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을 위한 학교> 시미즈 미츠루 지음, 김경인 김형수 옮김, 녹색평론사 농민의 나라 덴마크는 일찍이 혁명이 농민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일어났다. 자본주의 사회 노동자 중심의 혁명이론과는 다른 길을 걸어 민주주의와 복지를 획득했다. 거기에는 그룬트비의 사상과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우선 그룬트비는 죽은 라틴어와 교회를 비판하며 토착의 신화와 말에 주목하는 살아 있는 말을 교회의 중심에 둠으로써 농민을 각성시키고 부르주아와 엘리트주의에 대한 반기를 든다. 그룬트비는 살아 있는 말을 통해 민중이 서로 각성하고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는 세상을 꿈꾸게 된다. 이런 그의 사상에 공감하며 그룬트비주의자들이 나타나 학교운동을 벌이는데, 이것이 폴케호이스콜레이다. 시험보지 않고 평가하지 않으며 학생과 교사가 대화를 통해 공부하고 각성해나가는 것이다. 프레이리의 문해교육을 통한 민중교육론과 교집합이 많이 발견된다. 더불어 동학혁명의 자율조직과 백기완선생의 우리말 사상을 연결해보면 좋을 것 같다.
= 차례 =
한국어판에 부쳐 4 초판 서문 | 오베 코스고르 6 책머리에 8
제1부 삶을 위한 학교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와 그룬트비
제1장 트빈스쿨―풍차발전과 ‘여행하는 폴케호이스콜레’ 15 제2장 폴케호이스콜레의 생활 29 제3장 폴케호이스콜레의 조직과 내용 37 제4장 폴케오프뤼스닝―덴마크의 교육과 사회 57 [보론1] 폴케센터 | 하시즈메 겐로 72 제5장 그룬트비의 생애와 사상 78 제6장 폴케호이스콜레와 크리스텐 콜 106 제7장 폴케호이스콜레운동의 확산―덴마크 농민혁명 117 [보론2] 세계 최초로 풍차발전을 실용화한 인물, 포울 라 코우르 | 하시즈메 겐로 133 제8장 폴케호이스콜레와 세계 140 [보론3] 미트라니케탄―인도의 폴케호이스콜레 156 제9장 폴케호이스콜레와 일본 160 종 장 178
제2부 유학 체험기 ―나는 폴케호이스콜레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나의 IPC 체험 | 나가타 케이코 184 ‘여행하는 포크하이스쿨’―사바나 잠비아로 | 기타다이 루리 192 덴마크 체험기 | 나츠메 타카시게 205 피오르에서 카약을―스포츠 호이스콜레 여름과정 | 시미즈 사토시 217
제3부 폴케호이스콜레운동의 현재
제1장 덴마크의 프리스콜레와 애프터스콜레 235 제2장 폴케호이스콜레운동 그 이후 255 제3장 일본의 폴케호이스콜레 260
개정판 후기 281 덧붙여 ― 트빈스쿨의 뒷이야기 285 부록 참고문헌 287 폴케호이스콜레 유학 안내 289 일본그룬트비협회 안내 2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