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예상 밖의 LPR 금리 인하를 통한 유동성 확대
중국이 금융시장의 평균적인 예상을 깨고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 를 인하했다. 이번 LPR 금리 인하는 5개월 만에 이뤄진 것으로 중국 정책당국의 경기 부양을 위 한 전방위적 유동성 풀기의 일환인 동시에, 최근 미국의 피봇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 데 따른 대외 여건 변화를 반영한 행보로 풀이된다. 22일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PBOC)는 1년물과 5년물 LPR 금리를 0.1% 포 인트씩 낮춰 각각 3.35%, 3.85%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PBOC는 지난 2월에 5년물 LPR은 4.20%에서 3.95%로 0.25% 포인트 인하하고, 1년물 LPR은 3.45%로 그대로 유지한 이후 3월부터는 두 금리 모두 변동을 주지 않았다.
LPR 외에도 역RP, MLF 담보 완화 등 전면적인 돈풀기. 부진한 경기 견인 목적
중국의 이번 금리 인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LPR의 인하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동 성 공급 확대가 동시에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발표된 2분기 GDP 성장률이 4.7%로 세분기 만에 4%대로 낮아진 것을 비롯해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적인 대응의 필요성이 커진 데 따른 조치라는 의미다. 실제 PBOC는 LPR 인하 외에도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금리를 1.80%에서 1.70%로 0.1% 포인트 낮췄고,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담보 여건도 완화했 다. 다양한 만기에 걸친 자금 및 자본시장에서의 금리를 일제히 인하하고, 담보 여건 의 완화를 통해 통화정책 경로의 원활한 작용을 꾀하는 조치도 함께 발표한 것이다. 더구나 해당 조치들은 약 한시간 안에 순차적으로 공개되면서 일단 방향을 잡으면 전격적인 시행으로 알려진 PBOC의 정책 스타일을 다시금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주 요 집계 기관들의 사전 서베이 상에서는 거의 예상되지 않았던 서프라이즈 조치들 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높아진 美 피봇 가능성에 중국도 통화 완화를 위한 운신 폭 넓아져
한편 당사는 PBOC의 이번 서프라이즈 금리 인하가 미국 연준(Fed)의 피봇 개시 가 능성이 크게 높아진 시점에서 나왔다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다. 현 재 CME FedWatch에 따르면 9월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96.2%에 이른다. 비(非) 미국 국가들의 입장에서는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통화정책 행보에 상당한 관 심을 둘 수 밖에 없는데 미국의 피봇 개시 가능성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중국 역시 도 금리를 내릴 수 있는 명분이나 여유를 확보함에 따라 이처럼 전격적이고 과감한 유동성 풀기가 가능했다는 것이다.
출처: 대신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