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 설(舌)자는 입에서 내미는 혀의 모양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입에서 내민 그것이라는 표시를 한 일(一)자로 했다고 해서 지사(指事) 글자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또 입에서 내미는 혀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로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어찌 되었든 입안의 혀를 나타낸 글자임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설전(舌戰) 설근(舌根) 설치음(舌齒音) 설화(舌禍) 설배(舌背) 설첨(舌尖) 구설(口舌)
베풀 설(設)자는 말씀 언(言)자에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창 수(殳)자는 전서(篆書)를 보면 창을 들고 있는 사람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창 수(殳)자는 손(又)에 창(几)을 들고 있는 모양으로, 만드는 일을 나타냈습니다. 베풀 설(設)자는 말로 여러 가지 만드는 기초를 잡는 것을 뜻합니다. 건설(建設) 설립(設立) 설정(設定) 창설(創設) 설치(設置) 설령(設令) 설사(設使)
말씀 설(說,説)자는 말씀 언(言)자에 빛날 태(兌)자를 했습니다. 말을 빛나게 하는 것이 말을 하는 것입니다. 말씀이 생겨나는 것도 말을 하는 것입니다. 빛날 태(兌)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맏 형(兄)자를 해서 엄마 몸에서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말씀 설(說)자 말씀 설(説)자는 같은 글자입니다. 설명(說明) 논설(論說) 설화(說話) 연설(演說) 사설(社說) 객설(客說) 각설(却說)
눈 설(雪,䨮)자는 비 우(雨)자에 손을 그린 고슴도치 머리 계(彐)자나 비 혜(彗)를 했습니다. 손으로 만져지는 비(雨)라는 뜻입니다. 비 혜(彗)자를 한 것은 비로 쓸어야 하는 비라는 뜻입니다. 설산(雪山) 설원(雪原) 우설(雨雪) 설화(雪花)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