쭉지성대科 Dactylopteridae
● 쭉지성대 : Dactyloptena orientalis (Cuvier)
► 방 언 : 쭉지, 중꿍이, 청성이, 매미성대
► 외국명 : (영) Oriental flying gurnard, (일) Semihobo (セミホウボウ)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40㎝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20~30㎝ 정도이다. 몸은 연장되었고 측편되어 있으나 복부는 편평하다. 머리는 평탄하나 주둥이가 방추형으로 등쪽이 급히 경사져 있다. 눈 사이는 움푹 들어가 있으나 눈의 위치는 높다. 제1등지느러미 변두리에는 둥근 활 모양의 황색 띠가 있고 전면에는 암황색의 작은 점이 산재한다. 제2등지느러미는 투명하고 기조에는 같은 모양의 점들이 늘어서 있다. 배지느러미는 금빛, 뒷지느러미는 투명한 금빛을 띠고 있으며, 가슴지느러미에는 암황색의 작은 점들이 산재해 있다. 등지느러미에는 4줄의 금색 띠가 줄지어 있다. 제1등지느러미의 전방에 2개의 유리된 가시가 있으며, 제1가시는 매우 길다. 배지느러미는 1극4연조이다. 전새개골에 긴 가시가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길고 커서 펼치면 부채 모양을 이룬다. 가슴지느러미 하부의 몇 연조는 손가락 모양으로 이를 사용해서 해저를 기어다닐 수 있다. 체색은 등쪽은 아름다운 주홍색이고 하복부는 백색이다. 등과 머리 꼭대기에는 등황색의 반점이 밀포되어 있다.
► 설 명 : 수심 100m 이내의 비교적 얕은 바다의 바닥에 서식한다. 성어는 보통 단독으로 해저를 천천히 헤엄친다. 큰 가슴지느러미를 펼쳐 해저를 활공하듯 이동할 수도 있다. 평상 시에는 가슴지느러미를 접고 있지만 도미류나 고등어류 또는 다이버 등의 외적이 다가오면 크게 벌려 위협한다. 설악골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기도 하고, 배지느러미를 사용해 걷는 것처럼 해저를 이동하기도 한다. 어린 개체도 성어와 마찬가지로 모래 바닥에서 볼 수 있지만 때로는 작은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소형 어류, 이매패,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다. 상업적 어업의 대상은 아니지만 다른 어류와 함께 혼획된다. 주로 저인망 등에 어획되어 식용하기도 하지만 살에 독특한 신맛이 있어 맛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관이 아름다워서 관상어로 유통되기도 한다.
생선회는 담백하지만 무미(無味)하여 맛이 없기 때문에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튀김은 닭가슴살과 유사하며, 무니에르 등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동남해, 남해안, 제주도), 일본(중부 이남), 타이완, 남중국해,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뉴질랜드, 인도, 홍해, 아프리카 남부, 하와이 등 인도양 및 태평양의 온대 및 열대 해양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 비 고 : 근연종으로 별쭉지성대(Daicocus peterseni)가 있으나 제1등지느러미의 유리된 가시가 1개이고 꼬리지느러미 뒤끝이 패여있다.
쭉지성대科는 횟대目(Scorpaeniformes)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참 고 : 쭉지성대류는 횟대目의 성대류(성대科 어류)와 닮았으며, 때때로 성대류와 근연으로 취급된다. 쭉지성대류는 난해와 열대해에서 발견되며 매우 큰 가슴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는데, 가슴지느러미 각각은 앞쪽을 향한 짧은 부분과 훨씬 큰 날개 모양의 뒷부분으로 나뉜다. 이들 가슴지느러미는 색채가 아주 화려하다. 지느러미의 나머지 부분들과 구분되는 하나의 등지느러미줄 및 머리를 덮고 있는 골판도 쭉지성대류의 특징이다. 쭉지성대류는 최대 약 50㎝까지 자란다. 이들은 저서 서식자이지만 보고된 바에 의하면 가슴지느러미를 펼쳐서 물 위로 짧은 거리를 활공할 수 있다고 한다. 한국에는 쭉지성대科에 2속 2종이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