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을 소(昭)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부를 소(召)자를 했습니다. 부를 소(召)자는 칼 도(刀)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는데, 칼 도(刀)자는 손 수(手)자의 변형입니다. 지금도 사람을 부르려면 손짓을 하며 아무개야 하고 손과 소리로 사람을 부릅니다. 소대(昭代) 소목(昭穆) 소연(昭然) 소화(昭和) 소시(昭示) 소상(昭詳)
푸성귀 소(蔬)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트일 소(疏)자를 했습니다. 트일 소(疎,疏)자는 의부(義符)로 발 소(疋)자 변에 성부(聲符)로 묶을 속(束)자나 깃발 류(㐬)자를 했습니다. 빗 소(梳), 베 소(綀)자들은 묶을 속(束)자나 깃발 류(㐬)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소채(蔬菜) 소과(蔬果) 소초(蔬草) 소순(蔬筍) 소식(蔬食) 시소(時蔬)
시끄러울 소(騒,騷)자는 의부(義符)로 말 마(馬)자에 성부(聲符)로 벼룩 조(蚤)자를 했습니다. 벼룩 조(蚤)자는 손톱 조(㕚)자 아래에 벌레 충(虫)자를 해서 가려워서 긁는 벌레임을 표시했습니다. 벼룩은 사람의 피부에 기생하여 가렵게 만드는 해로운 벌레입니다. 긁을 소(搔), 흔들릴 소(慅), 쌀 이는 소리 소(溞), 종기 소(瘙)자들은 벼룩 조(蚤)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소인(騷人) 소란(騷亂) 소동(騷動) 이소(離騷) 소광(騷光) 풍소(風騷)
사를 소(燒)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 변에 성부(聲符)로 요임금 요(堯)자를 했습니다. 요임금 요(堯)자는 임금이 신하들보다 높게 앉은 위치가 흙을 조금 쌓아 올린 아주 낮은 곳이라는 뜻으로 흙 토(土)자를 세 개 했습니다. 사를 소(燒)자와 요임금 요(堯)자는 통운(通韻)입니다. 소신(燒燼) 소신(燒身) 소실(燒失) 소각(燒却) 소향(燒香) 소사(燒死) 연소(燃燒) 전소(全燒)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