열심히 만져주는 것만으로도 소장․심장은 튼튼해질 수 있다.
소화가 잘 안되거나 십이지장 궤양 등으로 고생하는 사람의 엄지 발가락 안쪽을 누르면 고통을 호소하는데, 이는 검지 발가락 안쪽이 소장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바깥쪽 지압은 심장병․고혈압․안면마비․자폐증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발가락 지압은 우선 만져주는 사람이 마음을 통일하고, 지압 받는 사람의 불편한 부분이 개선된다는 강한 일념을 가지고 정성껏 지압을 해주어야 한다.
물론 지압 받는 사람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도록 해야 한다.
지압을 하는 사람은 검지발가락을 통해 심장․소장 등의 막힌 부분이 뚫리면서 그로 인한 병들이 깨끗이 치유된다는 신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발가락 지압은 다섯 발가락 전체를 골고루 지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검지발가락 지압은 심장을 좋게 해줘,
셋째 발가락은 오장으로는 비장에 해당되며 육부는 위장이 되며 얼굴에서는 입이 되며 오체로는 살이며 5색은 황색이며 5미는 단맛이 된다.
가운데발가락 지압시 통증을 호소하면 위염․위궤양․당뇨병․간염․간경화 등을 의심할 수 있다.
담이 걸리는 사람도 가운데발가락 지압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통증이 멈출 때까지 꾸준히 지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운데발가락은 토(土)에 해당되며, 장부로는 비장․위장에 해당된다. 비장․위장에 이상이 있으면 가운데발가락을 지압하면 된다.
발가락 끝은 엄지손가락 끝으로 세게 눌러 준다.
이 때 위장 계통의 병이 심해 기혈이 꽉 막힌 사람은 아무리 눌러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다가, 어느 정도 기가 통하기 시작하면서 그 때부터 심한 통증을 느끼기 시작한다. 그러다 막힌 기혈이 완전히 뚫리게 되면, 다시 세게 눌러도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된다. 당뇨병, 간염은 셋째 발가락 지압으로,
넷째발가락은 오행 중 금(金)에 해당하며, 장부로는 폐․대장과 관련이 있다. 폐․대장에 이상이 있으면 넷째발가락을 지압하면 된다.
장이 나빠 설사를 하거나 변비․치질 등에 걸린 사람은 발가락 안쪽을 누르면 몹시 고통스러워한다.
바깥쪽은 폐․기관지․피부․털 등과 관련이 있으며, 알레르기성 비염․해소․천식․여드름․무좀․두드러기․탈모증을 치료하는 부위이다.
또 목디스크․허리디스크․안짱다리․관절염 등을 다스리는 지압점이기도 하다.
콧물이 많이 나올 때도 같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압을 하면 콧물이 멎는다.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만졌을 때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 폐․기관지․해소․천식․기침․가래 등을 의심할 수 있다.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정성껏 발가락 지압을 반복한다. 이 때 다른 발가락과 함께 지압을 한다.
변비, 치질은 넷째 발가락 지압으로,
새끼발가락은 수(水)에 해당하며, 장부로는 신장․방광에 해당한다.
새끼발가락 안쪽은 방광에 해당하므로, 생식기 계통의 질병이 있는 사람의 경우 그 부분을 누르면 대단히 고통스러워한다.
바깥쪽은 신장에 해당하며, 귀와 뼈를 주관한다.
때문에 그 부위를 지압하면 목디스크․허리디스크․안짱다리 등에 효과가 있다.
새끼발가락을 전체적으로 만졌을 때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신장염․신장결석․방광결석․자궁염․자궁 물혹․냉대하․요도염․전립선염․디스크․관절염․위염․당뇨병․간염․간경화․중풍․안면마비 등을 의심할 수 있다.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발가락의 안쪽과 바깥쪽을 정성껏 만져 준다.
물론 다른 네 발가락들도 병행해서 만져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신장염, 방광결석은 새끼발가락 지압으로,
자신의 건강을 체크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다.
발을 살펴보면 된다. 발의 혈색이 좋고, 티눈 등의 잡티가 없고, 부드럽고 깨끗하면 그 사람은 건강하다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굽 높은 구두를 신고 걸으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많이 걸은 후에는 발바닥을 전체적으로 마사지하듯 눌러 준다.
발바닥을 두들겨도 좋고, 계단 모서리에 압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신기옥의 양생을 위한 발반사요법 - 7]
우리 신체의 축소판인 발의 중요성이 점차 알려지면서 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청결하고 건강한 발을 지닐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발반사요법’ 대체의학의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는 발반사요법에 대해 쉽게 다가 갈수 있는 방법을 <무카스뉴스>에서 준비했습니다. ‘타이치신문’ 신기옥 편집장이 전해주는 발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알기 쉬운 발반사요법까지. 오늘은 얼굴과 뇌의 반사구가 있는 발가락을 부분을 마시지 하는 반사요법을 배워 보겠습니다.
-편집자 주-
![]() | ![]() | |
| ||
![]() |
이 시간에는 얼굴과 뇌의 반사구가 있는 발가락을 다룬다. 우리 몸과 발의 반사구는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데 목 위의 부분은 반대로 상응한다. 우리의 발가락 끝은 전두동이라는 부위와 상응한다. 전두동은 우리의 앞이마에 해당하는데 이 부위는 말하거나 노래할 때 소리의 진동 폭을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또 코를 통하여 들어온 먼지나 병균의 침투를 막아 주기도 한다.
두통, 축농증, 불면증, 건망증,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다. 방법은 전부 쥐고 다섯 발가락 끝부분을 엄지는 옆으로 7~8회 쓸어 주고 다른 발가락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7~8회 쓸어 준다. 눈에 해당하는 부위는 둘째와 셋째 발가락의 둘째마디에서 뿌리까지이다. 왼쪽 눈은 오른 쪽 발가락과 상응한다. 근시, 원시 등의 시력 교정에 효과가 있고 결막염이나 각막염 같은 눈병이나 눈이 충혈 되었을 때, 백내장, 녹내장, 노안 등에 효과가 있다. 7~8회 위에서 아래로 쓸어내린다.
귀에 해당하는 부위는 넷째, 다섯째 발가락의 둘째마디에서 뿌리까지이다. 이명의 원인은 귓병이외에도 고열, 빈혈, 갑상선질환, 스트레스 등 다양하다. 귀는 듣는 것 이외에도 평형감각을 느끼는 중요한 부위이다. 중이염, 귀울림, 어지럼증, 멀미증상 등에 유효하다. 7~8회 쓸어내린다.
엄지발가락에는 우리 얼굴, 두뇌와 상응하는 부위가 있다. 코, 윗턱, 아래턱, 편도선, 삼차신경, 대뇌, 뇌하수체, 소뇌, 목의 반사구가 있다. 코는 엄지발가락 바깥쪽 옆면에 있다. 엄지의 가장 밖으로 나온 부위이다. 코가 막히거나, 콧물,비염, 코피. 축농증 등에 유효하다. 위에서 아래로 7~8회 쓸어내려 준다.
윗턱, 아래턱의 반사구는 엄지발가락을 아래로 꺾어서 꺾인 윗부분(발톱 바로 아래)과 그 아래 부분이다. 윗턱 부위를 자극해주면 잇몸 출혈과 구취에 효과가 있다. 아래턱은 씹는 작용을 하여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타액이 나오게 하여 삼키기 좋게 한다. 7~8회 옆으로 쓸어 준다.
편도선은 엄지발가락 두 번째 마디 중간의 오목한 양쪽 지점이다. 음식물괴 공기가 들어오는 입구이며 임파 조직이 모여 있어 병균이나 세균을 1차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호흡기가 감염되었거나 편도선염, 임파세포와 항생체를 증강시키는 곳이다. 엄지와 둘째손가락으로 꼭꼭 7~8회 눌러준다.
목은 엄지발가락 뿌리 전체에 해당한다. 우리 몸무게의 1/9에 해당하는 머리를 받치고 있는 곳이다. 발가락이 조이는 신발을 신으면 목반사구에 굳은살이 생기는데 목과 어깨부위의 혈액순환이 나빠지게 한다. 엄지발가락이 옆으로 휘지 않고 발바닥선과 같은 선에 있어야 건강한 발이다. 발가락을 감싸듯이 쥐고 발가락 뿌리를 엄지로 쓸어준다. 천식, 기침, 감기, 후두염 등에 효과가 있다.
삼차신경은 엄지발가락 옆면(둘째 발가락과 닿는 면)에 위치한다. 뇌에서 얼굴 쪽으로 이어지는 신경 중 하나로 눈 신경, 아래턱신경, 위턱신경의 3갈레로 뻗어지는 신경이다. 머리나 이가 아플 때 이 부위가 아픈 경우가 있다. 편두통, 눈, 귀, 코의 질환, 안면신경마비 등에 효과가 있다.
대뇌는 엄지발가락의 가운데 전체에 해당한다. 운동영역, 감각영역, 지각영역을 주관하는 곳이다. 우뇌는 공간이나 창조력을 통제하고 좌뇌는 분석적, 언어적 기능을 주관한다. 뇌진탕, 불면증 ,뇌성마비, 혈압, 어지럼증에 효과가 있다. 발가락바닥을 7~8회 쓸어내린다.
뇌하수체는 대뇌의 가운데에 있다. 내분비선을 조졸하고 호르몬(성장, 부신피질, 갑상선, 황체)등 중요한 내분비기관을 지배한다. 엄지발가락 가운데를 7~8회 꼭꼭 눌러준다. 소뇌는 엄지발가락 뿌리 안쪽의 끝 지점에 있다. 평형감각을 조절하고 근육활동을 통제한다. 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운동 감각을 주관한다. 뇌진탕, 머리가 무거울 때, 현기증 등에 유효하다. 엄지발가락을 쥐고 비틀 듯이 7~8회 누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