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맛보다 짠맛 선호 -
- 한류 영향, 한국 관광 다녀온 후 한국 과자 인기 -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대만 과자시장은 연간 약 370억 신 타이완 달러(1조3368억 원)대이며 최근 3년간(2015~2017) 안정적 성장세
- 2018년부터 연간 2%대로 지속 성장 전망
- 짭짤한 과자와 달콤한 과자의 매출구조는 각각 77:23으로 짠맛 비중이 조금씩 확대되는 추세*
* 75.6%(2013) → 76.6%(2017) → 77.7%(2021)
종류별 시장규모
(단위: 백만 신 타이완 달러, %)
구분 |
2013 |
2015 |
2017 |
2019(f) |
2021(f) |
|
짭짤한 과자 |
스낵 |
12,954 |
13,353 |
14,252 |
14,882 |
15,410 |
견과류 제품 |
4,713 |
5,401 |
6,000 |
6,475 |
6,942 |
|
비스킷 |
1,900 |
1,986 |
2,117 |
2,206 |
2,287 |
|
팝콘 |
117 |
1120 |
129 |
133 |
136 |
|
소계 |
25,545 |
26,964 |
29,026 |
30,534 |
31,976 |
|
증감률 |
3.3 |
3.8 |
3.9 |
2.5 |
2.3 |
|
달콤한 과자 |
비스킷 |
7,455 |
7,707 |
7,979 |
8,099 |
8,224 |
과일스낵 |
740 |
781 |
836 |
875 |
916 |
|
에너지바 |
28 |
31 |
34 |
36 |
37 |
|
소계 |
8,223 |
8,519 |
8,849 |
9,009 |
9,177 |
|
증감률 |
0.9 |
1.8 |
1.9 |
0.9 |
0.9 |
|
총계 |
33,769 |
35,483 |
37,874 |
39,543 |
41,153 |
|
증감률 |
2.7 |
3.3 |
3.4 |
2.1 |
2.0 |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짭짤한 과자의 시장규모는 스낵이 거의 절반을 차지(49%). 견과류 제품(20.7%), 비스킷(7.3%) 순
- 스낵 중에서도 칩 종류 제품이 특히 인기(스낵 매출의 46%)
- 한국의 '예감' 감자칩도 현지 소비자 사이에서 입소문이 퍼지면서 현재 대만 온·오프라인에서 유통 중. 이마트 '노브랜드' 감자칩·고구마칩은 온라인 시장에 진출. 켈로그의 프링글스 감자칩도 한국 한정판인 버터카라멜맛이 대만에서 화제를 모음.
- 대만산 스낵은 완두콩 원료를 사용한 꽈배기 모양의 튀김과자와 중국에서도 유명한 왕왕(旺旺) 쌀과자가 대표적
상위 10위 기업 및 대표상품(시장점유율 기준)
순위 |
1(15.3%) |
2(11.3%) |
3(4.7%) |
4(3.1%) |
5(3.1%) |
기업명 및 브랜드명 |
|
|
|
|
|
대표상품 |
|
|
|
|
|
비고 |
레이스, 도리토스 등 감자칩 |
완두콩 원료의 꽈배기 튀김과자 |
쌀과자 시리즈로 유명 |
프링글스 |
카라멜콘 같은 식감 메시지 작성 가능한 포장이 특징 |
순위 |
6(2.4%) |
7(2.3%) |
8(2.1%) |
9(1.8%) |
10(1.8%) |
브랜드명 |
|
|
|
|
|
대표상품 |
|
|
|
|
|
비고 |
일본 코이케야 (コイケヤ) 대만 법인. 감자칩이 인기 |
대만판 라면과자 |
대만판 '새우깡' 유통기한 지난 원료 사용으로 최근 기업 이미지 손상 |
짭짤한 맛의 러우쑹(肉鬆) 에그롤 |
견과류 제품으로 유명 |
자료원: 유로모니터, 업체별 홈페이지, KOTRA 타이베이무역관 재구성
ㅇ 달콤한 과자 시장은 비스킷류가 90%를 차지하며 과일스낵(건망고 등)이 9%대
- 에너지바는 작지만 일정 수준의 시장점유율(0.4%)을 지속 유지
- 상위 10위 기업이 48% 시장점유율을 차지. 1위는 대만의 이메이(I-Mei)로 식품안전 파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양심기업 이미지가 강하고 7위 훙야식품(宏亞食品)은 초콜릿 과자로 유명
- 한국 크라운제과와 롯데제과 제품도 각각 2%대 시장점유율을 확보
- 크라운제과의 '에이스'는 꽤 오래전부터 유통되고 있어 한국 브랜드라는 인식이 강하지 않고 우유(칼슘)을 첨가한 영양 간식 개념을 강조
- 롯데제과 제품은 초반에 '코알라마치' 같은 일본 출시 제품 위주로 유통됐으나 지금은 한국 출시 제품이 상당수. 케이크류(카스타드, 초코파이)부터 젤리, 아이스크림, 껌, 초콜릿 등 종류도 다양
상위 10위 기업 및 대표상품(시장점유율 기준)
순위 |
1(20.3%) |
2(12.7%) |
3(4.8%) |
4(4.0%) |
5(3.9%) |
기업명 및 브랜드명 |
|
|
|
|
|
대표상품 |
|
|
|
|
|
비고 |
한국 '홈런볼'과 유사 |
오레오 |
에그롤 |
계란과자맛 비스킷 |
초콜릿 밀크 바 |
순위 |
6(3.3%) |
7 (2.9%) |
8(2.7%) |
9(2.6%) |
10(2.4%) |
기업명 및 브랜드명 |
|
|
|
|
|
대표상품 |
|
|
|
|
|
비고 |
홍국(紅麴) 비스킷 |
밀라노 퍼프 패스트리 |
크라운제과 제품 유통 |
웨하스 롤 |
한·일 출시 롯데 제품 수입 판매 |
자료원: 유로모니터, 업체별 홈페이지,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재구성
□ 수입현황
ㅇ (관세율) 스위트 비스킷 25%, 감자칩·쌀과자 등 기타 스낵·크래커 20%, 초콜릿 제품 10%, 사탕·캐러멜·화이트초콜릿 제품에 27.5%가 부과됨
과자류 품목별 관세율
HS Code |
품목명 |
관세율(%) |
1905.31.00007 |
스위트 비스킷 |
25 |
1905.90.90006 |
기타(스낵, 쿠키, 크래커, 쌀과자 등) |
20 |
1806.32.00006 |
초콜릿과 코코아 함유 조제식료품 |
10 |
1704.90.00909 |
사탕류(화이트 초콜릿 포함) |
27.5 |
자료원: 재정부 관무서
ㅇ (수입 현황) 스위트 비스킷 등 네 가지 품목의 수입규모는 2016년 기준 1억9795만 달러로 전년대비 10% 증가했고 올해는 1~9월 기준 소폭 감소(-0.8%)한 1억3573만 달러를 수입
- 네 품목 중 기타 스낵·쿠키·크래커의 비중이 45%로 가장 크고, 스위트 비스킷과 사탕류가 각각 24%, 22%
- 올해는 달콤한 과자 수입이 일제히 조금씩 감소한 반면 기타 스낵·쿠키·크래커의 짭짤한 제품이 소폭 증가
- 국가별로는 대일 수입비중이 30% 안팎이며, 한국 제품은 기타 스낵·쿠키·크래커 위주로 수입하는데 올해는 초콜릿 제품과 사탕류 수입이 전년동기대비 각각 45%, 80%로 크게 증가
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만 달러, %)
품목명(HS Code) |
2015 |
2016 |
2017. 1~9. |
증감률 |
주요 수입국(비중) |
스위트 비스킷 (1905.31.00007) |
4,149 |
5,040 |
3,249 |
-6.5 |
일본(28.2), 말레이시아(9.2), 필리핀(9.1), 한국(2.8) |
기타 스낵·쿠키·크래커 (1905.90.90006) |
6,915 |
8,017 |
6,108 |
3.7 |
일본(28.3), 말레이시아(17.7), 한국(14.1) |
초콜릿 제품 (1806.32.00006) |
2,429 |
2,209 |
1,260 |
0.3 |
일본(17.2), 중국(15.6), 스위스(15), 한국(2.9) |
사탕류 (1704.90.00909) |
3,682 |
4,530 |
2,956 |
-3.2 |
일본(34.5), 독일(8.4), 미국(7.2), 한국(3.4) |
자료원: 대만 재정부 관무서
□ 유통구조
ㅇ 수입제품은 현지 대리상(Agent) 또는 판매상(Distributor)를 통해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 유통채널에 납품하는 것이 일반적
유통채널 분포현황(점포 수 기준)
분류 |
편의점 |
대형마트 |
슈퍼마켓 |
업체명 (점포 수) |
(5,107)
(3,057)
(1,290) |
(95)
(23)
(17) |
(890)
(459)
(226) |
자료원: '2017 대만 연쇄점연감(2017년 4월)', 업체별 홈페이지,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재구성
ㅇ 유통채널별 매출구조는 편의점 비중이 1/3이며 대형마트와 슈퍼마켓이 각각 20%
- 오프라인 위주로 유통되며 온라인 비중은 5% 미만
품목별 유통구조
분류 |
유통채널별 매출비중(%) |
달콤한 과자 |
편의점(32.4), 슈퍼마켓(27.1), 대형마트(19.4), 개별 소형 식료품점(6.9) |
짭짤한 과자 |
편의점(32.3), 슈퍼마켓(24.3), 대형마트(22.4), 개별 소형 식료품점(14.3) |
자료원: 유로모니터
□ 시사점
ㅇ 최근 대만 내 피크닉 붐 확산 추세로 과자 시장에 기회요인으로 작용
- 시장 전반적으로는 대만·일본·미국 기업 제품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청년층 소비자를 위주로 한국·일본 과자 트렌드에 관심이 높은 편
- 대만 시장조사기업 인사이트엑스플로러(InsightXplorer)에 따르면 대만 소비자는 한국·일본 과자 구매요인을 맛, 품질, 포장 디자인 순으로 꼽았고 특히 여성이 한국산 과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됨
ㅇ 한류 효과와 한국 방문 대만인 관광객의 바이럴마케팅은 한국산 과자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 한국 방문 대만인 관광객은 연간 81만 명(2016)으로 관광기념품은 소품보다 식품류(특히 간식)를 선호하는 편
- 여행블로거의 포스팅을 통해 자연스럽게 바이럴 마케팅이 이뤄지면서 지금은 대만 온·오프라인 시장에서 한국산 과자를 쉽게 접할 수 있음.
- 이마트 PB제품인 ‘노브랜드’ 과자도 입소문에 힘입어 대만 온라인 시장에 진출
- 포장 김, 김자반 볶음도 대표적인 한국산 간식으로 인기(대만에선 김을 간식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보임)
ㅇ 한국에서 인기를 모았다면 대만 시장의 관심을 이끌어내기에도 유리
- '한국에서 대인기'를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하는 추세
- 최근에는 인도네시아산 라면과자인 '게메즈 에낙'이 온·오프라인에서 인기. 한국에서 인기를 모은 제품이라는 점을 마케팅 포인트로 내세워 강조해 언뜻 한국 제품으로 착각할 정도
ㅇ 식품안전에 민감한 시장, 브랜드 이미지 유지·제고에 유의할 필요
- 최근 수년 간 연이은 식품안전파동 발생으로 현지 소비자의 안전 민감도 상승
- 대만판 '새우깡' 제조사는 유통기한이 지난 원료 사용으로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충격을 입고 최근에는 시중에서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
- 반면, 한국에서 구미초코볼로 잘 알려진 '이메이(I-Mei)'사는 식품안전성 면에서 소비자들로부터 양심기업으로 인정받으면서 기업 이미지 향상